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충남

내용
공공공간의 조건은 상징성 정체성 심미성 편의성 건강성 등 총 20개로 정리되며 공주시 내 공공공간 평균 평가는 491점으로 보통 수준이다 문화예술성과 건강성 사회적 약자를 고려한 접근성 등은 특히 낮은 평가를 받았다
유형별로 보면 문화재 기반 공공공간이 도시계획시설보다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문화예술성과 건강성 측면에서 우수했다 반면 도시계획시설은 경제성과 기능성에 치중되어 있으며 심미성과 편의성 등은 낮았다
행정구역별로 웅진동 봉황동 등은 조건이 양호한 반면 반죽동 교동 등은 미흡한 평가를 받았다 특히 하천공간은 전체적으로 우수한 공공공간 조건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방향으로는 공공공간의 질을 점진적이고 통합적으로 개선하는 단계별 접근이 제안된다 생리적 욕구 중심의 경제성에서 벗어나 건강성 편의성 문화예술성까지 포함한 종합적 개선이 필요하다
주민생활과 밀접한 도로 주차장 시장 등에 대한 우선 개선과 문화재나 수변공간 등 활용 잠재력이 높은 공간의 적극적 활용이 강조된다 동별 특성과 주민참여 기반의 지속 가능한 공공공간 조성 체계도 필요하다는 결론을 제시한다
목차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3 연구추진과정
4 선행연구검토
5 관련 용어의 검토
제 2 장 이론적 고찰
1 도시 공공공간의 개념
2 도시 공공공간의 유형과 조건
3 소결
제 3 장 분석 틀의 설정
1 조사 개요
2 조사 방법
제 4 장 공주시 공공공간 실태조사 및 분석
1 공주시 일반현황
2 공공공간 현황 및 조사대상 선정
3 공공공간 조성 실태조사 및 분석
제 5 장 공주시 공공공간 조성 개선방안
1 공공공간 조건별 개선방향
2 공공공간 유형별 개선방향
3 공공공간 행정구역별 개선방향
참고 문헌
부 록 1 공공공간 실태조사표
부 록 2 공주도시지역 공공시설 현황
부 록 3 공주 도시지역 내 문화재 현황 10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이정수
논산시 발전방향 모색을 위한 워크숍 (임양빈,김명수,이정수) 2010. 09. 17
2010 여성건축공무원 공공디자인 워크숍 (이정수,강선아,최은주,나윤주) 2010. 11. 25
제3차 2012충남공공디자인아카데미 (임재일,안장원,이정수) 2012. 10. 30
도시재생을 위한 가로환경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2007. 01. 01
충청남도 공공디자인 조직구성과 운영방안 2009. 01. 01
-
한정
대도시권 설정과 통계지원체제 정립방향 (김재익,권창기,정현욱,백운성) 2007. 01. 25
충남 공동체 활동현황 분석을 위한 공동체사업 이력관리DB구축 2019. 07. 22
지역공동체를 활용한 충남형 돌봄체계 모델 구축 2019. 04. 16
충남리포트-92호-충청남도 소비의 선순환이 필요하다 -아산시 가구소비를 중심으로- 2013. 12. 19
산림자원연구소 효율적 활용을 위한 정책 발굴 2019. 03. 01
-
박철희
도민 문화향유 기회 확대방안 세미나 (이형호, 조한영, 이선철, 박철희) 2016. 12. 26
2014 한국도시설계학회 충청지회(박철희,김승근) 2014. 11. 28
2012 행복충남 실현을 위한 내발적 발전 전략연구 보고대회 (고승희,신동호,강마야,송두범,박철희) 2012. 10. 24
공주시 문화예술진흥 계획 2020. 04. 01
충청남도 이미지 실태조사 연구 2009. 01. 01
충남리포트-(제280호) 충남 문화예술인 클러스터 실태와 활성화 방안 2017. 11. 15
-
이상민
충청남도 소규모 수도시설의 운영실태 및 관리방안 2008. 01. 01
창의·도전·실천의 차세대 인재육성을 위한 한중일 국제학술 심포지엄 (이상민,조경리,우영자,장춘신,이시야마 수미오,최한규,임명재,박종관) 2009. 10. 21
열린충남 제87호 (2019-여름) 2019. 06. 25
충남 디자인사업 연계 추진방안 2018. 03. 01
제8회 아시아미래포럼(CNI세미나2017-149)(배규식,신동호,김제선,김홍장) 2017. 1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