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해 일본 교토고베 유럽 도시들의 공공사인 특징과 제도적 관리 체계를 조사하였다 이들 도시들은 사인 최소화 색채 절제 유니버설 디자인 도입 지역 특화 이미지 반영 모듈화 설계 등의 방식으로 공공성과 심미성을 동시에 확보하고 있었다 특히 사인의 통일성과 절제미를 통해 경관 보호와 정보 전달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충청남도 내 설치된 공공사인은 장소지시 안내사인 마을입구 사인 버스정류장 사인 시군경계 사인 연립사인 현수막 게시대 등 다양하며 대부분 지주식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설치 목적에 비해 크기 색상 정보량이 과도하거나 중복 설치되어 전달 효과가 낮고 주위 환경과 조화되지 않아 시각적 혼란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주요 문제점으로는 비표준화된 형상과 과도한 색상 사용 낮은 내구성의 재료 비효율적 정보 구성 보행자 시선 고려 부족 주변 경관과의 부조화 지역 고유성 부족 사인 간 통합성 결여 등이 지적되었다 이러한 문제는 사인 디자인 과정에서 전문가 참여 부족 조례와 지침의 미비 관리주체의 분산 공공영역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 기인한다
단기 개선방안으로는 공공사인 매뉴얼 및 가이드라인 제정 관련 조례 정비 부서 간 협의체 구성 디자인 심의기구 운영 사인 홈닥터제 등의 디자인 지원 제도가 제시되었다 장기적으로는 공공디자인 전반에 걸친 통합 조례 제정 시범지역 운영 후 확산 민간 부문 확대 건축 인허가 연계 사인 계획 수립 디자인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이 제안되었다
결론적으로 충청남도는 공공사인을 단순한 안내물이 아닌 공공디자인의 핵심 요소로 인식하고 지역 정체성과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통일성과 차별성을 동시에 갖춘 디자인 기준 수립 이용자 중심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공공민간 연계 기반 조성 등을 통해 체계적이고 지속가능한 사인 정책이 요구된다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방법
Ⅱ해외사례
1 일본사례
2 유럽사례
3 시사점
Ⅲ충청남도 현황
1 설치실태
2 문제점
3 문제의 원인
Ⅳ개선방향
1 정책제안단기
2 정책제안장기
Ⅴ디자인가이드
1 디자인가이드방향
2 디자인가이드
Ⅵ부록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사희민
충남발전연구원 2008년도 연구성과 발표회 (오용준,정종관,백운성,이재우,이두진,사희민) 2009. 04. 29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한 디자인 연구 -부여 전통시장을 중심으로 2008. 01. 01
공주시 공공디자인 백서 제작 연구 용역 - 고도(古都)공주 공공디자인으로 꽃피우다 - 2013. 04. 22
황새를 활용한 친환경 브랜드 디자인 개발 용역 2010. 07. 02
충남 전통시장의 실태와 상권활성화구역 지정여건 분석 2010. 01. 01
-
이충훈
홍성군 공공디자인 통합관리 워크숍(이충훈,남택영,황종현,윤세운) 2016. 07. 01
태안군의 발전방향과 과제 (이충훈,이인배,한상욱,조봉운,박철희,임명재) 2004. 12. 21
태안군 관문가꾸기 기본구상 워크숍(이충훈,황종현,조경수,남택영,정현희) 2015. 07. 31
충남공공디자인센터 상반기 워크샵(조주연,윤일,이충훈) 2014. 06. 11
제3차 충남현장포럼 - 홍성 공공디자인 (김윤호,이충훈,김동하) 2016. 10. 12
충남공공디자인클리닉센터 하반기 워크숍 (이충훈, 최명식, 김상열) 2009. 12. 11
-
권영현
열린충남48호 2009. 10. 01
열린충남59호 2012. 06. 01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변화와 충남의 대응전략(김영기, 임준홍) 2010. 02. 09
전통시장연구회 세미나 (노화봉,임준홍,임형빈,권영현) 2011. 08. 31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방향 모색 토론회 (맹부영,진영효,허남혁,임형빈,이상준,이민정,김승일,송두범,김민숙,신동호,강석주,윤정미,김명수,권영현,박희석,이관률,최권성) 2012. 09. 12
황새를 활용한 친환경 브랜드 디자인 개발 용역 2010. 07. 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