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이동통로 목표종 및 유형 결정을 위한 야생동물 서식 및 이동 현황 조사
현안

이동통로 목표종 및 유형 결정을 위한 야생동물 서식 및 이동 현황 조사

기간
2010. 01. 01 ~ 2010. 12. 31
연구책임자
정옥식
키워드
야생동물,생태네트워크,이동통로,단절지점,충청남도,금북정맥,금남정맥,서식지
다운로드

F_1001_야생동물이동현황(정옥식).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 생태네트워크는 야생동물의 서식지 단절을 해결하고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 주요 단절 지점을 복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금북정맥과 금남정맥을 중심으로 관리구역을 설정하였으며 도로로 인한 단절 현황을 조사했다 금북정맥은 75개소 금남정맥은 19개소에서 도로 단절이 확인되었고 단절이 심각한 구간은 이동통로 설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주요 단절 지점별로 야생동물 서식 현황과 도로 구조를 조사했으며 포유류 조류 양서파충류 등 다양한 종이 확인되었다 이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소형동물 이동 가능성 대형동물 이동 제한 여부 등을 평가했다
특정 지점에서는 자연형 수로 및 수로박스를 통해 제한적으로나마 동물 이동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고 절토 및 낙석방지 시설로 인해 이동이 차단되는 경우도 발견되었다
이동통로 우선 설치 구간은 생태적 연결성 확보를 위해 시급성과 가능성을 기준으로 선정되었으며 각 구간별로 구체적인 설치 방안이 제시되었다
조사 결과는 향후 충청남도 생태네트워크의 효율적 관리와 지속적인 복원 사업 추진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본 연구는 도로에 의한 생태계 단절 문제를 해결하고 야생동물 보호를 위한 정책 수립과 실행을 촉진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 개요
1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 방법 및 내용
13 충청남도 생태네트워크 관리 현황
14 생태네트워크 내 도로에 의한 단절지점
Ⅱ 생태네트워크 내 주요 단절 지점 현황
21 주요 단절 지점 위치
22 단절 지점 주요 현황
221 제1지점
222 제2지점
223 제3지점
224 제4지점
225 제5지점
226 제6지점
227 제7지점
228 제8지점
229 제9지점
2210 제10지점
2211 제11지점
2212 제12지점
2213 제13지점
2214 제14지점
Ⅲ 이동통로 우선 설치 구간 선정 및 이동통로 유형
31 이동통로 우선 설치 구간
32 우선설치 구간 야생동물 이동 현황 및 대책
321 제1지점
322 제5지점
323 제8지점
324 제11지점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