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세미나

세미나

서산시 시 상징물 시새 재정립 기초 연구
현안

서산시 시 상징물 시새 재정립 기초 연구

기간
2023. 03. 20 ~ 2023. 06. 15
연구책임자
정옥식
연구자
장하라
키워드
뜸부기,독수리,큰기러기,두루미,황새,서산시 상징물,조류 서식지,멸종위기종
다운로드

서산시 시 상징물 재정립 기초 연구(수정).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본 연구는 서산시의 생태 환경과 역사문화적 특성을 반영하여 새로운 상징 새를 선정하고자 수행되었다 기존 상징물인 가창오리와 장다리물떼새는 개체 수 감소와 대중적 상징성의 약화로 인해 교체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서산의 대표 월동지인 천수만을 포함한 조류 서식 현황을 분석하고 생태적 가치 역사성 대중성 상징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후보종을 도출하였다
후보로는 뜸부기 독수리 큰기러기 두루미 황새 등이 최종 선정되었으며 각 종은 서산시가 지향하는 미래상과 부합하는 의미를 지닌다 뜸부기는 고향의 따스함과 정서를 상징하고 독수리는 경제적 자립과 으뜸 도시를 표방하며 큰기러기는 풍요와 부부애 두루미는 높은 이상과 충절을 황새는 출산과 복지의 이미지를 담고 있다
뜸부기는 과거 전국적으로 흔했으나 지금은 일부 지역에서만 번식하며 천수만 일대에서 소수 번식한다 독수리는 대형 맹금류로 천수만 지역에서 정기적으로 관찰되며 용맹보다는 정화와 영적 상징이 강조된다 큰기러기는 천수만과 여러 저수지에서 대량으로 도래하며 정서적으로도 친숙한 이미지다
두루미는 과거 서산에서 월동하던 주요 종으로 기록되며 장수와 입신출세를 상징하는 고귀한 새다 황새는 최근 야생 개체가 자연 번식에 성공하는 등 서산에서 보전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행운과 출산의 상징으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긍정적 의미를 지닌다
종합적으로 이들 후보종은 서산시의 생물다양성과 생태환경 보전의 중요성을 알리고 시민의 자긍심을 고취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상징 새 재정립은 서산시의 정체성과 미래 비전을 표현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시도로 평가된다

목차

1 연구개요
2 서산시 조류 서식 현황과 특성
3 서산시 상징물 후보종 선정
4 서산시 상징물 후보종 가치와 의의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