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충남

내용
충남은 수도권 전력 수요를 충당하기 위한 석탄 중심의 발전시설이 밀집된 지역으로 자체 소비를 초과하는 에너지 생산과 타 지역 공급으로 인해 온실가스 배출이 전국 최고 수준이다
보고서는 에너지 수급 현황 및 온실가스 배출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 맞춤형 에너지 계획 수립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에너지 수요관리 신재생에너지 확대 주민 참여형 거버넌스 지역에너지 계획의 자율성과 독립성 확보가 핵심 전략으로 제시된다
미국과 영국의 지방정부 사례 분석을 통해 단순한 공급 확대가 아닌 수요 효율화와 지속가능성을 기반으로 한 통합적 에너지 정책이 지자체 차원에서 가능함을 시사한다
또한 델라웨어주의 SEUSustainable Energy Utility 모델을 벤치마킹한 민관 협력형 청정에너지 기구CEL 설립과 같은 제도적 기반 마련도 제안된다
결론적으로 이 보고서는 중앙정부 중심의 기존 에너지 정책 구조에서 벗어나 충청남도가 주도적으로 장기적 비전과 단기 목표를 설정하여 저탄소고효율 에너지 시스템으로 전환할 것을 강조하며 지방정부의 실질적 에너지 자치와 지속가능한 발전 기반 구축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및 내용
2 연구의 방법 및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1 연구방법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제2장 충남의 에너지 수급실태 및 관련계획 분석
1 에너지 사용 및 온실가스 배출 현황
1 에너지 수급 실태
2 온실가스 배출 현황
3 에너지 사용에 따른 환경영향
2 정부 및 충남의 에너지계획 검토
1 에너지관련 주요 정부정책
2 충청남도 지역에너지 연구
3 현행 에너지 정책의 문제점
1 에너지 과소비형 구조의 고착
2 지속가능성을 반영하지 못한 에너지 정책
제3장 해외 모범사례 미국과 영국
1 광역지방정부 에너지계획의 특징
1 종합에너지계획
2 에너지 공급
3 에너지 절약
4 기후변화 대응 에너지 정책
2 범주별 광역지방정부의 에너지계획 사례
1 종합에너지계획
2 거버넌스
3 에너지 공급정책
4 교통정책
5 에너지 효율 제고 및 수요관리 정책
6 기후변화 대응 에너지 정책
7 대중이해 고취
제4장 지역에너지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설정
1 지속가능성 모델과 공간계획
1 경제성장과 지속가능성
2 지속가능성과 공간계획
2 공간통합계획과 에너지
1 개념
2 계획기법과 참여자
3 충남지역 에너지계획 수립절차
제5장 충남의 지역에너지 정책방향과 추진과제
1 지역에너지정책의 기본방향과 전략
1 충남의 에너지 정책환경 분석
2 SWOT 분석 및 지역에너지정책 요건 검토
3 충남 에너지정책의 목표 및 개념도
2 분야별 정책과제
1 저에너지 클린 생산구조 정착
2 에너지 수요관리 적극 추진
3 제도개선 및 홍보
3 정책 건의
제6장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1 시도별 연료별 1차 에너지 소비현황2006
2 시도별 신재생에너지 생산현황2006
3 충청남도 1차 에너지 소비 전망
4 충청남도 연료별 온실가스 배출 전망
5 국가에너지기본계획상의 10대 이행과제 및 세부과제
6 Bright Ideas for Delaware Energy Future2003
7 미국 델라웨어주 Sustainable Energy UtilitySEU 개요
연구자의 다른 자료
-
박훈
충남미래마을연구회 제4차 세미나(CNI세미나2017-172) (마상진,김귀영,우성희,박훈) 2017. 12. 21
도시재생정책의 제도화에 대응한 충남의 도시재생방향과 추진과제 2012. 01. 01
2019 지리학대회 충남연구원 특별세션(지역 포용성장의 거점, 사회혁신공간) 2019. 11. 22
역사문화도시 이미지 형성 방안에 관한 연구 -충남 부여를 중심으로 2009. 01. 01
인구감소시대 지방소멸에 대응한 현장 모니터링 및 통합관리체계 구축 연구 2019. 04. 11
-
서흥원
(국내외교육훈련보고서)해외교육훈련-해외 소도읍 개발정책 비교분석, 미국의 중소도시 재생사례 조사, 지속가능한 충청남도 에너지 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2008. 01. 01
충남발전연구원 2008년도 연구성과 발표회 (오용준,정종관,백운성,이재우,이두진,사희민) 2009. 04. 29
기후변화시대 지역에너지 및 환경정책 세미나(왕영두,여형범) 2014. 10. 08
-
송두범
한중 사회적경제 국제세미나(쉬자량,루용빈,유충식,송두범,박춘섭) 2016. 04. 20
개원 20주년 학술 심포지엄-환황해권 시대 충남의 미래(윤용혁,송두범,홍원표,박인성) 2015. 06. 12
전문가와 함께하는 현장에서 대안찾기 교육1'주민주도의 도심골목 만들기'(박상철,송두범,백은미) 2014. 06. 26
2012 행복충남 실현을 위한 내발적 발전 전략연구 보고대회 (고승희,신동호,강마야,송두범,박철희) 2012. 10. 24
2012 전국 사회적경제 한마당 학술포럼 (임준홍,이은애,홍성효,송두범,이강익,김종수,박상우,구동관,이상구,정태하,최태영,오카야스 기사부로,문보경,김정원,조성은,엄재영,이병학,양정열,정희석,박강태,정은희,조성 2012. 09. 06
2017 한.중 사회경제 발전 국제 심포지엄(CNI세미나2017-173)(송두범,위안뤼쥔,팡시,쉬진,정경록,쉬자량,박춘섭,한익수,타이펑픙,이홍택,우뤼,위주청,홍원표) 2017. 12. 05
-
정종관
해양환경안전포럼(CNI세미나2017-109)(황운기,이규성,임운혁,이봉길,김도선,정종관) 2017. 09. 15
제5차 충남환경포럼 '전략환경평가의 방향과 과제' (정종관) 2006. 10. 11
허베이스피리트호 서해 유류유출 환경대책 (이인배,안소은,신철오,정종관) 2008. 03. 21
논산시 슬러지 처리시설 설치방안 (정종관,이상진,오혜정) 2007. 04. 24
금강하굿둑 개선방안 모색을 위한 워크숍(정종관) 2014. 02. 05
금강수계 하천,하구 부유쓰레기의 효율적인 처리방안 (정종관) 2008. 09. 19
-
김영우
미국 주정부의 지역에너지계획 조사연구 2009. 01. 01
예당저수지 수질개선 기본계획 수립 용역 2012. 02. 07
지방공무원 인사제도 혁신 방안에 관한 연구 2016. 05. 12
충청남도와 시군간 인사교류 활성화 방안 2009. 01. 01
-
왕영두,김정연
기후변화시대 지역에너지 및 환경정책 세미나(왕영두,여형범) 2014. 10. 08
미국 주정부의 지역에너지계획 조사연구 2009. 01. 01
(국내외교육훈련보고서)해외교육훈련-해외 소도읍 개발정책 비교분석, 미국의 중소도시 재생사례 조사, 지속가능한 충청남도 에너지 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2008. 01. 01
2009년도 기본과제 연구성과 연찬회 2010. 03. 02
연구원저서-비매품 연구원저서 - 충남연구원 20년사 2015. 06.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