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열린충남

열린충남

우리나라 중소도시 쇠퇴실태와 특성
기획전략(2011년전)

우리나라 중소도시 쇠퇴실태와 특성

기간
2008. 01. 01 ~ 2008. 12. 31
연구책임자
이인희
키워드
우리나라,중소도시,쇠퇴,도심쇠퇴
다운로드

R_0812_우리나라 중소도시 쇠퇴실태와 특성(이인희).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우리나라 중소도시들은 대도시 기능의 집중과 도시체계의 양극화 현상 속에서 상대적 절대적 쇠퇴를 겪고 있으며 일부는 광역도시권에 편입되어 성장하지만 다수는 인구 감소 산업 기반 약화 등의 문제로 쇠퇴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은 지역 간 불균형 발전 문제를 심화시키고 도시재생의 필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도시 쇠퇴의 원인은 인구 노령화 순인구 이동 감소 산업 기반의 축소 사업체 및 종사자 수 감소 노후주택 비율 증가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증가 등 복합적 요인으로 나타난다 특히 대도시와 멀리 떨어진 지역일수록 경제적 활력 저하가 뚜렷하며 일부 대도시 인접 도시들에서도 빈곤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연구는 전국 인구 5만50만 명의 중소도시를 대상으로 쇠퇴 지표를 선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중소도시 쇠퇴 실태를 분석했다 선정된 지표는 인구 증감률 순인구이동률 사업체 종사자 수 노후주택 비율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수 등이며 이를 통해 도시들을 쇠퇴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사례 분석 지역인 충남에서는 천안시 아산시 공주시 서산시 당진군을 중심으로 도심 쇠퇴 실태를 조사하였고 대부분의 지역이 도심 중심부의 쇠퇴 양상을 보였다 이는 신시가지 개발에 비해 기성시가지가 상대적으로 방치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교육 문화 재정 등의 기능격차가 발생하였다
도시재생을 위한 정책적 대응은 일률적인 개발보다는 지역별 쇠퇴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중소도시의 실태 진단과 유형화는 필수적인 과정이다 도시 간 비교를 통해 상대적 쇠퇴를 인식하고 이를 토대로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중소도시의 쇠퇴를 단순한 물리적 노후화가 아닌 인구사회적 경제적 물리적 요인의 복합적 결과로 파악하고 이를 유형화하여 정책적 개입의 근거를 마련한 데 의의가 있다 향후에는 지역 실정에 맞는 세부 정책 수립과 사례 기반의 심층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목차

제1장 서론
11 연구의 배경
12 연구의 목적
13 개념 및 방법론
131 용어 정의와 개념
1311 낙후지역
1312 도시쇠퇴
132 분석 공간단위와 자료
133 도시 쇠퇴 진단을 위한 방법론
134 쇠퇴 지표
제2장 선행연구 고찰
21 도시쇠퇴
211 도시쇠퇴의 일반적 양상
212 도시쇠퇴의 원인
213 도시쇠퇴 유형화
22 낙후쇠퇴 지표
221 삶의 질 지표
222 낙후지역 선정지표
223 해외연구에서의 지표 연구
23 우리나라의 낙후쇠퇴지역 개발정책 및 연구
231 쇠퇴낙후 지역 연구 동향
2411 낙후지역 연구
2412 지역유형화 연구
제3장 우리나라 중소도시의 쇠퇴 실태 및 특성
31 중소도시의 현황
311 중소도시
312 읍급 소도읍
313 인구규모와 인구성장률에 의한 분류
32 중소도시의 쇠퇴실태와 특성
321 인구 사회적 요인과 관련된 쇠퇴
322 경제적 요인과 관련된 쇠퇴
323 노후주택 및 빈곤관련 요인과 관련된 쇠퇴
제4장 지방중소도시의 도심쇠퇴 충남지역 사례
41 충남지역의 인구증감
42 충남 주요도시의 도심쇠퇴
421 천안시
422 아산시
423 공주시
424 서산시
425 당진군
제5장 결론
미주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