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굴포운하의 역사적 의의와 현대적 활용방안
기획전략(2011년전)

굴포운하의 역사적 의의와 현대적 활용방안

기간
2007. 01. 01 ~ 2007. 12. 31
연구책임자
송두범
연구자
오석민,정춘환,한상욱
키워드
태안,굴포운하
다운로드

굴포운하의 역사적 의의와 현대적활용방안.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최근 대선 공약으로 한반도 대운하가 거론되면서 우리에게는 다소 낯설었던 하천의 주운舟運이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사실 우리 국민들은 수에즈운하나 파나마운하 등을 알고 있을 뿐이며 한반도의 교통은 예전부터 육상 중심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20세기 중반까지도 한반도에서 뱃길은 대량의 물자를 운반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이었다 멀리 경상도의 조운선漕運船은 남해와 서해를 우회하거나 또는 낙동강을 거슬러 올라가서 새재[鳥嶺]을 넘은 후 넘한강을 타고 내려갔다 충청도의 미곡 또한 강경이나 길산 등의 포구에서 집산되어 금강을 타고 내려와서 서해안을 경유한 뒤 한강을 거슬러 운반되었다 대외적으로 중국을 왕래할 때에도 서해를 건너는 경우는 허다하였다
이후 생략

목차

1 서론
2 굴포운하 굴착의 역사적 배경
3 태안 굴포운하 굴착의 역사
4 굴포운하 관련 유적 현황
5 굴포운하유적의 잠재력
6 정책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