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기타보고서

기타보고서

전통시장 활성화 설문조사 평가분석
현안

전통시장 활성화 설문조사 평가분석

기간
2011. 05. 20 ~ 2011. 06. 20
연구책임자
임준홍
키워드
전통시장,설문조사
다운로드

전통시장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한 상인의식 설문조사 분석결과(임준홍 외)_2011.06.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홈페이지원문공개]전통시장 활성화 설문조사 평가분석_관리자_20160919_1.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설문분석 요약 및 시사점
전통시장 관련 사업의 시장활성화 기여 정도
1 시설현대화 사업
시설현대화사업3가지 유형 기반시설 편의시설 홍보시설 관련 사업의 효과에 대해 응답자의 334는 시장활성화에 많이 기여하였다고 생각함보통까지 포함하면 577
3가지 사업유형 중에서는 기반시설 정비사업 효과가 가장 크다고 생각함
기반시설 정비사업394 편의시설 정비사업373 홍보시설 확충사업280
기반시설 정비사업 중에서는 비가림시설312과 아케이드 설치142를 편의시설 정비사업 중에서는 주차장 설치773를 홍보시설 확충사업 중에서는 이벤트광장247과 시장안내판 설치227 사업의 효과가 크다고 생각함
지금까지의 사업에도 불구하고 향후에도 시설현대화사업은 계속 추진되어야 한다고 생각함응답자의 887
2 경영현대화 사업
경영현대화사업 결과 응답자의 418가 시장활성화에 많이 기여하였다고 생각함보통까지 포함하면 771
경영현대화사업 중에서는 공동마케팅283의 사업효가가 가장 크고 이어 상인대학 교육242 온누리 상품권 취급191 임
이러한 경영현대화사업에 대해 아직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를 원함
응답자의 860가 추가적인 시설현대화사업을 희망
상인의식 개선과 마케팅 능력 향상 등의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상인교육의 경우 526의 응답자가 효과가 높다고 생각하고 있음
이후 생략

목차

Ⅰ 설문조사 개요
Ⅱ 설문분석 요약 및 시사점
1 전통시장 관련 사업의 시장활성화 기여 정도
2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 성과효과 평가
3 전통시장 활성화 방향
4 정책제언
Ⅲ 분야별 설문 분석결과
1 상인 및 점토특성
2 전통시장 활성화사업에 대한 평가
3 전통시장활성화 사업의 성과 평가
4 전통시장 활성화의 과제와 정책 방향
설문항목별 조사통계표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