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지역 문화산업과 디자인 활성화 방안 (유기준,윤홍렬,이창훈)
연구정책조성/기타

지역 문화산업과 디자인 활성화 방안 (유기준,윤홍렬,이창훈)

기간
2005. 07. 08 ~ 2005. 07. 08
키워드
지역,문화산업,디자인,지역특성화
다운로드

[제1주제]지역문화마케팅의 활성화 방안(유기준).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2주제] 디자인과 문화산업(윤홍렬).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3주제]지역특성화를 위한 문화상품 개발방안(이충훈).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O_0507_지역 문화산업과 디자인 활성화 방안.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1문화에 대한 인식의 폭과 깊이가 넓어지고 있다
최근 문화에 대한 이해는 학문이나 예술의 성과로서 창출된 단순한 관념적인 것에서 벗어나 경제 산업 등과 연결되어 문화산업이라는 용어도 나타나며 문화가 자본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나아가 우리의 삶의 질 등과 융합되며 문화의 활용이라는 측면이 부각되는 등 문화에 대한 인식의 폭과 깊이가 변하고 있다
과거 문화상품은 거래나 경제적 수익보다는 작품의 창작성이나 예술성 그 자체를 중요시하는 비시장재의 성격을 띠었다 그러나 오늘날의 문화시대 속의 문화는 경제와 분리된 영역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고부가가치의 창조적 상품을 매개하는 핵심 산업으로 지역의 차별화된 문화자원은 단순한 정체성의 확보차원에서 머무는 것이 아닌 그것이 곧 상품이 되고 경쟁력이 되는 시대인 것이다
문화의 상품화는 단순히 문화의 상업적 이용만이 아니라 문화와 경제 및 기술이 서로 융합되어가는 과정에서 형성된 새로운 문화현상이다
이후 생략

목차

제1주제 발표 지역문화마케팅의 활성화 방안 유기준 공주대학교 관광학부 교수
1 21세기 변화의 전망과 방향 5
2 문화마케팅 시대에서 지역문화의 위상 6
3 지역문화마케팅의 활성화 방안 6
4 태안군의 지역문화마케팅 전략 9
제2주제 발표 디자인과 문화산업 윤홍렬 남서울대학교 시각정보디자인학과 교수
1 문화적 경제적 파급효과 15
2 문화산업의 비전과 목표 15
3 이벤트 중심 문화상품 개발의 유형 16
4 문화상품 디자인을 위한 브랜드 구축 16
5 분야별 제품의 브랜드 가치구조 17
6 문화상품 브랜드 디자인의 실질적 가치 17
7 문화상품의 브랜드화 18
8 문화상품과 클러스터의 예 18
9 전략적 특성화 문화상품 19
10 디자인의 문화적 고유성과 상품력 19
11 문화상품의 컨셉과 감각적 연계성 20
12 문화브랜드의 상품화란 20
13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을 위한 시스템 21
14 문화상품 브랜드 확장을 위한 구조적 시스템 21
제3주제 발표 지역특성화를 위한 문화상품 개발방안 이충훈 충남발전연구원 산업디자인팀장
1 서론 23
2 문화상품의 개념 23
3 문화관광상품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24
4 지역특성화 방안 24
5 국내 외 사례 25
6 문화상품 개발 목표 및 육성방안 26
7 추진 방안 및 문화상품 개발 컨셉 27
8 기대효과 29
9 생산방법 및 유통계획 29
10 해외 문화관광상품 개발 사례 30
11 결론 31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