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 변화는 단기간에 종 수준을 넘어 군집과 생태계 전체에 영향을 미치며 인간 생존과 직결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충남 지역에서도 생태계 장기모니터링 체계 구축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해외 주요국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생태계 장기모니터링 시스템을 국가 차원에서 마련해 운영 중이며 영국은 ECN 미국은 LTER 일본과 호주도 자체 연구기관과 지표를 통해 체계적 조사를 수행하고 있다
국내 기존 연구는 산림 보존 중심으로 편중되었고 지역적 특성 반영과 기후변화 중심 지표가 부족해 지역 맞춤형 대응에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충남을 대상으로 한 독립적인 생태계 변화 모니터링 체계가 요구된다
충남 내 적합한 조사지로는 계룡산 대호방조제 간월호 유부도 등이 제시되었고 조사 항목은 조류의 첫 산란일과 한배산란수 곤충상 변화 식생 동태 저서무척추동물 동향 등이다
조사자는 지역 거주자를 우선 선정하고 모니터링 운영위원회를 구성해 전문가 공무원 지역대학의 협력을 유도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자료의 정량적 수집과 표준화도 강조되었다
정책적으로는 생물다양성 변화에 대응하는 행동계획 수립 종 감소 원인 규명 부서 간 협력 체계 구축이 핵심 과제로 제시되었고 향후 기후적응형 지역 생태관리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되었다
해외 주요국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생태계 장기모니터링 시스템을 국가 차원에서 마련해 운영 중이며 영국은 ECN 미국은 LTER 일본과 호주도 자체 연구기관과 지표를 통해 체계적 조사를 수행하고 있다
국내 기존 연구는 산림 보존 중심으로 편중되었고 지역적 특성 반영과 기후변화 중심 지표가 부족해 지역 맞춤형 대응에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충남을 대상으로 한 독립적인 생태계 변화 모니터링 체계가 요구된다
충남 내 적합한 조사지로는 계룡산 대호방조제 간월호 유부도 등이 제시되었고 조사 항목은 조류의 첫 산란일과 한배산란수 곤충상 변화 식생 동태 저서무척추동물 동향 등이다
조사자는 지역 거주자를 우선 선정하고 모니터링 운영위원회를 구성해 전문가 공무원 지역대학의 협력을 유도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자료의 정량적 수집과 표준화도 강조되었다
정책적으로는 생물다양성 변화에 대응하는 행동계획 수립 종 감소 원인 규명 부서 간 협력 체계 구축이 핵심 과제로 제시되었고 향후 기후적응형 지역 생태관리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되었다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11 연구 배경
12 연구 필요성
13 연구 목적
2 연구 내용 및 방법
21 연구 범위
22 연구 방법
23 선행 연구와의 차별성
24 용어 정의
제2장 생태계 장기모니터링의 개념 및 연구 결과 사례
1 생태계 장기모니터링의 개념
11 생태계 장기모니터링 개념
12 모니터링 자료의 활용 사례
2 기후변화 관련 생태계 장기모니터링의 개념
21 개념 및 목적
22 기존 생태계 모니터링과의 차별성
3 국내외 생태계 장기모니터링 연구 결과 사례
31 생태계 장기모니터링 연구 결과 국외사례
32 생태계 장기모니터링 연구 결과 국내 사례
제3장 기후변화 관련 생태계 장기모니터링 시스템 및 연구 지표
1 국외 시스템 및 연구 지표
11 국외 연구 시스템
12 장기생태계 모니터링 국외 연구 지표
2 국내 시스템 및 연구 지표
21 국내 연구 시스템
22 국내 연구 지표
3 국내외 장기생태모니터링 운영 시스템 종합
31 연구 시스템
32 연구 지표
제4장 충청남도 생태계 장기모니터링 지침 및 방안
1 충청남도 자연환경 및 주요 서식지
11 충남의 자연환경 현황
12 충남의 주요 서식지
2 현장 조사 결과 및 검증
21 조사 개요
22 조사 결과 및 고찰
3 충남 장기모니터링 지표지점 및 지침 선정
31 충남 장기모니터링 지표 및 지점 선정
32 충남 장기 모니터링 지표별 지침안
4 장기 생태모니터링 운영 및 활용 방안
41 모니터링 운영 방안
42 모니터링 활용 방안
제5장 요약 및 제언
1 요약 및 결론
2 정책 제언
1 연구 배경 및 목적
11 연구 배경
12 연구 필요성
13 연구 목적
2 연구 내용 및 방법
21 연구 범위
22 연구 방법
23 선행 연구와의 차별성
24 용어 정의
제2장 생태계 장기모니터링의 개념 및 연구 결과 사례
1 생태계 장기모니터링의 개념
11 생태계 장기모니터링 개념
12 모니터링 자료의 활용 사례
2 기후변화 관련 생태계 장기모니터링의 개념
21 개념 및 목적
22 기존 생태계 모니터링과의 차별성
3 국내외 생태계 장기모니터링 연구 결과 사례
31 생태계 장기모니터링 연구 결과 국외사례
32 생태계 장기모니터링 연구 결과 국내 사례
제3장 기후변화 관련 생태계 장기모니터링 시스템 및 연구 지표
1 국외 시스템 및 연구 지표
11 국외 연구 시스템
12 장기생태계 모니터링 국외 연구 지표
2 국내 시스템 및 연구 지표
21 국내 연구 시스템
22 국내 연구 지표
3 국내외 장기생태모니터링 운영 시스템 종합
31 연구 시스템
32 연구 지표
제4장 충청남도 생태계 장기모니터링 지침 및 방안
1 충청남도 자연환경 및 주요 서식지
11 충남의 자연환경 현황
12 충남의 주요 서식지
2 현장 조사 결과 및 검증
21 조사 개요
22 조사 결과 및 고찰
3 충남 장기모니터링 지표지점 및 지침 선정
31 충남 장기모니터링 지표 및 지점 선정
32 충남 장기 모니터링 지표별 지침안
4 장기 생태모니터링 운영 및 활용 방안
41 모니터링 운영 방안
42 모니터링 활용 방안
제5장 요약 및 제언
1 요약 및 결론
2 정책 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정옥식
제2회 서천발전포럼(CNI세미나2017-026) (정옥식, 유옥환,이대성,사공정희,심순섭) 2017. 04. 04
해양수산 전국포럼 충남세미나(CNI세미나2017-141)(최지연, 남정호, 정옥식, 김진영, 박현규) 2017. 11. 06
금강하구생태복원 세미나(CNI2017-079) (최영래,박진순,이나무,김태인,정옥식,이창희) 2017. 07. 12
한국유기농업학회 2018년 공동학술세미나(CNI세미나2018-006)(이관률,권순직,정옥식,김성환,김훈,김태연) 2018. 02. 20
습지 전문가 토론회(CNI세미나 2020-017) 2020. 06. 19
충남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한 자원활용 방안 마련 세미나(CNI세미나2019-131) 2019. 1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