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

간행물

좋은 아파트 만들기를 위한 전문가 워크숍 (강인호,이희정,이긍익)
연구정책조성/워크숍

좋은 아파트 만들기를 위한 전문가 워크숍 (강인호,이희정,이긍익)

기간
2007. 05. 16 ~ 2007. 05. 16
키워드
좋은 아파트,지구단위계획,주거환경,건축디자인,커뮤니티,도시경관,용도지역,공공기여
다운로드

좋은 아파트 만들기를 위한 전문가 워크숍.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1주제]좋은 아파트의 개념과 실천 방향 (강인호).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2주제]좋은 아파트 건설을 위한 지구단위계획 수립방향 (이희정).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3주제]충청남도 지구단위계획지침(안) (이긍익).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아파트 공급이 양적 충족 단계에 이르면서 질적 전환이 요구되며 좋은 아파트 개념 정립이 정책 수립의 전제로 제시되었다 중소도시는 지역 특성과 주거문화에 맞는 고유한 아파트 개념이 필요하다
기존 아파트는 고층 판상형 단지식 배치 등 위생적이고 기능 중심의 구조로 설계되어 왔지만 이는 단조롭고 폐쇄적인 주거환경과 경관 파괴 도시 단절 등 여러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좋은 아파트는 도시적 개방성과 다양성 비분절적 생활공간 도시맥락과의 조화를 반영해야 하며 일상생활을 수용할 수 있는 틈새 공간과 접점 공간의 구성도 중요하게 다뤄져야 한다
지구단위계획 수립 시 좋은 아파트 구현을 위해 스카이라인 조정 개방감 있는 배치 색채와 입면 구성 옥탑 및 지붕 디자인 등 다양한 설계 지침이 제안되었으며 분당 신도시 사례가 이상적인 모델로 언급되었다
법적제도적 측면에서는 지구단위계획과 주택법 도시및주거환경정비법 간의 충돌 문제 지구단위계획의 의제 처리로 인한 심의 절차 생략 과밀개발 우려에 대한 기준 마련 필요성이 지적되었다
결론적으로 좋은 아파트 건설을 위한 지구단위계획은 경관 기반시설 공공성 법제적 명확성 등을 포괄하는 종합적 계획이 필요하며 공공과 민간 전문가가 협력해 지속가능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목차

제1주제 좋은 아파트의 개념과 실천 방향
제2주제 좋은 아파트 건설을 위한 지구단위계획 수립방향
제3주제 충청남도 공동주택 건설관련 통합지침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