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열린충남

열린충남

충청남도와 시군간 인사교류 활성화 방안
기획전략(2011년전)

충청남도와 시군간 인사교류 활성화 방안

기간
2009. 01. 01 ~ 2009. 12. 31
연구책임자
고승희
연구자
백종섭,신유호
키워드
충청남도,시군,인사교류
다운로드

R_0912_충청남도와 시·군간 인사교류 활성화 방안(고승희).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와 시군 간 인사교류 활성화 방안은 지방자치단체 간 효율적 협업과 인력 운용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개선을 중심으로 한다 인사교류는 각기 다른 조직 간 이해 증진과 문제 해결비용 최소화에 기여하며 복잡한 행정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수단으로 작용한다
현실적으로는 기관 간 이기주의 정실 및 보복성 인사 문제 등으로 인해 인사교류가 원활하지 못하며 특히 도와 시군 간 인사비율 불균형과 도 출신 공무원 중심의 교류가 갈등을 야기하고 있다 또한 생활권 제약 승진 기회 박탈 인식 근무 여건 악화 등으로 인해 교류 기피 현상이 나타난다
효과적 제도 운영을 위해 교류 목적과 원칙의 정립 기관장의 의지와 교육을 통한 인식 개선 인력 DB 구축 교류자 인사상 우대 정기교류 제도화가 필요하다 특히 인사상 불이익 방지를 위한 보상체계와 교류경로의 합리적 설계가 중요하다
국가 조직 개인 차원에서의 인사교류 필요성은 지식 공유와 융합 인력 불균형 해소 정책 연계성 강화 적성 맞춤형 업무 기회 제공 등으로 설명된다 이는 행정의 효율성과 공무원의 역량 강화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교류 유형은 전입전출 파견 전직 등 다양하며 법적 근거는 국가공무원법과 지방공무원법에 의해 규정된다 특히 5급 이상 공무원을 중심으로 교류가 추진되며 인사상 우대조치와 교류수당 등 실질적 지원도 마련되어 있다
근본적으로는 제도에 대한 불신을 해소하고 공정한 운영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공무원의 사기와 전문성을 고려한 인사교류가 정착될 수 있도록 제도적 설계와 지속적 평가가 병행되어야 한다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제2장 인사교류에 대한 이론적 논의
제1절 인사교류의 개념과 필요성
제2절 인사교류제도
제3절 선진사례
제4절 선행연구 검토
제3장 충청남도 도청과 시군간 인사교류 현황 및 실태 분석
제1절 분석의 틀
제2절 인사교류 운영 실태
제3절 인사교류 개선 관련 도시군 관계자 의견조사
제4절 인사교류 관련 공무원 의식조사
제4장 충남의 도시군간 인사교류 원칙과 활성화방안
제1절 인사교류의 원칙
제2절 충남도와 시군간 인사교류의 활성화 방안
제5장 결론
참고문헌
설문지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