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정책지도

정책지도

충청권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성공적 구축 (최병호,박상철)
연구정책조성/세미나

충청권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성공적 구축 (최병호,박상철)

기간
2008. 04. 15 ~ 2008. 04. 15
키워드
중이온가속기,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혁신클러스터,대덕특구,충청권,과학기술인프라,전략산업,슈퍼클러스터
다운로드

「충청권 국제과학비지니스벨트」의 성공적 구축.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1주제]중이온가속기 시설의 세계젹 사례 (최병호).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제2주제]충청권의 국제과학비지니스벨트 구축 타당성 (박상철).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2008년 4월 충청권공동발전연구단 주관으로 충남도청에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구축을 주제로 세미나가 개최되었다 중이온가속기와 충청권의 과학벨트 추진 타당성을 중심으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되었다
한국은 세계 13위의 경제규모와 기술준비성 고등교육 분야에서 경쟁력을 보이지만 정책 불안정성과 관료 비효율성 등이 한계로 지적되며 과학비즈니스벨트는 이를 극복하고 혁신 역량을 강화하는 국가전략으로 제시되었다
기술선진국은 혁신클러스터를 통해 지식경제 체제로 전환하고 있으며 충청권은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강력한 연구개발 인프라와 인력을 갖추고 있어 과학벨트 구축에 최적의 조건을 보유하고 있다
혁신클러스터는 기업 간 밀집과 강력한 네트워크 기술 이전과 안정적 사업활동을 특징으로 하며 최근에는 생태체제와 통합적 거버넌스를 중시하는 방식으로 진화 중이다
충청권은 대덕연구단지 오송오창 산업단지 세종시를 연계한 슈퍼클러스터 형성이 가능하며 하드 인프라로 교통망 통신망 주거 및 교육환경 조성 소프트 인프라로는 제도 법률 서비스 체계 구축이 요구된다
결론적으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는 국가 장기발전 비전으로 충청권의 협력과 주체 간 네트워크 형성이 성공의 핵심이며 개방적 협력체제와 슈퍼클러스터 간 시너지 창출이 필수 요소로 제시되었다

목차

제1주제 중이온가속기 시설의 세계적 사례
1 만물 원자 입자 빔
2 가속기 개요
3 국내 가속기 현황
4 세계적인 중이온가속기 현황
5 중이온가속기 활용분야
6 복합형 중이온가속기 예시
7 국제과학비지니스벨트와 연계성
제2주제 충청권의 국제과학비지니스벨트 구축 타당성
1 현황
2 기술선진국 발전전략
3 혁신클러스터의 의미
4 혁신클러스터의 신규경향
5 충청권 과학기술 인프라 및 투자
6 국제과학비지니스벨트 구축 배경 및 이유
7 과학비지니스벨트 추진과제하드 인프라
8 과학비지니스벨트 추진과제소프트 인프라
9 결론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