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세미나

세미나

충남 쇼핑약자 기초 추정&정책방향
출판/충남정책지도

충남 쇼핑약자 기초 추정&정책방향

기간
2025. 02. 19 ~ 2025. 02. 19
연구자
이민정,차정우
다운로드

정책지도 통권 42호(9).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남은 고령화와 인구감소로 인해 농어촌 지역을 중심으로 신선식품 접근이 어려운 쇼핑약자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식품사막은 주로 대중교통이 불편하거나 소득 수준이 낮은 지역에서 발생하며 이로 인해 영양 불균형 건강 악화 교통비 부담 등의 문제가 동반된다 충남에서도 식품사막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정책적 논의는 부족한 상황이다
해외에서는 볼티모어가 건강한 음식 우선지역이라는 개념을 도입해 공공기관과 지역주민이 협력하는 식품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일본 토쿠시마현에서는 이동형 슈퍼 토쿠시마루가 고령자의 식품 접근성을 높이고 있으며 전남 영광군 묘량면도 공동체 주도의 상점을 통해 유사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충남의 경우 전체 행정리 중 254가 소매점이 없는 마을이며 고령화율과 독거노인 비율도 전국 평균보다 높다 특히 청양 공주 홍성 서천 논산 등의 면지역은 쇼핑약자 비율이 3540에 이르고 충남 전체 65세 이상 인구 중 약 27892명이 쇼핑약자로 추정된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충남형 식품사막 지도를 제작하고 정기적으로 관리하여 정확한 정보 공유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주민이 주체가 되는 협동조합 기반의 식료품점 운영 복지시설 인근 상설매장 설치 이동형 매장 도입 등이 정책방향으로 제시된다
또한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식품 바우처 및 식품꾸러미 구독사업과 같은 방식도 식품 접근성 확보 방안으로 검토되고 있다 이를 통해 지역 특성과 수요에 맞는 실질적 식품 공급 체계를 마련할 수 있다

목차

배경 및 목적
01 쇼핑약자란
02 GIS를 활용한 충남 쇼핑약자 기초 추정
03 쇼핑약자 대응사례 및 충남의 정책방향
1 국내외 사례
2 충남의 대응방향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