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충남

내용
Ⅰ 서 론
환경영향평가 제도는 인간 활동에 따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미리 예측평가하여 환경에의 악영향을 사전에 예방하고자 하는 취지로 도입되었다 최근에는 경제적 지속성 사회적 지속성 환경적 지속성을 도모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의사결정 지원수단으로 그 역할이 확장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행정계획과 소규모 개발 사업을 대상으로 한 사전환경성검토제도와 대규모사업을 대상으로 한 환경영향평가가 제도화되어 있다 양 제도는 당해 계획 또는 사업의 시행에 따른 환경영향의 조사분석예측평가를 기본구조로 하고 있으며 그 접근방법도 대동소이하다 그간 행정계획 및 소규모 개발 사업을 대상으로 한 환경영향평가제도인 사전환경성검토제도와 환경영향평가제도가 별개로 제도화되고 운영됨으로써 통합화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무릇 모든 제도는 원칙과 절차가 있기 마련이다 세계최초로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도입한 미국의 제도에는 환경영향평가 원칙과 절차가 내재화 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환경영향평가제도의 올바른 이해와 바람직한 한국의 환경영향평가제도 및 운영의 적정화를 뒷받침할 환경평가의 원칙과 절차를 제시 하고자 한다
환경영향평가 제도는 인간 활동에 따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미리 예측평가하여 환경에의 악영향을 사전에 예방하고자 하는 취지로 도입되었다 최근에는 경제적 지속성 사회적 지속성 환경적 지속성을 도모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의사결정 지원수단으로 그 역할이 확장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행정계획과 소규모 개발 사업을 대상으로 한 사전환경성검토제도와 대규모사업을 대상으로 한 환경영향평가가 제도화되어 있다 양 제도는 당해 계획 또는 사업의 시행에 따른 환경영향의 조사분석예측평가를 기본구조로 하고 있으며 그 접근방법도 대동소이하다 그간 행정계획 및 소규모 개발 사업을 대상으로 한 환경영향평가제도인 사전환경성검토제도와 환경영향평가제도가 별개로 제도화되고 운영됨으로써 통합화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무릇 모든 제도는 원칙과 절차가 있기 마련이다 세계최초로 환경영향평가제도를 도입한 미국의 제도에는 환경영향평가 원칙과 절차가 내재화 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환경영향평가제도의 올바른 이해와 바람직한 한국의 환경영향평가제도 및 운영의 적정화를 뒷받침할 환경평가의 원칙과 절차를 제시 하고자 한다
목차
Ⅰ 서 론
Ⅱ 환경평가의 원칙 및 절차
1 미국의 국가환경정책법의 기본골격 및 원칙
2 UNEP의 EIA 정의 및 목표와 기본원칙
3 ECEU의 환경영향평가 관련 지령
4 리우선언과 의제 21에 제시된 환경영향평가 관련 원칙과 실천
강령
5 국내외 제도상에 나타난 환경영향평가의 이념 목표 원칙
6 각국 제도와 우리나라 제도의 주요 차이점
7 환경영향평가제도의 기본틀
8 환경영향평가제도의 기본구조
9 IAIA가 제정한 바람직한 환경평가의 실행원칙
10 World Bank가 제시한 SEA 적용원칙 및 시사점
11 UNDP가 제시한 효과적인 SEA의 적용원칙
Ⅲ 결론
Ⅱ 환경평가의 원칙 및 절차
1 미국의 국가환경정책법의 기본골격 및 원칙
2 UNEP의 EIA 정의 및 목표와 기본원칙
3 ECEU의 환경영향평가 관련 지령
4 리우선언과 의제 21에 제시된 환경영향평가 관련 원칙과 실천
강령
5 국내외 제도상에 나타난 환경영향평가의 이념 목표 원칙
6 각국 제도와 우리나라 제도의 주요 차이점
7 환경영향평가제도의 기본틀
8 환경영향평가제도의 기본구조
9 IAIA가 제정한 바람직한 환경평가의 실행원칙
10 World Bank가 제시한 SEA 적용원칙 및 시사점
11 UNDP가 제시한 효과적인 SEA의 적용원칙
Ⅲ 결론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정종관
해양환경안전포럼(CNI세미나2017-109)(황운기,이규성,임운혁,이봉길,김도선,정종관) 2017. 09. 15
제5차 충남환경포럼 '전략환경평가의 방향과 과제' (정종관) 2006. 10. 11
허베이스피리트호 서해 유류유출 환경대책 (이인배,안소은,신철오,정종관) 2008. 03. 21
논산시 슬러지 처리시설 설치방안 (정종관,이상진,오혜정) 2007. 04. 24
금강하굿둑 개선방안 모색을 위한 워크숍(정종관) 2014. 02. 05
금강수계 하천,하구 부유쓰레기의 효율적인 처리방안 (정종관) 2008. 09. 19
-
김효주
예산군의 효행과 우애(지역정체성 확립과 자원활용방안 모색을 중심으로) 2002. 10. 16
「충남 근린자치 실태분석 및 활성화 방안」 제4차 워크숍 및 비상임연구위원 공동참여연구 발표·토론회 (김필두,홍정순,김성호,김찬배,길병옥,이상선,이준건) 2012. 08. 02
충남 지역순환 농식품체계와 로컬푸드 연구회 제11회 워크숍 (배대순,박미진,황민호) 2012. 07. 20
제6차 충남 사회적경제 콜로키움 '사회적경제와 귀농·귀촌' (차광주,이상구,이기왕,조남준,유학열,이수행) 2012. 07. 06
충청남도 근린자치 실태분석 및 활성화방안 제3차 워크숍 (하승수, 곽현근) 2012. 06. 18
제5차 충남 사회적경제 콜로키움 '사회적경제에 있어서 자활영역의 역할과 과제' (김정원,노병갑,박찬무,김학실) 2012. 06. 13
- 정봉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