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연구정책조성/포럼
새국토연구협의회 2007년 제2차 포럼 (조승연,유학열,조영재,김정연,송미령,성주인,엄대호)
- 기간
- 2007. 10. 22 ~ 2007. 10. 22
- 키워드
- 도시재생,주민참여,기성시가지,재정비촉진법,커뮤니티,도시정비,공공성,지방자치
- 다운로드
-
새국토연구협의회 2007년 제2차 포럼.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1주제] 주민참여를 통한 도시재생의 가능성 (조승연).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2주제] 일본 농촌지역 개발주체에 관한 연구 -민관(民官)협동에 의한 마을 만들기의 실태 및 특징 (유학열,조영재,김정연).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3주제] 농촌의 현실 진단과 살기 좋은 농촌 만들기를 위한 과제 (송미령,성주인).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내용
도시재생의 등장
1960년대 이후 우리나라는 한강의 기적이라고 불릴 정도의 높은 경제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산업화가 진행되었고 직업을 찾아 농촌에서 도시로의 유입인구도 급증하였다 그 결과 1960년도의 338였던 도시화율이 2003년에는 890로 크게 늘어나 이제 국민 열 명 중 아홉 명은 도시에 거주하는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소득은 1만 4천불2004년로 세계 30위 수준이며 경제성장률도 2000년 이후 약간 둔화되기는 하였으나 여전히 4대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OECD 국가 중에서 터키89 폴란드55 슬로바키아55의 뒤를 잇는 높은 수준으로 국내 총생산도 전년대비 119가 증가한 6800억 달러로 세계 11위 규모2004년 기준를 기록하는 등 앞으로도 경제 성장은 계속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후 생략
1960년대 이후 우리나라는 한강의 기적이라고 불릴 정도의 높은 경제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산업화가 진행되었고 직업을 찾아 농촌에서 도시로의 유입인구도 급증하였다 그 결과 1960년도의 338였던 도시화율이 2003년에는 890로 크게 늘어나 이제 국민 열 명 중 아홉 명은 도시에 거주하는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소득은 1만 4천불2004년로 세계 30위 수준이며 경제성장률도 2000년 이후 약간 둔화되기는 하였으나 여전히 4대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OECD 국가 중에서 터키89 폴란드55 슬로바키아55의 뒤를 잇는 높은 수준으로 국내 총생산도 전년대비 119가 증가한 6800억 달러로 세계 11위 규모2004년 기준를 기록하는 등 앞으로도 경제 성장은 계속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후 생략
목차
새국토연구협의회 2007년 제2차 포럼
[제1주제] 주민참여를 통한 도시재생의 가능성 조승연 박사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1머리말
2도시정비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주민참여의 강조
3주민참여를 통한 도시재생의 가능성
4참고문헌
[제2주제] 일본 농촌지역 개발주체에 관한 연구 민관民官협동에 의한 마을 만들기의 실태 및 특징
유학열조영재김정연 박사 충남발전연구원
1연구의 배경 및 목적
2관련이론 검토
3민관협동 마을 만들기의 실제
[제3주제] 농촌의 현실 진단과 살기 좋은 농촌 만들기를 위한 과제
송미령성주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도입
2객관적 지표를 통한 농촌의 현실 진단
3농촌의 현실에 대한 농촌 주민과 도시민의 인식
4살기 좋은 농촌 만들기를 위한 농촌정책의 현장 적용 실태
5살기 좋은 농촌 만들기를 위한 과제
[제4주제] 도농교류 활성화를 위한 농촌 어메니티 정책 방향 엄대호 박사 한국농촌공사 농어촌연구원
1서론
2농촌어메니티 개발에 의한 도농교류 활성화 사례
3농촌어메니티에 대한 새로운 개념적 접근
4도농교류 활성화를 위한 농촌어메니티 정책 방향
5결론
6참고문헌
[제1주제] 주민참여를 통한 도시재생의 가능성 조승연 박사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1머리말
2도시정비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주민참여의 강조
3주민참여를 통한 도시재생의 가능성
4참고문헌
[제2주제] 일본 농촌지역 개발주체에 관한 연구 민관民官협동에 의한 마을 만들기의 실태 및 특징
유학열조영재김정연 박사 충남발전연구원
1연구의 배경 및 목적
2관련이론 검토
3민관협동 마을 만들기의 실제
[제3주제] 농촌의 현실 진단과 살기 좋은 농촌 만들기를 위한 과제
송미령성주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도입
2객관적 지표를 통한 농촌의 현실 진단
3농촌의 현실에 대한 농촌 주민과 도시민의 인식
4살기 좋은 농촌 만들기를 위한 농촌정책의 현장 적용 실태
5살기 좋은 농촌 만들기를 위한 과제
[제4주제] 도농교류 활성화를 위한 농촌 어메니티 정책 방향 엄대호 박사 한국농촌공사 농어촌연구원
1서론
2농촌어메니티 개발에 의한 도농교류 활성화 사례
3농촌어메니티에 대한 새로운 개념적 접근
4도농교류 활성화를 위한 농촌어메니티 정책 방향
5결론
6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