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연구요약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크게 4부문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농촌지역 리더와 관련된 연구동향 검토 및 지역리더 개념 도출 둘째 농촌지역 리더육성과 관련된 중앙정부 및 충남의 정책동향 검토 셋째 충남 7개 시군 농촌지역 리더활동 실태조사 개요 및 결과 넷째 충남 농촌지역 리더활동실태 평가와 개선방안 정책제언을 하였다
1 농촌지역 리더와 관련된 연구동향 검토 및 지역리더 개념 도출
첫째 리더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리더의 핵심역량 및 특성지표들이 삶의 질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농가소득 향상 등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주로 다루고 있다 리더의 역량 및 특성지표로는 인간관계 역량 감성 및 인지역량 리더쉽 역량 의사소통역량 산업지식 및 기술역량 농업경영역량 등으로 구분하였다 농촌지역 리더의 특성은 인적자본사회자본
외부적 측면 지역농업 실천 측면으로 보고 지자체 농정목표 실현에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후 생략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크게 4부문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농촌지역 리더와 관련된 연구동향 검토 및 지역리더 개념 도출 둘째 농촌지역 리더육성과 관련된 중앙정부 및 충남의 정책동향 검토 셋째 충남 7개 시군 농촌지역 리더활동 실태조사 개요 및 결과 넷째 충남 농촌지역 리더활동실태 평가와 개선방안 정책제언을 하였다
1 농촌지역 리더와 관련된 연구동향 검토 및 지역리더 개념 도출
첫째 리더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리더의 핵심역량 및 특성지표들이 삶의 질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농가소득 향상 등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주로 다루고 있다 리더의 역량 및 특성지표로는 인간관계 역량 감성 및 인지역량 리더쉽 역량 의사소통역량 산업지식 및 기술역량 농업경영역량 등으로 구분하였다 농촌지역 리더의 특성은 인적자본사회자본
외부적 측면 지역농업 실천 측면으로 보고 지자체 농정목표 실현에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후 생략
목차
제1장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2
3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1 연구의 내용 2
2 연구의 범위 3
3 연구의 방법 3
4 추진체계 4
5 추진경과 5
4 연구의 차별성 및 기대효과 6
제2장 농촌지역 리더관련 연구동향
1 지역리더 개념의 이론적 배경 7
2 농촌지역 리더관련 이론적 검토 13
1 리더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13
2 리더육성을 위한 교육활성화에 관한 연구 17
3 지역리더의 개념과 유형 19
1 지역리더의 개념 19
2 지역리더의 유형 19
3 지역리더의 역할 20
4 소결 21
제3장 농촌지역 리더관련 정책동향
1 중앙정부의 농업농촌 인력육성 정책의 현황 22
1 제1차 농림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산어촌지역개발 5개년 기본계획0509 23
2 제2차 농림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산어촌지역개발 5개년 기본계획1014 25
3 기타 농촌인력육성사업 현황 28
4 최근 농촌인력육성사업 체계 개편동향 31
2 충청남도의 농업농촌 인력육성 정책의 현황 32
1 3농 혁신 기본계획 32
3 소결 34
1 리더육성정책의 문제점과 한계 34
2 분석틀 36
제4장 지역별 리더활동 실태 연구
1 조사개요 37
2 계룡시 40
1 계룡시 개요 40
2 농촌리더 활동내용 44
3 농촌리더 활동의 지역내 정성적정량적 파급효과 57
3 금산군 62
1 금산군 개요 62
2 농촌리더 활동내용 65
3 농촌리더 활동의 지역내 정성적정량적 파급효과 95
4 논산시 102
1 논산시 개요 102
2 농촌리더 활동내용 104
3 농촌리더 활동의 지역내 정성적 효과 122
5 당진군 126
1 당진군 개요 126
2 농촌리더 활동내용 128
6 보령시 153
1 보령시 개요 153
2 농촌리더 활동내용 155
7 부여군 172
1 부여군 개요 172
2 농촌리더 활동내용 174
3 농촌리더 활동의 지역내 정성적정량적 파급효과 186
8 아산시 194
1 아산시 개요 194
2 농촌리더 활동실태 내용 196
제5장 리더활동실태 평가와 개선방안
1 요약 정리 204
2 리더활동에 대한 종합평가 207
3 종합평가를 통한 개선방안 210
제6장 결론
1 정책제언 214
1 후계리더 인력발굴과 양성시스템 구축 215
2 지역역량강화 계획 수립과 충남 농촌지역 리더쉽 교육프로그램 운영 216
3 현실적인 예산과 제도 인프라 기반조성 217
4 지역의 문화사회정서역사 여건의 종합적으로 고려된 차별화 정책 수립 218
2 맺음말 219
참고문헌 222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2
3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1 연구의 내용 2
2 연구의 범위 3
3 연구의 방법 3
4 추진체계 4
5 추진경과 5
4 연구의 차별성 및 기대효과 6
제2장 농촌지역 리더관련 연구동향
1 지역리더 개념의 이론적 배경 7
2 농촌지역 리더관련 이론적 검토 13
1 리더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13
2 리더육성을 위한 교육활성화에 관한 연구 17
3 지역리더의 개념과 유형 19
1 지역리더의 개념 19
2 지역리더의 유형 19
3 지역리더의 역할 20
4 소결 21
제3장 농촌지역 리더관련 정책동향
1 중앙정부의 농업농촌 인력육성 정책의 현황 22
1 제1차 농림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산어촌지역개발 5개년 기본계획0509 23
2 제2차 농림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산어촌지역개발 5개년 기본계획1014 25
3 기타 농촌인력육성사업 현황 28
4 최근 농촌인력육성사업 체계 개편동향 31
2 충청남도의 농업농촌 인력육성 정책의 현황 32
1 3농 혁신 기본계획 32
3 소결 34
1 리더육성정책의 문제점과 한계 34
2 분석틀 36
제4장 지역별 리더활동 실태 연구
1 조사개요 37
2 계룡시 40
1 계룡시 개요 40
2 농촌리더 활동내용 44
3 농촌리더 활동의 지역내 정성적정량적 파급효과 57
3 금산군 62
1 금산군 개요 62
2 농촌리더 활동내용 65
3 농촌리더 활동의 지역내 정성적정량적 파급효과 95
4 논산시 102
1 논산시 개요 102
2 농촌리더 활동내용 104
3 농촌리더 활동의 지역내 정성적 효과 122
5 당진군 126
1 당진군 개요 126
2 농촌리더 활동내용 128
6 보령시 153
1 보령시 개요 153
2 농촌리더 활동내용 155
7 부여군 172
1 부여군 개요 172
2 농촌리더 활동내용 174
3 농촌리더 활동의 지역내 정성적정량적 파급효과 186
8 아산시 194
1 아산시 개요 194
2 농촌리더 활동실태 내용 196
제5장 리더활동실태 평가와 개선방안
1 요약 정리 204
2 리더활동에 대한 종합평가 207
3 종합평가를 통한 개선방안 210
제6장 결론
1 정책제언 214
1 후계리더 인력발굴과 양성시스템 구축 215
2 지역역량강화 계획 수립과 충남 농촌지역 리더쉽 교육프로그램 운영 216
3 현실적인 예산과 제도 인프라 기반조성 217
4 지역의 문화사회정서역사 여건의 종합적으로 고려된 차별화 정책 수립 218
2 맺음말 219
참고문헌 222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강마야
국회 농정예산 세미나(서세욱, 강마야) 2016. 07. 28
농정 제도개선을 위한 국회 심포지엄 : 대한민국 농업직불금의 새로운 길(박진도,이관률, 강마야) 2015. 02. 02
2018년 축산.환경공존연구회 : 제2차 축산정책포럼(CNI세미나2018-021)(박승주,조성미,강마야) 2018. 03. 30
축산과 환경의 공존 : 가축매몰지 제도개선을 위한 워크샵 2016. 10. 11
충남 농산물 유통개선 사례와 정책방안 워크숍 - 현재까지 연구진행 및 산지유통 보고(김종화), 산지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박경철), 6차산업유통 보고(김종화), 6차산업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강마야) 2013. 11. 27
농정패러다임 전환모색을 위한 충청남도의 제안 (박진도,강마야,김태연,이관률) 2016. 10. 20
-
송주연
(해외출장보고서)해외출장보고서-2013년 일본 식농자원경제학회 출장보고서 (후쿠오카, 벳푸) 2013. 09. 14
충남 로컬푸드 활성화 방안 2011. 01. 01
보령시 농어업,농어촌 중장기 발전계획 용역 2011. 06. 23
3농혁신의 중간 모니터링 및 지속성 제고방안 연구 2013. 02. 01
예산군 지역순환형 농업발전전략 (친환경농업을 중심으로) 수립 연구용역 2011. 11. 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