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기타보고서

기타보고서

충남 <지역순환 농식품체계와 로컬푸드 연구회> 제1회 워크숍 (민동욱,강동훈,허남혁)
연구정책조성/워크숍

충남 <지역순환 농식품체계와 로컬푸드 연구회> 제1회 워크숍 (민동욱,강동훈,허남혁)

기간
2011. 07. 22 ~ 2011. 07. 22
키워드
학교텃밭,도시농업,생태교육,식생활,공동체,유기농법,자연순환,지역사회
다운로드

[원고1]학교텃밭의 의의와 활성화 방안 (민동욱).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원고2]경기도 스쿨팜 사례 (강동훈).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원고3]유럽의 개념화와 영국 사례 (허남혁).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학교텃밭은 도시녹지 공간 확보 생명과 농업 체험 생태 감수성 향상 건강한 식습관 형성 세대 간 소통 공간 제공 등 다양한 교육적사회적 가치를 지닌다
자연순환 원리에 따른 무농약 농사 일년 내내 진행되는 체험 프로그램 협동을 중시하는 공동체 활동이 기본 방향이며 다양한 작물 재배와 생태 수업이 연계된다
실제 수업에서는 밭 만들기 모종심기 퇴비화 해충 관찰 수확 김장 등 농사 전 과정을 체험하며 농촌 체험활동까지 포함된다
아이들은 텃밭 체험을 통해 채소에 대한 거부감이 줄고 식습관이 개선되며 지렁이와 음식물 재활용 등으로 친환경적인 생활을 익히게 된다
텃밭활동은 체력 향상 인간관계 형성 정서 안정 계절 변화와 자연 순환의 이해 등 다방면에서 교육적 효과를 거두었다
활성화를 위해선 정규수업 연계 지속적 관리 학부모와 지역사회 참여 농업농촌 체험 연계 교육청지자체의 통합적 지원이 필요하다

목차

1 학교텃밭의 가치
2 학교텃밭 프로그램 방향과 현황
3 학교텃밭 수업의 성과와 한계
4 학교텃밭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