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부남호 수질개선을 통한 서산B지구 안정적 농업용수 공급방안 연구
현안

부남호 수질개선을 통한 서산B지구 안정적 농업용수 공급방안 연구

기간
2024. 05. 01 ~ 2024. 07. 31
연구책임자
김영일
연구자
이상진,유지민
키워드
부남호,서산B지구,농업용수,스마트팜,기수역,수질개선,환경기초시설,해수 순환
다운로드

부남호 수질개선을 통한 서산B지구 안정적 농업용수 공급방안 연구(14).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본 연구는 서산B지구 스마트팜 단지 조성과 연계하여 부남호 수질개선을 통해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농업용수 공급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산B지구는 충남도 핵심사업으로 추진되는 글로벌 홀티 콤플렉스가 조성될 지역이나 현재 부남호 수질은 농업용수 기준에도 미달하는 6등급 수준으로 수질개선이 시급하다 이에 충남도는 해수 유입을 통한 기수역 복원과 부남호 수질개선을 연계한 대책 마련에 착수하였다
부남호 유역 수질 분석 결과 상류에서 유입되는 장검천과 태안천의 오염이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태안천의 경우 BOD TOC TP 등 오염물질 농도가 높았고 유입지점일수록 수질이 악화되었다 부남호 내 호소수 분석에서도 유입부부남호3의 오염도가 가장 높았으며 방조제 쪽으로 갈수록 농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유역 내 오염원 관리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유역 내 주요 오염원은 축산계가 전체 BOD 발생부하량의 55 TN의 44 TP의 70를 차지하였으며 생활계와 토지계도 상당한 기여도를 보였다 특히 서산시 부석면과 태안군 태안읍이 가장 큰 오염부하를 유발하고 있었으며 환경기초시설도 방류수의 영양염류 농도가 높아 개선이 필요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기존의 수질개선사업들은 효과가 제한적이었으며 기수역 복원이 근본적 해결책으로 제시된다
스마트팜단지 농업용수 확보를 위해 단기적으로는 공공하수처리수 재이용과 이동형 정수처리시스템 활용이 검토되었으며 이는 정수장 건설 전까지 임시 대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중장기적으로는 부남호 원수를 처리할 수 있는 정수장을 건설하여 안정적인 용수공급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1일 3000 규모의 정수장이 필요하며 고도정수처리공정 도입이 요구된다
정수장 외에도 간월호부남호 간 수로 연결 부남호 상류 담수 활용 내염성 작물 도입 등도 보완책으로 제시되었다 하수처리수에 대한 지역 주민의 심리적 거부감을 고려한 홍보 전략도 병행되어야 하며 이동형 정수장비로는 시노펙스 크로시스 케이원에코텍 등의 사례가 소개되었다 해당 장비들은 현장 설치 및 운용이 유연하여 초기 단계에서 활용성이 높다
결론적으로 부남호 수질개선은 단일 사업으로 해결될 수 없으며 기수역 복원과 농업용수 확보를 위한 다각적 전략이 복합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서산B지구의 농업 및 스마트팜 활성화를 위해서는 수질개선 오염원 저감 용수확보 방안이 체계적으로 연계되어야 하며 장기적이고 통합적인 물관리 정책이 필요하다

목차

I 연구배경 및 목적
II 부남호 유역 물환경 현황
III 서산B지구 여건변화 및 부남호 수질개선방안
IV 서산B지구 스마트팜단지 및 농지 농업용수 공급방안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