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충남

내용
충청남도 중소도시 쇠퇴 특성 분석 연구는 도시 쇠퇴의 실태를 진단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적 기반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 분석 대상은 충청남도 동읍 지역 61개 행정구역이며 2000년과 2005년 데이터를 기준으로 쇠퇴 요인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도시는 고유한 지역성과 외부 요인의 영향을 동시에 받으며 쇠퇴가 진행된다 기존 연구들은 주로 대도시 중심이었고 인접 도시와의 상호작용을 간과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이 연구는 Twostep 군집분석 공간자기상관 분석 회귀분석 등을 통해 통합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내부요인으로는 독거노인 가구 비율 노후 주택 비율 신규 건축 비율 종사자 수 노령화 지수가 주요 변수로 나타났다 외부요인으로는 서울 KTX 접근성과 같은 교통망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쇠퇴 유형은 접근성에 따라 뚜렷하게 구분되며 대전이나 고속도로와의 연결성이 높은 지역은 성장세를 보이고 내륙이나 산맥으로 단절된 지역은 쇠퇴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도권 접근성은 중소도시 쇠퇴에 가장 강력한 외부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도시 쇠퇴 극복을 위해서는 쇠퇴 유형에 따라 차별화된 도시재생정책이 필요하며 단순히 인프라 확충보다는 내부외부요인을 동시에 고려한 전략이 요구된다 교통망 확장 노후 주택 정비 고령층 지원 정책이 통합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지방 중소도시를 위한 도시재생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지속가능한 성장 전략 수립을 위한 정책결정에 실질적인 참고가 될 수 있다 지역 특성과 쇠퇴 원인을 정밀 분석해 실효성 있는 재생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핵심이다
도시는 고유한 지역성과 외부 요인의 영향을 동시에 받으며 쇠퇴가 진행된다 기존 연구들은 주로 대도시 중심이었고 인접 도시와의 상호작용을 간과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이 연구는 Twostep 군집분석 공간자기상관 분석 회귀분석 등을 통해 통합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내부요인으로는 독거노인 가구 비율 노후 주택 비율 신규 건축 비율 종사자 수 노령화 지수가 주요 변수로 나타났다 외부요인으로는 서울 KTX 접근성과 같은 교통망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쇠퇴 유형은 접근성에 따라 뚜렷하게 구분되며 대전이나 고속도로와의 연결성이 높은 지역은 성장세를 보이고 내륙이나 산맥으로 단절된 지역은 쇠퇴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도권 접근성은 중소도시 쇠퇴에 가장 강력한 외부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도시 쇠퇴 극복을 위해서는 쇠퇴 유형에 따라 차별화된 도시재생정책이 필요하며 단순히 인프라 확충보다는 내부외부요인을 동시에 고려한 전략이 요구된다 교통망 확장 노후 주택 정비 고령층 지원 정책이 통합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지방 중소도시를 위한 도시재생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지속가능한 성장 전략 수립을 위한 정책결정에 실질적인 참고가 될 수 있다 지역 특성과 쇠퇴 원인을 정밀 분석해 실효성 있는 재생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핵심이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2장 이론적 고찰
1 도시쇠퇴에 관한 이론적 고찰
1 도시쇠퇴의 정의
2 도시쇠퇴의 원인
2 공간자기상관
1 Geary 지표c
2 Moran 지표I
3 군집분석
1 군집분석의 특성과 방법
2 이단계 군집분석
4 선행연구
1 도시쇠퇴 원인 및 특성에 관한 연구
2 공간자기상관에 관한 연구
3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
제3장 도시쇠퇴진단지표 선정 및 분석방법
1 도시쇠퇴 진단지표 선정
1 도시쇠퇴 내부요인
2 도시쇠퇴 외부요인
2 데이터 구축
1 도시쇠퇴 내부요인 데이터 구축
2 도시쇠퇴 외부요인 데이터 구축
3 분석방법
1 도시쇠퇴 내부요인을 이용한 특성 도출 방법
2 도시쇠퇴 외부요인에 의한 영향 분석방법
3 도시쇠퇴 내부외부요인에 의한 통합적 영향 분석방법
제4장 분석 및 적용
1 분석프로세스
1 데이터 구축단계
2 분석방법 단계
3 분석 및 적용 단계
2 도시쇠퇴특성 및 영향 분석
1 시계열 도시쇠퇴분포
2 Two step 군집분석을 이용한 쇠퇴특성 공간 유형화
3 공간자기상관을 이용한 도시쇠퇴특성 분석
4 도시쇠퇴 외부요인에 의한 통합적 영향 분석
5 도시쇠퇴 내부외부요인에 의한 영향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1 요약 및 정책제언
2 연구의 의의 및 향후과제
참고문헌
부록 1 충청남도 시계열 인구분석
부록 2 충청남도 읍면동 단위의 도시쇠퇴 내부요인 데이터
부록 3 시계열현재와 추이 각 부문별 도시쇠퇴 분포도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2장 이론적 고찰
1 도시쇠퇴에 관한 이론적 고찰
1 도시쇠퇴의 정의
2 도시쇠퇴의 원인
2 공간자기상관
1 Geary 지표c
2 Moran 지표I
3 군집분석
1 군집분석의 특성과 방법
2 이단계 군집분석
4 선행연구
1 도시쇠퇴 원인 및 특성에 관한 연구
2 공간자기상관에 관한 연구
3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
제3장 도시쇠퇴진단지표 선정 및 분석방법
1 도시쇠퇴 진단지표 선정
1 도시쇠퇴 내부요인
2 도시쇠퇴 외부요인
2 데이터 구축
1 도시쇠퇴 내부요인 데이터 구축
2 도시쇠퇴 외부요인 데이터 구축
3 분석방법
1 도시쇠퇴 내부요인을 이용한 특성 도출 방법
2 도시쇠퇴 외부요인에 의한 영향 분석방법
3 도시쇠퇴 내부외부요인에 의한 통합적 영향 분석방법
제4장 분석 및 적용
1 분석프로세스
1 데이터 구축단계
2 분석방법 단계
3 분석 및 적용 단계
2 도시쇠퇴특성 및 영향 분석
1 시계열 도시쇠퇴분포
2 Two step 군집분석을 이용한 쇠퇴특성 공간 유형화
3 공간자기상관을 이용한 도시쇠퇴특성 분석
4 도시쇠퇴 외부요인에 의한 통합적 영향 분석
5 도시쇠퇴 내부외부요인에 의한 영향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1 요약 및 정책제언
2 연구의 의의 및 향후과제
참고문헌
부록 1 충청남도 시계열 인구분석
부록 2 충청남도 읍면동 단위의 도시쇠퇴 내부요인 데이터
부록 3 시계열현재와 추이 각 부문별 도시쇠퇴 분포도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서경천
충남 소지역의 인구 및 가구. 주택 특성 분석 및 정책과제 2016. 04. 29
2009년도 기본과제 연구성과 연찬회 2010. 03. 02
저탄소 에너지 절약형 도시계획의 정책과제 및 추진전략 2009. 01. 01
-
윤정미
충남 DB 구축 및 활용에 관한 워크숍(김영훈,윤정미) 2015. 01. 09
Global Open Innovation 세미나(이상호,윤정미,조준배,진현석) 2014. 06. 24
대전-당진,공주-서천간 고속도로 개통에 따른 충남의 발전 전략 심포지엄 (김경석,조봉운,임형빈,김정연,한상욱,오용준,윤정미,송지현,김성진,김경태) 2009. 05. 25
열린충남45호 2008. 12. 01
열린충남46호 2009. 04. 01
열린충남63호 2013. 06.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