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열린충남

열린충남

충청남도 하천유형별 실태분석 및 복원방안 -하천생태축의 사례하천을 중심으로
기획전략(2011년전)

충청남도 하천유형별 실태분석 및 복원방안 -하천생태축의 사례하천을 중심으로

기간
2009. 01. 01 ~ 2009. 12. 31
연구책임자
오혜정
연구자
조용현,김도훈
키워드
충청남도,하천관리,생태축
다운로드

R_0912_충청남도 하천유형별 실태분석 및 복원방안(오혜정).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 하천유형별 실태분석 및 복원방안 연구는 하천을 이수치수 위주의 관리에서 생태적 기능 회복 중심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한다 도시형 평지농촌형 산지형 하천 각 1곳씩을 선정해 수질 유량 자연도 등을 분석하고 유형별 복원 방향을 도출했다
도시형 하천 곡교천은 도심 하천 합류로 수질오염이 심각하며 수질개선이 최우선 과제다 하천주변은 인공구조물로 인해 녹지가 단절되어 있으며 교란 방지를 위해 가로녹지 조성 제방 정비 주민참여형 관리방안이 요구된다
평지농촌형 청지천은 농지와 축사 하수처리시설로 인한 오염원이 밀집되어 있어 수질이 매우 나쁜 상태다 보 철거 어도 설치 수변녹지 및 저류지 조성 등 유역 차원의 종합적 수질 개선과 생태계 복원이 필요하다
산지형 하천 용수천은 자연성은 높지만 하천과 산림의 연결성이 부족하다 주거지나 시설물로 인한 단절을 해소하기 위해 생태통로 연결녹지 조성 등이 필요하며 보 철거와 행락객 관리도 병행되어야 한다
하천복원 우선순위는 수질이 나쁘고 생태유량이 부족한 유역부터 설정하고 하천자연도 3등급 이하 구간은 차후 복원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 물리적 구조는 낮은 등급 구간부터 우선 복원하는 방식이 적절하다
수질지표와 하천자연도 간 상관성이 낮기 때문에 각각의 평가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생물학적 지표를 추가한 생태건강성 평가도 필요하다 유역 단위 통합 접근을 통해 충남 광역생태네트워크 구축에 기여할 수 있다

목차

발간사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제2장 관련 이론 및 국내외 하천관리 및 복원 연구동향
제1절 하천관리 및 복원의 동향 및 개념
1 하천관리 및 복원의 최근 동향
2 하천복원의 여건과 가능성
제2절 하천복원 관련 개념
제3장 하천복원의 평가 및 분석
제1절 하천복원의 평가
제2절 하천복원 사업의 사례
제4장 하천유형별 관리 및 복원방안
제1절 하천유형별 관리방안
제2절 하천유형별 복원방안
제5장 결론 및 제언
제1절 요약 및 결론
제2절 정책제언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