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리포트플러스

내용
참여정부에서 신행정수도를 건설하는 일차적인 목적은 수도권 집중 완화와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것이다 이에 더하여 정치적 의미를 부여한다면 기존의 집권세력이 새로운 개혁세력으로 대체되는 상징으로도 볼 수 있다 지난 415 국회의원선거 결과 집권세력의 세대교체와 이념의 변화가 가시화되었다 행정수도의 충청권 이전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수도의 건설은 경제적으로도 큰 의미를 가진다 현재 추진되는 수도가 행정만을 담당하도록 기능을 부여할 계획이지만 우리나라처럼 공무원과의 관계가 중요한 사업여건상 경제기능도 상당부분 신행정수도로 옮겨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후 생략
이후 생략
목차
NA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김갑성
열린충남29호 2004. 12. 01
신행정수도건설 대책모색 전문가 대토론회 (김갑성,최원회) 2004. 11. 26
당진군 현안과제 대안 모색을 위한 정책토론회 (김갑성,조봉운,권경득) -21세기 중부권 물류의 중심, 동북아 무역허브 당진- 2007. 02. 06
열린충남27호 2004. 06. 01
열린충남29호 2004. 12. 01
-
윤성국
열린충남27호 2004. 06. 01
신행정수도 건설 관련 심포지엄 '국토균형발전과 신행정수도' (권용우,김두규) 2004. 05. 07
충남의 세계화를 위한 세미나 '충남의 세계화 전략' (박종찬,임정빈,권경득) 2002. 11. 15
-
정기호
열린충남27호 2004. 06. 01
신행정수도 건설 관련 심포지엄 '국토균형발전과 신행정수도' (권용우,김두규) 2004. 05. 07
MRIO를 이용한 충청권 지역간 산업연관구조 분석 2007. 01. 01
전기요금 지역차등에 관한 일고찰 :전기요금 제도개편이 제조업 부가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2017. 0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