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세미나

세미나

당진천 침수방재 설계 적용을 위한 연구
현안

당진천 침수방재 설계 적용을 위한 연구

기간
2025. 05. 07 ~ 2025. 06. 30
연구책임자
신우리
연구자
정예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와 극한기후현상 증가로 충남 당진시에서는 인명 및 재산피해가 확대되고 있다 2024년 집중호우로 읍내동과 채운동 등에서 침수피해가 발생하며 기존 침수방지시설의 한계가 드러났다 이에 본 연구는 당진시 침수위험지역을 정밀 분석하고 국내외 정책 및 사례를 바탕으로 맞춤형 침수방재설계 가이드라인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최근 5년간 당진시 자연재난 피해액의 95 이상이 호우로 인한 것이며 2022년 이후 피해액이 급증했다 2024년 7월에는 채운동과 신평면 등에서 1775mm 이상의 강우로 학교와 시장 등에서 침수피해가 발생했다 홍수위험지도 분석 결과 삽교천 등 국가하천의 범람 시 합덕읍 신평면 우강면에서 지방하천 범람 시 대부분 지역에서 침수가 예상된다 특히 읍내동과 채운동은 50100년 빈도의 강우에서 최대 침수면적과 1m 이상의 침수심이 확인되어 집중 관리가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자연재해대책법 건축법 도시하천유역 침수피해방지대책법 등으로 침수예방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2024년부터 모든 건축물에 물막이설비 설치가 의무화되었고 채운동 일원은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지역으로 지정되어 배수펌프장 신설이 예정되어 있다 일본은 재해위험구역 지정 바닥높이 제한 필로티 구조 등 다양한 방재설계를 뉴욕시는 홍수위험지역별로 건식습식방수공법과 건축물 고도 제한을 적용한다
당진시는 침수위험지역별로 맞춤형 방재설계 가이드라인을 제작하고 시범지구읍내동 채운동 공공건물에 우선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학교 등 교육시설은 지자체와 교육청이 협의체를 구성해 합동점검과 재해저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근본적 침수예방을 위해서는 건축물의 바닥높이 제한 필로티 구조 방수자재 자동 배수펌프 비상전원 등 다양한 방재설계 요소를 종합적으로 도입해야 한다

목차

1 연구목적 및 방법
2 당진시 침수피해 발생 현황 및 침수위험지역 검토
3 침수예방 관련 정책 동향 및 사례
4 시사점 및 정책제언
5 결론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