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공주시 공공디자인 백서 제작 연구 용역 - 고도(古都)공주 공공디자인으로 꽃피우다 -
수탁

공주시 공공디자인 백서 제작 연구 용역 - 고도(古都)공주 공공디자인으로 꽃피우다 -

기간
2013. 04. 22 ~ 2013. 11. 17
연구책임자
권영현
연구자
사희민,임오연,오병찬,이인배,이충훈,박철희
키워드
공공디자인,공주시,도시정체성,주민참여,디자인거버넌스,경관개선,역사문화도시,중장기전략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공주시 공공디자인 백서 제작 연구 용역 - 고도(古都)공주 공공디자인으로 꽃피우다 -_관리자_20160703_1(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공주시는 2007년부터 도시 정체성 회복과 시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공공디자인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왔다 고도古都 공주라는 역사문화적 기반 위에 도시계획 경관계획 고도보존계획 디자인 가이드라인 등을 통합적으로 연계하여 도시의 품격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공공디자인은 단순한 환경 개선을 넘어 도시 전반의 정책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정책 추진 초기에는 공주시의 역사성과 지역성을 반영한 기초 계획들이 마련되었으며 디자인예술고을 사업 등은 공공디자인의 지역 정체성 구현에 중심적 역할을 하였다 도시 물리 환경의 일관성과 미적 통일성을 확보하기 위해 공공시설물 디자인 기준을 마련하고 경관가로건축물 개선 사업이 병행되었다
특히 공공디자인 실천에 있어 공주시는 주민참여를 핵심 원칙으로 삼았다 행복한 마을 만들기 골목길 재생협의회 공공디자인 포럼 및 아카데미 등을 통해 시민이 직접 기획에 참여하고 결과를 공유하는 구조를 마련하였다 이는 공공디자인의 공공성과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는 기반이 되었다
성과 면에서는 공공건축물 리모델링 역사문화공간의 디자인 개선 벽화사업 생태하천 조성 등 다양한 공간에서 공공디자인이 적용되었다 특히 무령왕릉로 테마거리 쌈지주차장 조성 정안밤 브랜드 개발 등은 지역 고유 자원과의 결합을 통해 실질적인 도시 이미지 개선 효과를 거두었다
이러한 성과는 충청남도 공공디자인대전 수상 국도비 공모사업 선정 등 외부 평가에서도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디자인 정책의 지속성과 정체성을 동시에 확보한 사례로 평가된다 공공디자인은 예술성과 실용성 공공성을 조화롭게 실현하는 전략적 도구로 기능하였다
향후 공주시는 역사문화권 생태농촌권 신시가지권 등 권역별 공간 특성을 반영한 중장기 디자인 전략을 수립하고 도시 전역에 걸쳐 통합된 정체성 구축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이러한 방향은 단기적인 환경개선 수준을 넘어 시민 중심의 공공공간 혁신을 위한 중장기적 도시디자인 비전을 구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제1장 공공디자인의 시작
1 공주와 공공디자인
11 공주의 유래와 정체성
12 공공디자인의 도입과 활용
13 공주 디자인예술고을
2 공공디자인 조직과 기능
21 공공디자인 조직 구성
22 공공디자인 기능
23 공주시 공공디자인위원회
24 도시경관 및 공공디자인 실무협의회
25 목재문화시설 디자인 TF팀
26 공공디자인 관련 법령 및 조례
제2장 공공디자인의 전개
1 공공디자인 목표 및 개념
11 배경 및 목표
12 기본개념
2 도시경관 및 공공디자인 계획
21 2020 공주도시기본계획
22 공주 디자인예술고을 도시기본구상
23 공주고도 도시재생 마스터플랜
24 공주 고도보존계획
25 공공시설물 디자인 가이드라인
26 공주시 경관기본계획
3 경영 활성화를 위한 지원
31 산업디자인 개발지원
32 유구자카드 디자인 개발지원
33 유구자카드 BizPolis 사업
34 도시브랜드 하이터치 개발
35 농산물 공동브랜드 개발
36 정안밤 지리적표시 등록
37 5도2촌 브랜드 개발
4 시민이 함께하는 디자인 프로그램
41 주민참여 행복한 마을 디자인 사업
42 2012 공주시 공공디자인 포럼
43 2012 충남 공공디자인 아카데미
44 공주 도심골목길 재생협의회
45 공공디자인 사업 관련 주민설명회
제3장 공공디자인의 결실
1 공공디자인대전
11 제2회 충청남도 공공디자인대전
12 2013 충청남도 건축공공디자인문화제
2 국비 및 도비 공모사업
21 마을미술 프로젝트
22 구 읍사무소 건물 리모델링
23 도시공원예술로 공모사업
24 국고개 간판이 아름다운 거리 조성사업
25 제민천 명소화 사업
26 계룡산 도자예술촌 휴게공간 조성사업
27 구도심 먹자골목 디자인 프로젝트
28 공모 신청 사업
3 공공디자인 분야 사업성과
4 공공건축 분야 사업성과
5 도시재생 및 생태환경 분야 사업성과
6 공공미술 분야 사업성과
7 행사 개최 및 수상 실적
8 다른 지역과의 교류
제4장 결론 및 앞으로 계획
1 성과 종합 요약
11 도시 정체성의 새로운 모색
12 공공디자인 조직 구성 및 정책 수립
13 주민이 참여하는 공공디자인
14 국도비 지원 디자인사업
15 건축으로 공주 정체성 찾기
2 중장기 계획 방향
21 통합적인 공주 정체성 마련
22 역사문화권역의 중장기 목표
23 생태농촌권역의 중장기 목표
24 신시가지 권역의 중장기 목표
부록
1 공주시 공공디자인 조례
2 보도기사
3 자문 실적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