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충남

내용
분석 결과에 따르면 탄소배출량 및 배출계수는 충청지역 제조업의 노동생산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탄소배출 절감 없이는 생산성 향상이 어려운 구조임이 확인되었다 특히 생산 단위당 배출량보다는 총량 감소가 더 중요한 정책 과제로 제시되었다 이를 위해 산업별 맞춤형 감축 전략과 지역 간 협력이 필요함이 강조되었다
두 번째 발표에서는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의 탄소배출 구조를 분석하고 공정 과정에서 F가스 등의 고온실가스 사용이 주요 배출 요인임을 설명하였다 이 산업군은 공정 전력 사용량이 높아 간접 배출 비중이 크며 저 GWP 가스 개발 공정 효율화 스크러버 개선 등이 핵심 저감 전략으로 제시되었다
또한 Apple 등 글로벌 기업의 RE100 요구로 인해 국내 기업의 재생에너지 전환 압력이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 재생에너지 공급 부족 및 REC 가격 문제 등이 현실적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반도체디스플레이 기업은 이러한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글로벌 공급망에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음이 강조되었다
세 번째 발표는 충청남도의 탄소중립 대응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정부 차원의 기후위기 적응 및 온실가스 감축계획 수립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배출량 산정과 감축량 산정 간 기준 차이 활동자료의 부정확성 등으로 실질적인 관리의 어려움이 있으며 데이터 기반의 체계 정비가 요구되었다
이번 세미나는 충청지역 산업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정책 방향과 산업계의 현실적 대응전략을 모색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지자체와 산업계 간 협력 필요성과 정책 설계의 정교화가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었다
목차
기후변화가 충청지역 주력산업에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지역 주력산업의 탄소중립 전략과 정책과제
탄소중립 관련 지자체 대응방안
종합토의 및 토론
연구자의 다른 자료
-
박세찬
탄소중립시대 기후대기환경 연구 현황과 지자체간 공동 연구 방향 검토(CNI-40) 2022. 06. 30
대기방지시설 전문가 초청 세미나(CNI세미나 2022-058) 2022. 09. 28
대기환경 정책연구를 위한 데이터 활용 사례(CNI세미나 2022-011) 2022. 03. 15
(해외출장보고서)공무국외 결과보고_중부권 초미세먼지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지역 발생원 조사 2023. 09. 01
도시지역 공기질 관리를 위한 산 ‧ 관 ‧ 연 공동 세미나(CNI세미나 2022-076) 2022. 12. 01
인공지능기법을 활용한 측정소 미설치 지역 PM10 농도 예측 2022. 10. 17
-
백운성
민선5기 경제도정 운영방향 연구(백운성,임준홍,임형빈,신동호,김양중,고석철,임치영,이상호,양성준,전영노,황정현,이상철) 2010. 07. 26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 세미나 (차두원,백운성) 2013. 04. 08
안전충남 2050 비전위원회 워크숍(CNI세미나2017-009) (백운성, 조민상, 이주호) 2017. 03. 10
ICT산업 정책동향과 충남의 정책방향(김상태,백운성,설영훈,이영훈,한무호,고석철,최영근,이명섭) 2014. 01. 09
충남경제학회 충청지회 창립총회 및 학술대회(CNI세미나2017-159)(김기희,백운성,설영훈 외) 2017. 12. 01
열린충남37호 2006. 12. 01
-
이상신
공공부문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 지원사업 설명회(이상신,유종익) 2015. 06. 18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연구진간의 업무이해도 증진을 위한 워크숍(김영일,정우혁,김장수,김홍수,최정호,조병욱,이상신,윤종주,표정기) 2016. 02. 18
탄소중립시대 기후대기환경 연구 현황과 지자체간 공동 연구 방향 검토(CNI-40) 2022. 06. 30
기후변화 전문기관 연구협의체 세미나 및 협의체 운영회의(CNI세미나2018-014)(김태호,윤영배,박수진,이상신,조경두) 2018. 03. 15
대기측정분석을 통한 기여도 추정연구 세미나(CNI세미나2021-32) 2021. 10. 14
대기방지시설 전문가 초청 세미나(CNI세미나 2022-058) 2022. 09.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