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내용
이 보고서는 충남 서북부지역의 공간구조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도시간 불균형 해소와 효율적인 광역교통체계 구축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충남 도청 이전홍성읍과 경제자유구역 지정 제2서해안고속도로 건설 등 대형 개발사업으로 인해 이 지역의 공간구조 변화가 예상되며 이에 따른 선제적 교통 인프라 대응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연구는 교통량 분석과 중심지 이론을 기반으로 남북 및 동서 방향의 교통축을 설정하고 축별 교통량 편차를 통해 지역 간 불균형을 진단하였다 분석 결과 남북축의 교통량이 상대적으로 높고 균형적이지만 동서축은 교통량 편차가 크고 불균형적이라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교통 흐름의 축별 집중과 분산을 반영한 인프라 개선 방향이 도출되었다
또한 인구 기반 중심도 분석을 통해 서산시가 상위 중심지로 홍성예산태안합덕광천읍이 중위 중심지로 설정되었으며 안면읍과 삽교읍은 하위 중심지로 나타났다 장래 인구예측 결과 도청 이전으로 인해 중심축이 홍성읍과 삽교읍 중심으로 재편될 것으로 보이며 기존 서산 중심 체계는 약화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중심도 변화는 개발축의 재설정으로 이어지며 최상위 개발축이 홍성서산당진에서 홍성삽교당진으로 전환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따라 자동차 전용도로 순환선 구축과 지역 간 연계를 강화하는 교통망 재정비가 제안되었다 또한 철도 인프라의 취약성 보완을 위해 장항선 복선전철화 등의 대중교통 확충도 필요하다고 지적되었다
연구는 공간구조 분석을 단순 진단에 그치지 않고 실제 교통시설 개발과 비교하여 타당성을 검토함으로써 실질적인 정책 활용 기반을 마련하였다 개발축별 위계와 교통시설의 정합성을 검토한 결과 일부 축은 교통 인프라가 미흡하므로 보완이 시급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이 보고서는 충남 서북부지역의 공간구조 변화에 대응하는 통합적 교통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기능하며 장래 개발계획과 연계된 선개발후공급형 행정 조치 마련에 활용 가능하다 균형발전과 효율적 교통 인프라 구축을 위한 다핵형33 중심구조 체계 제안은 지역 발전 전략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연구는 교통량 분석과 중심지 이론을 기반으로 남북 및 동서 방향의 교통축을 설정하고 축별 교통량 편차를 통해 지역 간 불균형을 진단하였다 분석 결과 남북축의 교통량이 상대적으로 높고 균형적이지만 동서축은 교통량 편차가 크고 불균형적이라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교통 흐름의 축별 집중과 분산을 반영한 인프라 개선 방향이 도출되었다
또한 인구 기반 중심도 분석을 통해 서산시가 상위 중심지로 홍성예산태안합덕광천읍이 중위 중심지로 설정되었으며 안면읍과 삽교읍은 하위 중심지로 나타났다 장래 인구예측 결과 도청 이전으로 인해 중심축이 홍성읍과 삽교읍 중심으로 재편될 것으로 보이며 기존 서산 중심 체계는 약화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중심도 변화는 개발축의 재설정으로 이어지며 최상위 개발축이 홍성서산당진에서 홍성삽교당진으로 전환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따라 자동차 전용도로 순환선 구축과 지역 간 연계를 강화하는 교통망 재정비가 제안되었다 또한 철도 인프라의 취약성 보완을 위해 장항선 복선전철화 등의 대중교통 확충도 필요하다고 지적되었다
연구는 공간구조 분석을 단순 진단에 그치지 않고 실제 교통시설 개발과 비교하여 타당성을 검토함으로써 실질적인 정책 활용 기반을 마련하였다 개발축별 위계와 교통시설의 정합성을 검토한 결과 일부 축은 교통 인프라가 미흡하므로 보완이 시급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이 보고서는 충남 서북부지역의 공간구조 변화에 대응하는 통합적 교통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기능하며 장래 개발계획과 연계된 선개발후공급형 행정 조치 마련에 활용 가능하다 균형발전과 효율적 교통 인프라 구축을 위한 다핵형33 중심구조 체계 제안은 지역 발전 전략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공간구조 분석을 위한 이론적 검토
제3장 충남 서북부지역의 현황분석
제4장 충남 서북부지역 현재 공간구조 분석
제5장 장래 여건을 고려한 공간구조 전망
제6장 결론 및 향후 연구 방향
참고문헌
부록
제2장 공간구조 분석을 위한 이론적 검토
제3장 충남 서북부지역의 현황분석
제4장 충남 서북부지역 현재 공간구조 분석
제5장 장래 여건을 고려한 공간구조 전망
제6장 결론 및 향후 연구 방향
참고문헌
부록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이계준
지역사회 레질리언스 포럼(CNI세미나2017-180) 2017. 12. 15
충남발전연구원 2008년도 연구성과 발표회 (오용준,정종관,백운성,이재우,이두진,사희민) 2009. 04. 29
-
김경석,오용준
대전-당진,공주-서천간 고속도로 개통에 따른 충남의 발전 전략 심포지엄 (김경석,조봉운,임형빈,김정연,한상욱,오용준,윤정미,송지현,김성진,김경태) 2009. 05. 25
충남 행복지수 개발을 위한 생활기반 부문 전문가 워크숍(고승희, 오용준) 2012. 06. 22
충남 자전거도로 설치기준 마련을 위한 기초연구 2010. 01. 01
U-Eco City 계획모델 구축 및 적용방안 2010. 01. 01
열린충남49호 2009. 12. 01
-
송양빈
충남발전연구원 2008년도 연구성과 발표회 (오용준,정종관,백운성,이재우,이두진,사희민) 2009. 04.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