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내포-삽교호 자전거도로(시범노선) 공간계획 연구
현안

내포-삽교호 자전거도로(시범노선) 공간계획 연구

기간
2024. 09. 22 ~ 2024. 10. 31
연구책임자
오병찬
연구자
박혜은,김성희
키워드
자전거,우선도로,자전거도로,자전거 교차로,자전거 쉼터,충청남도,안전성,탄소중립
다운로드

20241031_내포 삽교호 자전거도로 공간계획 연구(3).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본 연구는 충청남도 내포삽교호 구간 365km에 자전거 우선도로를 조성하고 이를 통해 탄소중립 실현 및 지속가능한 교통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한다 삽교천 수변공간을 활용해 자전거도로와 휴게공간을 조성하고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해 안전성과 편의성이 확보된 자전거 도로 계획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특히 기존 제방 도로를 활용하여 차량과 자전거가 함께 이용하는 자전거 우선도로의 형태로 계획되었다
실태조사 결과 구간별 주요 쉼터의 접근성 편의시설 현황 경관 자원 위험 요소 등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삽교 쉼터 예림 쉼터 고래 쉼터 소들 쉼터 삽교호 호수공원 등 주요 지점에 대해 화장실 공기주입기 퍼걸러 자전거 거치대 등의 시설 설치가 제안되었으며 노면 안내사인과 안전시설 설치를 통해 이용자 안전 확보도 강조되었다
국내외 우수 사례 조사에서는 남한강 진주 남강 유로벨로 등 수변 자전거도로의 활용 사례를 바탕으로 지역 특성을 반영한 시설 배치와 사용자 편의성 확보의 중요성이 제시되었다 특히 유럽은 자전거 통근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을 통해 실질적 이용 활성화를 이루고 있어 국내 정책에도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구간은 평탄한 지형을 기반으로 하여 자전거 이용에 적합하지만 일부 구간에서는 농기계 점유 낚시객 주차 교량 침수 등으로 인한 안전 문제가 있어 구조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자연과 조화로운 친환경 디자인 정보성 높은 안내 시스템 전망대 등 경관 체험 요소도 병행 고려되었다
또한 자전거 도로의 기능이 단순 여가 목적을 넘어서 실질적인 교통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내포신도시 내 자전거 인프라와 연계한 프로그램과 보완 정책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이를 통해 충청남도의 탄소중립 정책이 실현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결론적으로 내포삽교호 자전거 우선도로는 지역 교통의 녹색 전환과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시범 사업으로 단기적 도로 조성뿐만 아니라 장기적 자전거 이용문화 정착과 연계되어야 하며 향후 자전거 통근 유도 정책과 연계되어 실효성 있는 교통 대안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목차

I 연구개요
II 이론적 배경
III 국내외 사례조사 및 분석
IV 실태조사
V 결론
VI 참고자료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