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세미나

세미나

충청남도 하천수질측정망 정비 및 운영방안
기획전략(2011년전)

충청남도 하천수질측정망 정비 및 운영방안

기간
2005. 01. 01 ~ 2005. 12. 31
연구책임자
이상진
연구자
유병로,김훈,배용현,김기윤,최옥연,이충용,김홍수
키워드
충청남도,하천수질,측정망,수질오염총량제
다운로드

R_0512_충청남도 하천수질측정망 정비 및 운영방안(유병로).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는 금강수계 삽교천수계 서해안수계 등의 주요 하천에서 수질측정망을 운영해왔다 본 연구는 수질오염총량관리제 확대 시행에 따라 기존 수질측정망의 중복 기능 약화 주변 환경 변화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측정망의 효율적 운영방안을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특히 수질관리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수질측정망의 설치 위치 항목 주기 운영주체 등에 대한 종합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우리나라의 수질측정망은 환경부 유역환경청 보건환경연구원 수자원공사 등 다양한 기관에 의해 운영되며 측정 목적도 수질감시 상수원 보호 오염총량관리 등으로 다양하다 이러한 복잡한 운영체계는 지점 간 중복 측정과 비효율적인 자원 운용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충청남도 내에서도 유사 목적의 측정지점이 중첩되어 있어 인력과 예산 낭비가 발생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충남 보건환경연구원이 관리 중인 수질측정망은 총 33개소로 금강수계 15개소 삽교천수계 5개소 기타 서해안수계 13개소로 분포되어 있다 이들은 환경부의 지침에 따라 연 12회 정기조사를 실시하며 항목에는 pH DO BOD COD 총질소 총인 대장균군수 등이 포함된다 일부 항목은 분기 또는 연 1회 조사가 이루어진다
하지만 현재의 측정망은 운영목적과 실제 측정항목 간 불일치 지점 위치의 대표성 부족 수질변화 반영의 어려움 등의 문제가 지적되었다 또한 측정지점 간 유량자료와의 연계 부족으로 수질과 유량의 통합적 활용이 어려운 점도 문제로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측정지점의 위치 조정 자동측정망의 확대 통합적인 데이터 관리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개선 방향이 제시되었다
개선방안으로는 측정지점의 대표성과 중복성 검토를 통해 불필요한 지점 통합 또는 폐쇄 단위유역 경계지점 위주의 측정망 재배치 자동측정망의 전략적 확대 설치 지역 오염총량관리 지원센터 설치 등이 제안되었다 아울러 기관 간 역할 정립과 정보 공유 체계 강화 법령 개정 등을 통해 체계적인 수질관리 기반을 마련할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충청남도 수질측정망의 비효율을 개선하고 수질오염총량관리제 시행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측정망의 전반적인 구조 재편을 제안하였다 이는 향후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실효성 있는 수질보전 정책 추진을 위한 기반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발간사
제1장 연구의 목적 및 범위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1 연구의 필요성
112 연구의 목적
12 연구방법 및 범위
121 연구방법
122 연구범위
123 연구기간
13 선행연구조사
131 선행연구현황
13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제2장 국가수질측정망 설치현황
21 수질측정망 설치 및 운영
211 목적
212 법적근거
213 측정망 운영기본체계
214 측정망 구성
215 금강유역 수질측정망
216 충남도 보건환경연구원 측정망
217 수질기준
22 수질측정망 운영 항목 및 방법
221 측정망별 조사항목 조사시기
222 시료채취 및 현장측정
223 시료관리 및 측정방법
224 측정조사결과 기재방법
225 측정자료 관리 및 활용
226 기타사항
23 수질 자동측정망 설치현황
231 전국 및 금강수계 설치 운영 현황
232 충남지역 설치 운영 현황
233 외국사례
234 문제점 및 개선방안
제3장 수질오염총량제 관련 측정망
31 수질오염총량관리제 기본계획 개요
32 수질측정망 운영 항목 및 방법
321 수질측정망 설치 및 운영지침
322 공주시 시행계획안의 측정지점
323 논산시 시행계획안의 측정지점
324 천안시 시행계획안의 측정지점
325 계룡시 시행계획안의 측정지점
326 삽교천 수계 측정지점
33 유량측정
34 측정망 설치 목적별 비교분석
35 측정망 설치 및 운영상의 문제점
351 기존 국가 측정망과 오염총량관리 측정망의 중복성
352 측정지점의 주변 환경변화
353 수질측정 항목 및 측정주기의 부적정
354 오염총량관리 준비 수계의 측정망 설치
355 수질자동 측정망의 확대설치
제4장 측정망 개선계획 및 활용방안
41 측정망 설치지점의 개선계획
42 운영방법 및 운영주체
43 제도개선 및 활용방안
431 지역오염총량관리 지원센터 설치
432 재정계획
433 측정지점 개선계획의 추진방법 및 절차
제5장 결론 및 건의
51 결론
52 건의 및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