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정책지도

정책지도

(주)HST 유치에 따른 충청남도 및 아산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현안

(주)HST 유치에 따른 충청남도 및 아산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기간
2011. 04. 13 ~ 2011. 04. 22
연구책임자
홍성효
연구자
임병철
키워드
충청남도,아산시,HST 유치,경제적 파급효과,산업연관분석,생산유발효과,부가가치유발효과,고용유발효과
다운로드

F_1105_(주)HST 유치에 따른 충청남도 및 아산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홍성효).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본 보고서는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농공단지에 입주 예정인 플라스틱 제품 제조업체 주식회사 HST의 투자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분석은 산업연관분석모형을 활용하여 건설효과와 생산효과로 나누어 수행되었으며 공간적으로는 아산시 충남 기타 지역으로 구분하여 효과를 측정하였다 HST는 총 88억 원을 투자하고 132명을 고용할 계획이며 부지면적은 9283로 설정되었다
생산효과는 기업의 실제 생산활동 개시에 따라 발생하는 지속적 효과로 부지면적에 기반한 산업별 부지원단위를 적용하여 산정되었다 아산시 부지원단위를 기준으로 할 경우 생산액 증가 444억 원 부가가치 증가 91억 원 고용 증가 8명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국 평균 기준으로는 각각 808억 원 165억 원 14명까지 증가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아산시의 공간생산성이 전국 평균보다 낮기 때문이며 향후 여건이 개선되면 상승 여지가 있다
건설효과는 일회성 효과로 투자금액 88억 원이 건설부문 수요로 유입되며 발생한다 전국 기준으로는 생산유발효과 2251억 원 부가가치유발효과 88억 원 고용유발효과 166명이 분석되었고 이 중 충남이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544 589 647로 나타났다 아산시 개별 수치는 명확히 제시되진 않았지만 사업이 직접 이루어지는 현장 중심으로 효과가 집중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HST의 입주가 아산시와 충청남도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하며 특히 생산활동 개시 이후에도 지역 경제 내 파급효과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기적 가치가 있다 다만 본 보고서는 장기 생산활동에 따른 연간 반복적 효과는 포함하지 않아 실제 파급효과는 더욱 클 가능성이 있다
결과적으로 주식회사 HST의 유치는 아산시 지역경제에 실질적인 생산과 고용 증가를 가져올 뿐 아니라 충청남도 전반에 걸쳐 긍정적 경제 효과를 확산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본 분석은 향후 유사한 기업 유치나 정책 수립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목차

1 분석 개요
2 파급효과의 구분 및 분석모형 설정
1 효과의 구분
2 분석모형
3 분석 결과
1 생산활동에 따른 파급효과
2 건설활동에 따른 파급효과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