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이와 같은 중층적복합적 위기 국면의 타개를 위한 시스템 전반적인 전환이 모색되어야 할 시기이며 실제로 전 세계적으로 국가나 지역 시민사회 차원에서 그러한 노력들이 점차 커지고 있다 즉 사회적경제적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식품체계sustainable food system의 구축이 절실한 과제가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 지역 차원에서 가능한 일이 바로 충남에서 지역순환 식품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며 그중 핵심이 되는 것이 바로 로컬푸드를 활성화하는 것이다 農食 관계를 강화하는 로컬푸드를 통한 지역시장local market의 활성화는 지역순환 식품체계 구축의 출발점이자 핵심과제이다 전 세계적으로 지속 가능한 식품체계의 구축과 로컬푸드의 활성화에 대한 국가 지자체 시민사회의 노력과 사례들이 최근 들어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순환 식품체계의 구축이라는 장기적 과제 중에서 충남 로컬푸드의 활성화를 위한 연구이다 민선 5기 충남형 로컬푸드 정책방향 및 정책 모델 추진체계를 제시하고 현장에서 바로 시행 가능한 다양한 정책 모델과 원활한 추진을 위한 추진체계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후 생략
목차
1 연구 배경 1
2 연구 목적 및 내용 5
3 선행연구 검토 8
제2장 로컬푸드의 이론적 검토 11
제1절 지역순환 식품체계와 로컬푸드 개념 11
1 식품체계 11
2 지역순환 식품체계 14
3 로컬푸드 15
4 관련 개념들과의 비교 검토 20
제2절 로컬푸드 활성화의 효과 25
1 일반적 효과 25
2 로컬푸드와 농촌개발과의 관련성 29
제3절 로컬푸드 공급구조 및 시장의 특성 38
1 공급사슬구조 41
2 시장의 특성 41
3 성과 44
4 로컬푸드 시장의 특성과 정책적 함의 45
제4절 소결 로컬푸드를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와 활용 47
제3장 로컬푸드의 유형과 현황 48
제1절 로컬푸드의 유형 48
제2절 해외 로컬푸드의 현황 53
1 일본 53
2 미국 79
3 영국 88
4 프랑스 100
5 이탈리아 105
6 소결 해외 정책사례의 시사점 112
제3절 국내 로컬푸드의 현황 115
1 로컬푸드의 현황 115
2 중앙정부 관련 정책 120
3 지자체 로컬푸드 정책 129
제4장 로컬푸드 사업체 실태분석 및 사례연구 169
제1절 로컬푸드 사업체 실태분석 169
1 조사개요 169
2 조사대상의 일반특성 172
3 로컬푸드의 인식 180
4 로컬푸드 생산자 연계 188
5 로컬푸드 소비자 연계 195
6 로컬푸드 시장 201
7 로컬푸드 제도 211
8 로컬푸드 성과 216
9 로컬푸드 활성화 방안 223
10 로컬푸드 활성화 정책대안 228
11 소결 234
제2절 로컬푸드 사례연구 236
1 청주청원 로컬푸드 네트워크 사례 236
2 서천 마서동네장터 사례 245
3 충남지역 꾸러미사업 농가 사례 252
제5장 로컬푸드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 257
제1절 기본 원칙 257
제2절 활성화 방안 259
1 생산 주체 261
2 시장 262
3 제도 271
4 관련 정책 273
제3절 추진 방안 278
1 중장기 로드맵 278
2 추진체계 거버넌스와 중간지원조직 279
제4절 분야별 연계 방안 280
1 농촌 마을만들기와 로컬푸드 280
2 도시 커뮤니티 활성화와 로컬푸드 285
3 농협과 로컬푸드 290
4 향토산업과 로컬푸드 299
제5절 향후 과제 지역순환 식품체계 구축 307
제6장 결 론 312
참고문헌 316
[부록 1] 로컬푸드 사업체 설문조사표 321
[부록 2] 전략과제 관련 워크샵 개최 내역 334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강마야
국회 농정예산 세미나(서세욱, 강마야) 2016. 07. 28
농정 제도개선을 위한 국회 심포지엄 : 대한민국 농업직불금의 새로운 길(박진도,이관률, 강마야) 2015. 02. 02
2018년 축산.환경공존연구회 : 제2차 축산정책포럼(CNI세미나2018-021)(박승주,조성미,강마야) 2018. 03. 30
축산과 환경의 공존 : 가축매몰지 제도개선을 위한 워크샵 2016. 10. 11
충남 농산물 유통개선 사례와 정책방안 워크숍 - 현재까지 연구진행 및 산지유통 보고(김종화), 산지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박경철), 6차산업유통 보고(김종화), 6차산업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강마야) 2013. 11. 27
농정패러다임 전환모색을 위한 충청남도의 제안 (박진도,강마야,김태연,이관률) 2016. 10. 20
-
김오열
2018년 축산.환경공존연구회 : 제5차 축산정책포럼(CNI세미나2018-061) 2018. 07. 12
2018년 축산.환경공존연구회 : 제6차 축산정책포럼(CNI세미나2018-074) 2018. 09. 05
학교급식지원센터 운영 활성화를 위한 시군 관계관 워크숍(박지흥,김영근,주순자) 2014. 09. 01
민선5기 충남 농정의 과제와 발전방향 모색을 위한 연속 워크숍 제1회(윤병선,김흥주) 2011. 02. 10
농업환경정책 변화에 따른 충남의 친환경농업직불제 개편방안 2018. 03. 01
-
이관률
양봉산업 육성을 위한 한일정책세미나(카이 사토시,이관률,김종화,타무라 요시히로) 2014. 03. 11
예산군 지역순환형 농업발전전략을 위한 정책토론회(김수구,이관률) 2012. 03. 23
양봉산업육성을 위한 정책 간담회(이관률,김종화) 2014. 12. 29
농정 제도개선을 위한 국회 심포지엄 : 대한민국 농업직불금의 새로운 길(박진도,이관률, 강마야) 2015. 02. 02
금산 아토피치유마을 활성화 정책세미나_금산군 시군정책협력단(손창규,이관률) 2015. 12. 10
충남도 산림녹지분야 정책발굴을 위한 세미나(김통일,이관률,최영규) 2015. 11. 26
-
허남혁
충남 <지역순환 농식품체계와 로컬푸드 연구회> 제8회 워크숍(허남혁) 2012. 02. 10
2011 행복 충남 실현을 위한 내발적 발전 전략 연구보고 및 제안대회 (여형범,오용준,조영재,임준홍,허남혁,신동호) 2011. 12. 13
열린충남56호 2011. 09. 01
(해외출장보고서)해외출장보고서-2011년 해외출장보고서 통합본 2011. 01. 01
충청권로컬푸드 지역 모임교류회 8차 워크숍 (허남혁,하재찬) 2012. 02. 10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방향 모색 토론회 (맹부영,진영효,허남혁,임형빈,이상준,이민정,김승일,송두범,김민숙,신동호,강석주,윤정미,김명수,권영현,박희석,이관률,최권성) 2012. 09. 12
-
박준식
충남 지역순환 농식품체계와 로컬푸드 연구회 제10회 워크숍 (박준식,박수영,조세훈) 2012. 05. 30
충남 <지역순환 농식품체계와 로컬푸드 연구회> 제3회 워크샵 (박준식,조세훈,이현경,김영철,김병혁,하재찬,박효신,남유정) 2011. 08. 24
충남 교통DB의 체계적 구축 및 활용방안 2015. 04. 01
국가위기관리학회 하계 학술대회-새로운 평화시대를 구축하기 위한 국민의 생명과 안전 구현(CNI세미나2018-064) 2018. 07. 19
-
송주연
(해외출장보고서)해외출장보고서-2013년 일본 식농자원경제학회 출장보고서 (후쿠오카, 벳푸) 2013. 09. 14
충남의 농촌지역 리더활동 실태조사 2011. 01. 01
보령시 농어업,농어촌 중장기 발전계획 용역 2011. 06. 23
3농혁신의 중간 모니터링 및 지속성 제고방안 연구 2013. 02. 01
예산군 지역순환형 농업발전전략 (친환경농업을 중심으로) 수립 연구용역 2011. 11. 09
-
조은정
충남 농촌 주민 생활상 연구 - 수도작 평야지역 1개 마을을 중심으로 - 2011. 01. 01
충청남도 희망 농어촌마을 만들기의 추진모형 및 실천전략 2011. 01. 01
농촌지역의 전원주거단지 조성 실태 및 거주자 특성에 관한 연구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2011. 01. 01
농촌지역 귀농·귀촌인 정주현황 및 커뮤니티 실태 분석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2012. 01. 01
충남 농어촌서비스 기준 실태분석 및 이행제고 방안 연구 2012. 02. 01
-
유학열
충남농어업 6차산업화센터 개소기념 세미나 자료집 (김용렬,유학열,정제민) 2011. 06. 09
제1회 충남현장포럼(유학열) 2016. 03. 18
충남연구원-국책연구기관 간 상생·협력 모색 세미나(유학열, 송미령) 2015. 05. 28
충남 6차산업화 중간지원협의체 출범식(유학열) 2014. 04. 23
제2차 충남현장포럼(김선태,석광훈)_충남 석탄화력발전, 멈춤신호가 필요하다 2016. 06. 30
열린충남51호 2010. 06.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