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아산시 선장포노을공원 유휴공간(부지)을 활용한 가족여가 실내체험공간 조성 사례연구
현안

아산시 선장포노을공원 유휴공간(부지)을 활용한 가족여가 실내체험공간 조성 사례연구

기간
2023. 06. 09 ~ 2023. 09. 27
연구책임자
조영재
연구자
윤정미,한석호
키워드
아산시,실내체험공간,가족여가,선장포노을공원,유휴공간 활용,디지털체험,사례분석,관광연계
다운로드

현안과제 성과품(2023(일반)-47) 아산시 선장포노을공원 유휴공간(부지)를 활용한 가족여가 실내체험공간 조성 사례연구.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본 보고서는 아산시 선장포노을공원 유휴시설을 활용하여 가족여가 실내체험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사례연구로 도심 외곽의 생태자연경관과 오픈스페이스를 활용한 차별화된 공간 조성을 제안한다 선장포노을공원은 유휴창고 등 미활용 자산이 존재하며 인근 관광지와의 연계 가능성과 함께 가족 레저거점으로서의 발전 잠재력을 갖추고 있다
국내 주요 실내체험공간 사례로는 수원의 판타월드 안산 자이언트제트 화성 디스커버리 네이처스케이프 대전 스포츠몬스터 완주 놀토피아 등이 분석되었다 이들은 도심 입지 다양한 연령층 대상 콘텐츠 디지털 영상체험 요소 도입 관련 편의시설 집적 등의 공통점을 보이며 지역 특성과 수요에 따라 각기 다른 운영 전략을 취하고 있다
선장포노을공원의 경우 완주 놀토피아 모델을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으며 자연경관과 주변 자원을 활용한 가족체험 공간 조성을 제안한다 특히 기존 모델의 단점을 보완하여 디지털 콘텐츠와 가족 편의시설을 함께 도입함으로써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수요 타깃은 전 연령층으로 설정하되 학생 및 청년층 수요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체험 테마는 스포츠 체험 중심으로 구성하고 VRXR 콘텐츠와 같은 디지털 요소를 결합해 다양한 체험층을 유도하며 키즈존 스포츠존 보호자 휴게존 등의 구분된 공간 조성을 제시한다 조성방식은 다기능 업체 단독 운영 또는 다양한 업체 집적 방식 모두를 고려할 수 있으며 입지 특성상 민간 위탁 운영이 실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체험공간은 아산시 내부 수요를 넘어 충남 충북 경기 남부 전북 지역까지 12차 수요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인근 관광자원과 연계한 패키지화 전략이 필요하다 지속 가능한 운영을 위해서는 유연한 테마 변경 민간 참여 확대 이용요금의 경쟁력 확보가 중요하다
결론적으로 선장포노을공원은 도심 밀집형 모델의 한계를 극복하면서도 차별화된 자연환경 기반 실내체험공간으로 조성될 수 있으며 이는 아산시의 농촌도시 상생 비전 실현과 지역 관광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제1장 연구 배경 및 목적
제2장 선장포노을공원 관련 현황
제3장 관련사례 조사 및 분석
제4장 결론 및 시사점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