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제4단계 부여군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추가수립 연구용역
수탁

제4단계 부여군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추가수립 연구용역

기간
2022. 01. 05 ~ 2022. 12. 10
연구책임자
김홍수
연구자
박상현,최정호,조병욱,이병구,이무규
키워드
수질오염총량관리,부여군,금강수계,오염부하량,BOD,총인,단위유역,삭감계획
다운로드

제4단계 부여군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추가수립.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부여군은 금강수계 내 금본J 금본K 금본L 유역의 수질 개선과 목표수질 달성을 위해 2021년부터 2030년까지 10년간의 제4단계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을 수립함 계획은 금강수계법 및 오염총량관리 기본방침기술지침에 근거하여 마련되었으며 BOD와 총인을 관리 대상 물질로 설정함
각 단위유역별 목표수질은 과거 수질자료와 오염원 특성 등을 고려하여 설정되었으며 금본J는 BOD 29mgL 금본K와 L은 각각 30mgL로 설정됨 총인TP 기준은 모두 00770078mgL로 계획되었고 기준 수질 대비 일부 초과 지역은 보다 강도 높은 부하량 삭감이 요구됨
오염원은 생활계 축산계 산업계 토지계 양식계 등으로 분류되며 기준년도인 2019년 자료를 바탕으로 인구 물 사용량 사육두수 폐수량 등을 종합해 오염부하량을 산정함 축산계 오염원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이는 감축 목표의 핵심 대상이 됨
부하량 할당은 동일비율법 배출량 비례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유역별 특성과 기술적 현실성을 반영해 수행되었고 여유량과 유보량도 확보해 장래 개발수요에 대비함 예측된 자연증감과 개발계획을 반영하여 2030년까지 연차별 감축계획이 수립됨
점오염원은 환경기초시설 산업폐수 등이 대상이며 비점오염원은 축산 토지이용 변화 등이 주요 요인임 삭감계획은 처리시설 개선 오염원 관리 강화 등을 포함하며 연차별로 배출량을 지속적으로 감축하여 최종적으로 할당부하량 이하로 관리할 방침임
종합적으로 본 시행계획은 수질 개선을 위한 과학적 기반과 정량적 목표를 설정하고 있으며 계획 이행을 위해 정기적인 모니터링 평가 제도적 보완이 병행되어야 함 이를 통해 부여군은 금강수계 수질보전과 지속가능한 개발 간의 균형을 도모하고자 함

목차

1 이행평가 주체
2 목적 및 범위
3 추진경과
4 시행계획 수립현황
5 평가보고서 요약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