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

내용
2006년 충청남도 금산군에서 개최된 금산세계인삼엑스포는 인삼산업의 활성화와 금산의 브랜드 가치 제고 지역경제 진작을 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국내외에서 약 125만 명의 관람객이 방문하며 성황리에 마무리되었다 엑스포의 단기적 성과를 넘어서 장기적 관점에서의 사후관리와 공간 활용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주요 목적은 엑스포 행사장과 관련 인프라의 지속적 활용 방안과 도시관리 전략 제시이다
연구는 엑스포 개최지인 금산읍의 입지 인구 산업 환경 등 일반 현황을 조사하고 행사 추진체계 행사장 구성 교통 인프라 등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금산읍은 인삼 중심의 지역 경제구조를 가지며 엑스포 개최를 통해 인삼 유통 기반 및 문화 관광자원으로서의 잠재력을 높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행사장 활용 및 주변지역 개발에 대한 전략적 접근이 미흡하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국내외 박람회 사후활용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국내의 대전엑스포 경주엑스포 이천도자기엑스포 등은 테마파크 문화관광시설 연구단지 등으로 전환되었으며 국외의 세비야EXPO92 리스본EXPO98 하노버EXPO2000 등은 상업시설 주거지 컨벤션센터 등으로 재활용되었다 이를 통해 입지 인프라 지역 수요에 맞는 다목적 활용 방안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금산엑스포 행사장의 사후 활용 전략으로는 인삼테마파크 조성 건강체험관 전시관 등의 기능 유지 및 관광자원화 국제인삼유통센터GINDEX의 효율적 운영 금산인삼관의 기능 확대 등이 제시되었다 특히 GINDEX는 현재 운영 비효율성과 낮은 활용도를 보이므로 운영 주체의 전문성 확보 및 유통시스템 개편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도시공간적 측면에서는 엑스포 이후 금산읍의 공간구조 재정립과 기능 배치를 통해 도시 발전 전략을 제시하였다 중점 정비권역을 설정하고 행정복합타운 약초밸리 인삼클러스터 조성 등 세 가지 대안을 중심으로 주변지역 개발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도시 기반시설 확충과 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도모하기 위한 전략적 접근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금산세계인삼엑스포의 일회성 행사로 끝나지 않고 지역 성장의 거점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실질적 사후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향후에는 행사장 활용뿐 아니라 금산읍 전체의 도시재편과 지역산업과의 연계를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해야 하며 이를 위한 정책적 행정적 지원이 병행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연구는 엑스포 개최지인 금산읍의 입지 인구 산업 환경 등 일반 현황을 조사하고 행사 추진체계 행사장 구성 교통 인프라 등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금산읍은 인삼 중심의 지역 경제구조를 가지며 엑스포 개최를 통해 인삼 유통 기반 및 문화 관광자원으로서의 잠재력을 높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행사장 활용 및 주변지역 개발에 대한 전략적 접근이 미흡하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국내외 박람회 사후활용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국내의 대전엑스포 경주엑스포 이천도자기엑스포 등은 테마파크 문화관광시설 연구단지 등으로 전환되었으며 국외의 세비야EXPO92 리스본EXPO98 하노버EXPO2000 등은 상업시설 주거지 컨벤션센터 등으로 재활용되었다 이를 통해 입지 인프라 지역 수요에 맞는 다목적 활용 방안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금산엑스포 행사장의 사후 활용 전략으로는 인삼테마파크 조성 건강체험관 전시관 등의 기능 유지 및 관광자원화 국제인삼유통센터GINDEX의 효율적 운영 금산인삼관의 기능 확대 등이 제시되었다 특히 GINDEX는 현재 운영 비효율성과 낮은 활용도를 보이므로 운영 주체의 전문성 확보 및 유통시스템 개편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도시공간적 측면에서는 엑스포 이후 금산읍의 공간구조 재정립과 기능 배치를 통해 도시 발전 전략을 제시하였다 중점 정비권역을 설정하고 행정복합타운 약초밸리 인삼클러스터 조성 등 세 가지 대안을 중심으로 주변지역 개발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도시 기반시설 확충과 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도모하기 위한 전략적 접근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금산세계인삼엑스포의 일회성 행사로 끝나지 않고 지역 성장의 거점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실질적 사후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향후에는 행사장 활용뿐 아니라 금산읍 전체의 도시재편과 지역산업과의 연계를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해야 하며 이를 위한 정책적 행정적 지원이 병행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목차
제 1 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3 연구 진행 과정
4 용어의 정의
제 2 장 금산읍 일반현황 및 금산세계인삼엑스포 개요
1 금산읍 일반현황
2 2006 금산세계인삼엑스포 개요와 현황
제 3 장 금산세계인삼엑스포 성과와 과제
1 2006 금산세계인삼엑스포 주요성과
2 과제
제 4 장 국내외 엑스포 행사장 사후 활용 사례 분석
1 분석의 항목 설정
2 국내 엑스포 행사장 사후 활용 분석
3 국외 엑스포 행사장 사후 활용 분석
4 분석 종합
제 5 장 금산세계인삼엑스포 행사장 사후활용방안
1 기본방향
2 금산세계인삼엑스포 행사장 사후 활용 전략
3 엑스포 행사장 활용방안
4 국제인삼유통센터GINDEX 활용방안
5 금산인삼관 활용방안
제 6 장 금산세계인삼엑스포 전후 도시 관리 방안
1 도시기능과 역할 정립
2 도시공간구조 구상 및 발전방안
3 엑스포 행사장 주변지역 개발정비방안
참고문헌
부록 1 행정복합타운 사례 검토 용인시 문화복지행정타운
부록 2 금산군 버스터미널자동차정류장 이전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3 연구 진행 과정
4 용어의 정의
제 2 장 금산읍 일반현황 및 금산세계인삼엑스포 개요
1 금산읍 일반현황
2 2006 금산세계인삼엑스포 개요와 현황
제 3 장 금산세계인삼엑스포 성과와 과제
1 2006 금산세계인삼엑스포 주요성과
2 과제
제 4 장 국내외 엑스포 행사장 사후 활용 사례 분석
1 분석의 항목 설정
2 국내 엑스포 행사장 사후 활용 분석
3 국외 엑스포 행사장 사후 활용 분석
4 분석 종합
제 5 장 금산세계인삼엑스포 행사장 사후활용방안
1 기본방향
2 금산세계인삼엑스포 행사장 사후 활용 전략
3 엑스포 행사장 활용방안
4 국제인삼유통센터GINDEX 활용방안
5 금산인삼관 활용방안
제 6 장 금산세계인삼엑스포 전후 도시 관리 방안
1 도시기능과 역할 정립
2 도시공간구조 구상 및 발전방안
3 엑스포 행사장 주변지역 개발정비방안
참고문헌
부록 1 행정복합타운 사례 검토 용인시 문화복지행정타운
부록 2 금산군 버스터미널자동차정류장 이전
연구자의 다른 자료
-
박근수
스포츠 대회 유치를 통한 청양지역활성화 방안 토론회(최인호,김경태,박근수) 2014. 02. 13
공주시 발전방향과 과제 (박근수,소진광,이충훈) 2008. 04. 22
열린충남38호 2007. 03. 01
열린충남54호 2011. 03. 01
2008년 북경올림픽 대비 충청남도 대응방안 2006. 01. 01
충남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대토론회 (이인배,정삼철,박근수,김성진,정병웅) 2007. 03. 23
-
박철희
도민 문화향유 기회 확대방안 세미나 (이형호, 조한영, 이선철, 박철희) 2016. 12. 26
2014 한국도시설계학회 충청지회(박철희,김승근) 2014. 11. 28
2012 행복충남 실현을 위한 내발적 발전 전략연구 보고대회 (고승희,신동호,강마야,송두범,박철희) 2012. 10. 24
공주시 문화예술진흥 계획 2020. 04. 01
충청남도 이미지 실태조사 연구 2009. 01. 01
충남리포트-(제280호) 충남 문화예술인 클러스터 실태와 활성화 방안 2017. 1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