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기업의 사회공헌사업 도 청년정책 연계방안
현안

기업의 사회공헌사업 도 청년정책 연계방안

기간
2023. 03. 06 ~ 2023. 04. 30
연구책임자
박춘섭
키워드
기업 사회공헌,청년정책 연계,CSR,ESG,지역사회공헌,전략연계,공공연계,충청남도 정책
다운로드

(현안과제) 사회공헌사업 청년정책 연계방안_최종.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이 보고서는 우리나라 대기업의 사회공헌사업을 분석하고 충청남도 청년정책과의 연계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업의 사회공헌은 법적경제적윤리적 책임을 바탕으로 한 이해관계자 기반 경영활동으로 정의되며 최근에는 ESG 기업 이미지 등 외부 요인이 중요한 동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현재 기업의 사회공헌은 주로 취약계층 및 청소년 대상에 집중되어 있으며 청년 대상이나 지역경제 활성화에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낮다
100대 기업의 사회공헌사업 중 청년 대상은 45에 불과하며 이 중에서도 일자리 교육 주거 등 제한된 분야에 그치고 있다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은 전략연계형과 공공연계형으로 구분되며 전략연계형은 기업의 본연 역량을 활용하고 공공연계형은 사회적 필요에 대응하는 방식이다 사례 분석에서는 BGF리테일 삼성SDS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통신3사 아모레퍼시픽 등의 기업이 각기 다른 방식으로 청년 주거 창업 교육 등을 지원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충청남도는 청년정책과 기업의 사회공헌사업을 연계할 수 있는 두 가지 모델을 제시한다 첫째 기업역량 활용형으로 일자리교육 분야 중심의 청년가게 청년교육센터 창업보육 프로그램 등을 제안한다 둘째 사회필요 대응형으로는 주거복지문화 분야 중심의 청년주거기금 조성 청년문화콘텐츠센터 건립 등을 제시하고 있다
실행을 위한 협업체계로는 기업역량 활용형은 지자체와 기업이 공동 참여하는 사업단을 중심으로 추진하고 사회필요 대응형은 공익재단 설립을 통해 정책적재정적 지원체계를 마련하는 방식이 제안된다 특히 제주도의 사례처럼 공익재단이 지역에 특화된 산업 및 청년 지원 사업과 연계될 경우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기업의 사회공헌사업은 지역성과 청년 문제 해결을 위한 중요한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충청남도는 기업과의 협력체계 구축과 제도적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단순 기부가 아닌 지속가능한 청년정책과의 연계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목차

정책동향
사회공헌사업 현황
사례분석
정책제안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