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정상추진된 사업은 66개742 부분추진은 22개247 미추진은 1개11였다 미추진 사업은 주민 반발로 인해 중단된 주민참여형 생태환경 모니터링 지원이다 국토건강 부문은 모두 정상추진됐고 산업에너지 부문은 부분추진 비중이 가장 높았다
성과부문에서는 우수사례 8건이 선정됐고 가점은 시민전문가 평가단 운영 조례 제정 위원회 및 전문기관 운영 실적 등을 통해 만점10점을 받았다 도 조례 기반 및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운영 등 제도적 기반도 강화되었다
평가 대상은 물관리 생태계 국토 농수산 건강 산업에너지 적응 주류화 등 7개 부문으로 구성되며 평균 사업추진률은 989였다 생태계 부문만 미추진 사례가 있었고 국토 부문은 예산 집행이 대폭 증가한 특징을 보였다
18개 사업에서는 미흡하거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이 지적되었으며 도랑살리기 계획 수립 예산 이월 협의 지연 주민 갈등 등 다양한 사유가 존재했다 예산 조정 사업명 변경 실적 관리 강화 등이 후속 조치로 제시되었다
해당 평가는 도의 기후적응 역량 제고 연차별 계획 개선 사업 환류를 위한 기반자료로 활용되며 탄소중립기본법에 따른 환경부 보고와 도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심의를 거쳐 체계적으로 수행되었다
목차
1 평가배경 및 목적
2 추진체계 및 방법
3 추진경위
4 평가대상
Ⅱ 자체평가 결과
1 총평
2 주요 성과
3 미흡 및 개선보완사항
4 세부 평가결과 종합
부문별 추진실적 평가결과
평가등급 및 종합점수 결과
미추진사업
당초 변경 및 신규 추가사업
5 우수사례
6 적응대책 추진 기반 조성 및 이행력 제고
전문가 및 시민평가단 구성운영 실적
지자체 조례 제정 등 제도적 기반
지방탄소중립위원회 구성운영 실적
전문기관 지정운영 실적
Ⅲ 조치 및 관리계획
Ⅳ 적응대책 변경
[부록] 부문별 세부이행과제 평가결과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차정우
충청남도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이행평가(4차년) 2020. 12. 28
충청남도 기후변화 적응대책 이행평가 연구(3차년) 2019. 10. 21
충청남도 기후변화 적응대책 이행평가 연구(2차년) 2018. 09. 11
기후변화 취약성평가방안에 관한 연구 2015. 01. 01
증거기반 융복합정책연구회 2022. 03. 08
충남 쇼핑약자 기초 추정&정책방향 2025. 02. 19
-
여형범
충남도 재생에너지와 지역에너지 전환 토론회(이상훈, 여형범) 2016. 09. 02
에너지전환연구회 2017년 제1차 워크숍: 지역에너지계획과 시민/주민참여(CNI세미나2017-067) (오용성, 이유진, 안명균, 여형범, 이정필, 류홍번, 신근정) 2017. 06. 14
농촌개발 ODA의 방향과 과제(허장,민경일,김남수,정진영,여형범,권율,양영미) 2014. 11. 06
제2회 도시정책포럼_지역 분권과 에너지 전환 (이상헌,이정필,여형범,한재각,김동주,김현우,Liling Huang) 2016. 05. 11
기후변화시대 지역에너지 및 환경정책 세미나(왕영두,여형범) 2014. 10. 08
제10회 마지연 대화마당(내포) (여형범, 박기남, 안병일) 2016. 12. 22
-
명형남
4개 시도 금강정책 공동연구회 워크숍(2차)(명형남,이재근,배명순) 2014. 11. 21
제1차 석탄화력발전과 미세먼지 연속세미나(명형남, 김순태) 2016. 06. 22
2015년 제1차 환경복지연구회 워크숍-충남의 라돈과 어린이 건강(하미나,이가희,명형남) 2015. 05. 11
제2차 지방주도 환경정책포럼-충남 서북부 환경취약지역 주민건강피해 예방 및 관리(김영명,명형남) 2014. 11. 05
열린충남71호 2015. 06.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