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정책 추진 초기에는 공주시의 역사성과 지역성을 반영한 기초 계획들이 마련되었으며 디자인예술고을 사업 등은 공공디자인의 지역 정체성 구현에 중심적 역할을 하였다 도시 물리 환경의 일관성과 미적 통일성을 확보하기 위해 공공시설물 디자인 기준을 마련하고 경관가로건축물 개선 사업이 병행되었다
특히 공공디자인 실천에 있어 공주시는 주민참여를 핵심 원칙으로 삼았다 행복한 마을 만들기 골목길 재생협의회 공공디자인 포럼 및 아카데미 등을 통해 시민이 직접 기획에 참여하고 결과를 공유하는 구조를 마련하였다 이는 공공디자인의 공공성과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는 기반이 되었다
성과 면에서는 공공건축물 리모델링 역사문화공간의 디자인 개선 벽화사업 생태하천 조성 등 다양한 공간에서 공공디자인이 적용되었다 특히 무령왕릉로 테마거리 쌈지주차장 조성 정안밤 브랜드 개발 등은 지역 고유 자원과의 결합을 통해 실질적인 도시 이미지 개선 효과를 거두었다
이러한 성과는 충청남도 공공디자인대전 수상 국도비 공모사업 선정 등 외부 평가에서도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디자인 정책의 지속성과 정체성을 동시에 확보한 사례로 평가된다 공공디자인은 예술성과 실용성 공공성을 조화롭게 실현하는 전략적 도구로 기능하였다
향후 공주시는 역사문화권 생태농촌권 신시가지권 등 권역별 공간 특성을 반영한 중장기 디자인 전략을 수립하고 도시 전역에 걸쳐 통합된 정체성 구축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이러한 방향은 단기적인 환경개선 수준을 넘어 시민 중심의 공공공간 혁신을 위한 중장기적 도시디자인 비전을 구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1 공주와 공공디자인
11 공주의 유래와 정체성
12 공공디자인의 도입과 활용
13 공주 디자인예술고을
2 공공디자인 조직과 기능
21 공공디자인 조직 구성
22 공공디자인 기능
23 공주시 공공디자인위원회
24 도시경관 및 공공디자인 실무협의회
25 목재문화시설 디자인 TF팀
26 공공디자인 관련 법령 및 조례
제2장 공공디자인의 전개
1 공공디자인 목표 및 개념
11 배경 및 목표
12 기본개념
2 도시경관 및 공공디자인 계획
21 2020 공주도시기본계획
22 공주 디자인예술고을 도시기본구상
23 공주고도 도시재생 마스터플랜
24 공주 고도보존계획
25 공공시설물 디자인 가이드라인
26 공주시 경관기본계획
3 경영 활성화를 위한 지원
31 산업디자인 개발지원
32 유구자카드 디자인 개발지원
33 유구자카드 BizPolis 사업
34 도시브랜드 하이터치 개발
35 농산물 공동브랜드 개발
36 정안밤 지리적표시 등록
37 5도2촌 브랜드 개발
4 시민이 함께하는 디자인 프로그램
41 주민참여 행복한 마을 디자인 사업
42 2012 공주시 공공디자인 포럼
43 2012 충남 공공디자인 아카데미
44 공주 도심골목길 재생협의회
45 공공디자인 사업 관련 주민설명회
제3장 공공디자인의 결실
1 공공디자인대전
11 제2회 충청남도 공공디자인대전
12 2013 충청남도 건축공공디자인문화제
2 국비 및 도비 공모사업
21 마을미술 프로젝트
22 구 읍사무소 건물 리모델링
23 도시공원예술로 공모사업
24 국고개 간판이 아름다운 거리 조성사업
25 제민천 명소화 사업
26 계룡산 도자예술촌 휴게공간 조성사업
27 구도심 먹자골목 디자인 프로젝트
28 공모 신청 사업
3 공공디자인 분야 사업성과
4 공공건축 분야 사업성과
5 도시재생 및 생태환경 분야 사업성과
6 공공미술 분야 사업성과
7 행사 개최 및 수상 실적
8 다른 지역과의 교류
제4장 결론 및 앞으로 계획
1 성과 종합 요약
11 도시 정체성의 새로운 모색
12 공공디자인 조직 구성 및 정책 수립
13 주민이 참여하는 공공디자인
14 국도비 지원 디자인사업
15 건축으로 공주 정체성 찾기
2 중장기 계획 방향
21 통합적인 공주 정체성 마련
22 역사문화권역의 중장기 목표
23 생태농촌권역의 중장기 목표
24 신시가지 권역의 중장기 목표
부록
1 공주시 공공디자인 조례
2 보도기사
3 자문 실적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오병찬
[기반강화]2016 충남옥외광고 워크숍 개최 (김정수,오병찬) 2016. 09. 29
충청남도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2021. 01. 01
2020년 공공디자인 컨설팅 종합보고서 2020. 01. 03
디자인 전문저널 2019. 04. 15
[기반강화]2016년 충남공공디자인센터 자문위원 워크숍 2016. 09. 30
센터 하반기 워크숍 2021. 10. 01
-
사희민
충남발전연구원 2008년도 연구성과 발표회 (오용준,정종관,백운성,이재우,이두진,사희민) 2009. 04. 29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한 디자인 연구 -부여 전통시장을 중심으로 2008. 01. 01
공공사인의 디자인 실태 및 개선방안 -충청남도 국도변사인을 중심으로 2007. 01. 01
황새를 활용한 친환경 브랜드 디자인 개발 용역 2010. 07. 02
충남 전통시장의 실태와 상권활성화구역 지정여건 분석 2010. 01. 01
-
임오연
충청남도 정체성을 위한 환경색채 연구 2009. 01. 01
당진 면천 역사문화도시 경관형성 기본계획 수립용역 2011. 03. 24
2009년도 기본과제 연구성과 연찬회 2010. 03. 02
열린충남18호 2002. 01. 01
태안군 경관기본계획 수립 용역 2013. 01. 07
-
이충훈
홍성군 공공디자인 통합관리 워크숍(이충훈,남택영,황종현,윤세운) 2016. 07. 01
태안군의 발전방향과 과제 (이충훈,이인배,한상욱,조봉운,박철희,임명재) 2004. 12. 21
태안군 관문가꾸기 기본구상 워크숍(이충훈,황종현,조경수,남택영,정현희) 2015. 07. 31
충남공공디자인센터 상반기 워크샵(조주연,윤일,이충훈) 2014. 06. 11
제3차 충남현장포럼 - 홍성 공공디자인 (김윤호,이충훈,김동하) 2016. 10. 12
충남공공디자인클리닉센터 하반기 워크숍 (이충훈, 최명식, 김상열) 2009. 12. 11
-
이인배
서산시-충남발전연구원 대산항 연계 중국 관광객 유치를 위한 공동 토론회 (이인배) 2013. 04. 12
2014 지역문화관광 포럼 지역관광 활성화 방향(김영준,이인배) 2014. 12. 19
충남발전연구원-계룡시 세미나(이인배,김종인) 2014. 11. 28
대중국 교류를 위한 서해안 새로운 산업지대망 구축방안 (윤양수,박창호,김군수,이인배,박형창,조창완) 2002. 04. 03
충남 천주교성지의 교황방문과 대응방안 워크숍(장인식,이인배) 2014. 05. 08
열린충남50호 2010. 03. 01
-
박철희
도민 문화향유 기회 확대방안 세미나 (이형호, 조한영, 이선철, 박철희) 2016. 12. 26
2014 한국도시설계학회 충청지회(박철희,김승근) 2014. 11. 28
2012 행복충남 실현을 위한 내발적 발전 전략연구 보고대회 (고승희,신동호,강마야,송두범,박철희) 2012. 10. 24
공주시 문화예술진흥 계획 2020. 04. 01
충청남도 이미지 실태조사 연구 2009. 01. 01
충남리포트-(제280호) 충남 문화예술인 클러스터 실태와 활성화 방안 2017. 11. 15
-
권영현
열린충남48호 2009. 10. 01
열린충남59호 2012. 06. 01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변화와 충남의 대응전략(김영기, 임준홍) 2010. 02. 09
전통시장연구회 세미나 (노화봉,임준홍,임형빈,권영현) 2011. 08. 31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방향 모색 토론회 (맹부영,진영효,허남혁,임형빈,이상준,이민정,김승일,송두범,김민숙,신동호,강석주,윤정미,김명수,권영현,박희석,이관률,최권성) 2012. 09. 12
황새를 활용한 친환경 브랜드 디자인 개발 용역 2010. 07. 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