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지도

내용
설문 및 면담조사 결과 충남 산학협력 참여 기업은 대부분 중소 제조업체로 100인 이상 중견기업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산학협력은 대학 주도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지만 인적자원 개발에서는 기업의 참여 비중도 높았다 인턴제와 현장실습이 재직자 교육보다 선호됐으며 기업의 요구 반영이 미흡한 점이 지적됐다
기업은 산학협력의 장래 가치에 긍정적이지만 대학의 역량 협력 내용 성과 기대치 등을 중요 요소로 인식했다 문제 해결 수요의 수렴 과정과 협력 네트워크 부족도 장애 요인으로 지적됐다 학위논문 및 졸업작품을 통한 문제 해결형 접근은 일부 성과를 보이며 확대 필요성이 언급됐다
대학 교수들은 산학협력 활동에 활발히 참여하며 현장 실습과 연구개발을 중요한 협력 방식으로 인식했다 응답자의 75가 최근 3년간 기업 문제 해결 관련 논문을 지도한 경험이 있으며 해당 학생의 취업 성과가 높았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지역 기업과의 연결 부족 미스매치 문제 기업의 낮은 투자도 주요 한계로 지목됐다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해 UCSD 시스타 실리콘밸리 등은 산학협력을 통한 기술 상용화와 기업지원의 선순환 구조를 갖추고 있었다 이와 같은 모델은 지역기반 맞춤형 서비스 공동체 신뢰 구축 기술정보 공유 등에서 벤치마킹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충남에도 전략산업 중심의 협력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정책 제언으로는 산학협력 정보의 체계화 거버넌스 정비 대학TP연구원의 기능 분담 연구개발의 사업화 지원 충남형 협력 모델 개발 등이 제시됐다 특히 충남발전연구원이 분석과 정보축적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고 협력기관 간 유기적 연계를 통한 지속 가능성 확보가 강조된다
목차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내용과 연구방법
II 산학협력 실태분석의 틀
1 지역 산학협력의 이론
2 산학협력의 기반
기업의 집적과 대학의 역량 집적
대학과 산업의 네트워크와 정보
산학협력 제도
III 산학협력의 실태분석
1 산학협력 통계분석
충남의 지역별 산업별 기업 현황
충남의 지역별 전공계열별 대학현황
충남지역의 산학협력
시사점
2 산학협력의 체제분석
개요
대학의 산학협력단의 조직의 설치와 역량 성숙
충남 TP의 형성과 발전 네트워크 역할
중앙정부의 산학협력 촉진 및 지원의 주도적 역할
기업의 참여와 기업간 NETWORK
충청남도와 기초자치단체의 역할
3 산학협력 기업체 설문조사 및 면담 조사 결과 분석
설문조사와 조사대상 기업의 특성
산학협력의 경험
인력개발 산학협력
연구개발분야의 산학협력
장래 산학협력
기업관계자 면담결과
요약 및 소결
4 대학 면담 및 설문조사 분석 결과
산학협력 관계자의 면담
산학협력에 참여한 대학 교수 설문조사
산학협력단 설문 조사
소결
IV 산학협력 사례
1 해외 우수 산학협력 운영사례 분석
UCSD CONNECT의 운영사례
시사점 도출
V 산학협력 혁신방안
1 혁신 모형의 기초
2 문제해결 산학협력과 유형 분류
3 총괄 또는 주도기관 따른 산학협력의 혁신방안
VI 결론
참고문헌
부록 설문조사지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장수명
열린충남34호 2006. 03. 01
사회혁신운동컨퍼런스'삶을 디자인하다'(김제선,김재춘,조아신,김현진,장수명,하승창,장은희) 2014. 11. 25
충남 도시,산업 상생지구 발전 전략 2015. 04. 02
(해외출장보고서)노후인프라 세부 대응 동향 파악을 위한 선진지 답사 (일본, 도쿄, 히로시마) 2018. 02. 19
충청남도 인적자원 육성 및 공급 실태분석 -대학 및 직업 인력을 중심으로 2005. 01. 01
-
임병철
충남 지역금융 활성화방안 모색(이민정,송기균) 2015. 04. 30
충남 지역에너지 분야 워크숍-친환경에너지 생산과 소비로의 전환(이민정) 2015. 05. 20
충남 소상공인 분야 워크숍-협력과 공유의 자영업생태계로 전환(이민정) 2015. 05. 12
금산군 노인요양시설 및 복지시설 수요전망 2011. 08. 15
도내 기업유치에 따른 충청남도 및 서산시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2011. 07. 15
3세대 산업단지 조성방안 연구 2011. 07. 25
-
김혜원
충남 도시,산업 상생지구 발전 전략 2015. 04. 02
[시민사회 지원 작은 연구사업] 2014년 상반기 연구지원사업 성과보고회 및 시민단체 간담회 2014. 10. 07
2012 전국 사회적경제 한마당 학술포럼 (임준홍,이은애,홍성효,송두범,이강익,김종수,박상우,구동관,이상구,정태하,최태영,오카야스 기사부로,문보경,김정원,조성은,엄재영,이병학,양정열,정희석,박강태,정은희,조성 2012. 09. 06
충청남도 사회적경제 5개년계획 수립연구용역 2012. 03. 12
지역공동체를 활용한 충남형 돌봄체계 모델 구축 2019. 04. 16
-
최병학
실효성 있는 금강살리기 갈등예방 및 관리방향과 과제 (조용현,최정권,최병학) 2010. 02. 02
새롭게 도약하는 계룡시의 비전·전략구도 -소통·신뢰·창조의 '도약시정'구현- (최병학) 2013. 09. 05
열린충남58호 2012. 03. 01
열린충남32호 2005. 09. 01
열린충남29호 2004. 12. 01
열린충남16호 1999. 06.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