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세미나

세미나

충청남도 통합성과관리 체계 연구
기획전략(2011년전)

충청남도 통합성과관리 체계 연구

기간
2010. 01. 01 ~ 2010. 12. 31
연구책임자
임현준,고승희
키워드
충청남도,통합성과관리,목표관리제도(MBO),책임경영제도,균형성과제도(BSC)
다운로드

R101201-충청남도 통합성과관리 체계 연구(고승희,임현준)1.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본 연구는 충남도청의 현행 성과관리제도를 민선 5기를 기점으로 하여 효율적인 통합성과관리 운영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현재 충남도청에서 목표관리제 실국장 책임 경영제 성과관리BSC 제도가 운용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기초적인 연구로서 현행 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타 광역자치단체 수준에서 도입운영 중인 성과관리제도를 파악하여 충남도청에 접목 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나아가 충남도청 관리층 공무원들을 중심으로 현행 성과관리제도에 대한 인식과 현행 체계에서 성과관리제도 운용의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 분석을 토대로 하여 통합성과관리 모형을 설계하였다
이후 생략

목차

제1장 서 론
제 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제 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제2장 통합성과관리의 이론적 검토
제 1절 성과관리의 개념
1 성과관리의 개념
제 2절 성과관리 제도
1 목표관리제도MBO
2 책임경영제도
3 균형성과제도BSC
4 직무성과계약제도
제 3절 광역자치단체 성과관리 운영 사례
1 서울특별시
2 부산광역시
3 경기도
4 경상남도
5 주요 광역자치단체 성과관리제도 요약
제3장 충남도청의 성과관리제도 운영실태
제 1절 성과관리 제도 현황
1 실국장 책임경영제도
2 목표관리제MBO 제도
3 성과관리 제도
제 2절 성과관리 제도의 인식조사
1 개 관
2 측정변수와 분석기법
3 성과관리의 제도적 요인에 대한 인식
4 성과관리의 운영적 요인에 대한 인식
5 성과관리제도의 효과성
6 성과관리제도의 효과성에 대한 집단간 인식 분석
7 성과관리 효과성에 미치는 요인 분석
제 3절 현행 성과관리 제도 운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1 실국장 책임경영제도 운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2 목표관리제도
3 성과관리제도
제4장 충남도청의 통합성과관리 운영방안
제 1절 통합성과관리 모형의 방향
제 2절 충남도청 통합성과관리 운영방안
1 성과관리와 직무성과 계약제를 통한 통합성과관리모형 1안
2 성과관리 직무성과계약제 결과를 활용한 성과연봉제 운영모형모형 2안
3 종합
제5장 결 론
제 1절 연구결과의 요약
제 2절 정책적 제언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