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충남

내용
본 연구는 지방공무원이 단순한 행정 집행자에서 정책 기획자 및 갈등 조정자로 역할이 확대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여 공무원 교육훈련체계를 근본적으로 개선할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충청남도 공무원 교육훈련체계를 중심으로 실태를 분석하고 제도 개선 및 프로그램 혁신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는 문헌조사 민간 및 해외 사례분석 충남 공무원 대상 설문 및 면담조사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교육훈련의 문제점을 진단하였다 그 결과 충청남도 교육훈련은 교육수요와 연계된 체계적 계획 부족 교육인프라 미흡 실적 중심의 형식적 교육 운영 교육성과에 대한 체계적 평가 부재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민간기업의 교육훈련은 핵심역량 중심 실무 문제해결 능력 배양 수요자 중심의 프로그램 운영이라는 점에서 차별화되며 일본과 같은 선진국의 사례에서도 자율성과 창의성을 기반으로 한 학습조직 중심 교육이 강조되고 있었다 이에 비해 국내 지방공무원 교육은 여전히 집합 강의 위주의 전달형 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연구는 충청남도 교육훈련체계 개선방안으로 중장기 교육훈련계획 수립 전문 교수요원 확보 교육관리자의 역량 강화 자율성과 다양성 확보 교육인사 연계 강화 등을 제안하였다 프로그램 운영 측면에서는 직급별 리더십 중심 교육 전환 현장 행정 중심 교육 개발 사이버교육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또한 교육성과의 체계적 평가를 위해 환류 체계 강화 성과 기반 평가모형 도입 교육훈련 이력관리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점도 제기되었다 특히 교육훈련이 승진을 위한 수단이 아닌 역량 향상의 기회로 인식되도록 인식 전환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결론적으로 지방공무원의 교육훈련은 단기적 실적 위주의 형식적 운영에서 벗어나 실질적인 역량개발과 조직성과 제고를 위한 전략적 기능으로 자리매김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교육수요자 중심의 체계화된 운영체계 마련과 지속 가능한 교육평가 및 피드백 시스템이 필수적임을 강조하고 있다
연구는 문헌조사 민간 및 해외 사례분석 충남 공무원 대상 설문 및 면담조사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교육훈련의 문제점을 진단하였다 그 결과 충청남도 교육훈련은 교육수요와 연계된 체계적 계획 부족 교육인프라 미흡 실적 중심의 형식적 교육 운영 교육성과에 대한 체계적 평가 부재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민간기업의 교육훈련은 핵심역량 중심 실무 문제해결 능력 배양 수요자 중심의 프로그램 운영이라는 점에서 차별화되며 일본과 같은 선진국의 사례에서도 자율성과 창의성을 기반으로 한 학습조직 중심 교육이 강조되고 있었다 이에 비해 국내 지방공무원 교육은 여전히 집합 강의 위주의 전달형 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연구는 충청남도 교육훈련체계 개선방안으로 중장기 교육훈련계획 수립 전문 교수요원 확보 교육관리자의 역량 강화 자율성과 다양성 확보 교육인사 연계 강화 등을 제안하였다 프로그램 운영 측면에서는 직급별 리더십 중심 교육 전환 현장 행정 중심 교육 개발 사이버교육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또한 교육성과의 체계적 평가를 위해 환류 체계 강화 성과 기반 평가모형 도입 교육훈련 이력관리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점도 제기되었다 특히 교육훈련이 승진을 위한 수단이 아닌 역량 향상의 기회로 인식되도록 인식 전환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결론적으로 지방공무원의 교육훈련은 단기적 실적 위주의 형식적 운영에서 벗어나 실질적인 역량개발과 조직성과 제고를 위한 전략적 기능으로 자리매김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교육수요자 중심의 체계화된 운영체계 마련과 지속 가능한 교육평가 및 피드백 시스템이 필수적임을 강조하고 있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교육훈련에 관한 이론적 논의
제1절 행정환경과 교육훈련 패러다임 변화
제2절 지방공무원교육훈련 체계
제3절 선행연구 검토
제3장 선진교육훈련기관 사례 검토
제1절 민간기업 사례와 시사점
제2절 해외교육기관 사례
제4장 충청남도 공무원교육훈련실태 및 의식조사 분석
제1절 교육훈련평가 분석의 틀
제2절 충청남도 지방공무원 교육훈련제도의 분석
제3절 충청남도 공무원교육훈련에 대한 의식조사 결과
제5장 충청남도 공무원교육훈련 개선방안
제6장 결론
참고문헌
제2장 교육훈련에 관한 이론적 논의
제1절 행정환경과 교육훈련 패러다임 변화
제2절 지방공무원교육훈련 체계
제3절 선행연구 검토
제3장 선진교육훈련기관 사례 검토
제1절 민간기업 사례와 시사점
제2절 해외교육기관 사례
제4장 충청남도 공무원교육훈련실태 및 의식조사 분석
제1절 교육훈련평가 분석의 틀
제2절 충청남도 지방공무원 교육훈련제도의 분석
제3절 충청남도 공무원교육훈련에 대한 의식조사 결과
제5장 충청남도 공무원교육훈련 개선방안
제6장 결론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고승희
2016 지방공기업 경영평가 관계자 합동 워크숍(고승희,김영일,김용운) 2016. 04. 11
충남 행복지수 개발을 위한 생활기반 부문 전문가 워크숍(고승희, 오용준) 2012. 06. 22
충남발전연구원 개원 17주년 자료집 (고승희,신동호) 2012. 06. 14
2012 행복충남 실현을 위한 내발적 발전 전략연구 보고대회 (고승희,신동호,강마야,송두범,박철희) 2012. 10. 24
지방분권의 현황과 과제(박종관,문광민,이희재) 2016. 08. 17
2013 행복한 삶 : 경제적 가치를 넘어 (다쇼 카르마 우라,코널 스미스,장지에,고승희) 2013. 11. 22
-
김원겸
충청남도 공무원 교육훈련 환경분석 및 외부 우수사례 연구 2022. 08. 22
태안군 공동 워크숍(CNI세미나2017-098) (홍규선, 김진영, 임준홍) 2017. 08. 17
충남발전연구원 2008년도 연구성과 발표회 (오용준,정종관,백운성,이재우,이두진,사희민) 2009. 04.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