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지도

내용
공주시는 현재 우성농협에 위탁운영 중인 학교급식지원센터를 직접 운영체제로 전환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충남 내 타 시군 사례와 아산시의 심층사례를 분석하였다 학교급식지원센터는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먹거리의 공공성과 투명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 속에서 직영 전환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특히 지역 농산물의 안전성과 유통체계 강화를 위한 기반 구축이 핵심으로 지적되었다
공주시의 현행 센터는 2016년부터 우성농협이 운영하며 식수규모는 142개원 12472명이다 수수료율은 11에서 최근 8로 인하되었으며 물류배송의 비효율성 저장시설 부족 농가조직화 미흡 등의 문제가 존재한다 센터는 공공급식 경로 개척에 실패했으며 행정정치적 신뢰 부족과 운영주체 간의 괴리도 지적되었다
아산시의 경우 행정기능은 직영 실무는 위탁하는 방식으로 푸드플랜 실현을 위한 인적물적 기반을 마련하고 학교급식을 공공급식으로 확대 전환하는 데 성공했다 이 모델은 공주시의 향후 추진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공주시도 현재 푸드통합지원센터와 먹거리사업단을 구축하여 지역농산물의 안전성과 유통체계 개선을 도모하고 있으며 자체 인증제와 직매장 확대 등의 전략을 추진 중이다
직영 운영 전환을 위한 방향으로는 단계적 이관이 제시되며 1단계는 공급시설 확보와 생산자 조직화 2단계는 기존시설 리모델링과 통합 운영 3단계는 법인화를 통한 운영 안정화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행정조직 개편과 기존 시설의 매입 또는 활용 여부 실무 전문성 확보 등이 병행되어야 한다
종합적으로 공주시는 지역 농산물의 안전성과 순환 유통체계 강화를 기반으로 학교급식을 공공급식으로 전환하며 먹거리 복지를 실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직영체제 전환은 먹거리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핵심 과제로 평가된다
공주시의 현행 센터는 2016년부터 우성농협이 운영하며 식수규모는 142개원 12472명이다 수수료율은 11에서 최근 8로 인하되었으며 물류배송의 비효율성 저장시설 부족 농가조직화 미흡 등의 문제가 존재한다 센터는 공공급식 경로 개척에 실패했으며 행정정치적 신뢰 부족과 운영주체 간의 괴리도 지적되었다
아산시의 경우 행정기능은 직영 실무는 위탁하는 방식으로 푸드플랜 실현을 위한 인적물적 기반을 마련하고 학교급식을 공공급식으로 확대 전환하는 데 성공했다 이 모델은 공주시의 향후 추진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공주시도 현재 푸드통합지원센터와 먹거리사업단을 구축하여 지역농산물의 안전성과 유통체계 개선을 도모하고 있으며 자체 인증제와 직매장 확대 등의 전략을 추진 중이다
직영 운영 전환을 위한 방향으로는 단계적 이관이 제시되며 1단계는 공급시설 확보와 생산자 조직화 2단계는 기존시설 리모델링과 통합 운영 3단계는 법인화를 통한 운영 안정화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행정조직 개편과 기존 시설의 매입 또는 활용 여부 실무 전문성 확보 등이 병행되어야 한다
종합적으로 공주시는 지역 농산물의 안전성과 순환 유통체계 강화를 기반으로 학교급식을 공공급식으로 전환하며 먹거리 복지를 실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직영체제 전환은 먹거리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핵심 과제로 평가된다
목차
1장 서론
2장 충남 및 공주시 학교급식 실태
1 학교급식을 둘러싼 이슈언론 동향
2 공주시 학교급식 관련 정책 현황
3 공주시 학교급식 관련 사업 현황
4 그동안의 성과와 한계
3장 타지역 사례분석
1 사례조사 개요
2 사례 분석결과
4장 아산시 심층사례
1 아산시 학교급식지원센터 설립운영 사례
2 아산시 먹거리재단 설립운영 사례
3 아산시 먹거리통합지원센터 설립운영 사례
5장 결론 직접운영을 위한 방향
1 공공급식 개념 검토
2 직접운영 의미와 방향
3 직접운영을 위한 세부 추진과제
부록
참고문헌
2장 충남 및 공주시 학교급식 실태
1 학교급식을 둘러싼 이슈언론 동향
2 공주시 학교급식 관련 정책 현황
3 공주시 학교급식 관련 사업 현황
4 그동안의 성과와 한계
3장 타지역 사례분석
1 사례조사 개요
2 사례 분석결과
4장 아산시 심층사례
1 아산시 학교급식지원센터 설립운영 사례
2 아산시 먹거리재단 설립운영 사례
3 아산시 먹거리통합지원센터 설립운영 사례
5장 결론 직접운영을 위한 방향
1 공공급식 개념 검토
2 직접운영 의미와 방향
3 직접운영을 위한 세부 추진과제
부록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강마야
국회 농정예산 세미나(서세욱, 강마야) 2016. 07. 28
농정 제도개선을 위한 국회 심포지엄 : 대한민국 농업직불금의 새로운 길(박진도,이관률, 강마야) 2015. 02. 02
2018년 축산.환경공존연구회 : 제2차 축산정책포럼(CNI세미나2018-021)(박승주,조성미,강마야) 2018. 03. 30
축산과 환경의 공존 : 가축매몰지 제도개선을 위한 워크샵 2016. 10. 11
충남 농산물 유통개선 사례와 정책방안 워크숍 - 현재까지 연구진행 및 산지유통 보고(김종화), 산지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박경철), 6차산업유통 보고(김종화), 6차산업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강마야) 2013. 11. 27
농정패러다임 전환모색을 위한 충청남도의 제안 (박진도,강마야,김태연,이관률) 2016. 10. 20
-
이도경
충남 청년농업인 유입과 정착을 위한 추진전략 연구 2022. 08. 22
2023년 열린충남 봄호 2023. 05. 09
2019년 축산.환경공존연구회 : 제5차 축산환경정책포럼(CNI세미나2019-084) 2019. 09. 17
충남 농정거버넌스 체계 실태 사례연구 2020. 04. 01
충남 마을농지 소유․이용 실태 및 정책방향 연구 2019. 04. 01
충남 농정대상자인 농업인과 농민의 개념 및 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2020. 0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