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

내용
한국에서 협동조합에 대한 인식은 아주 낮은 수준이다 소비자생활협동좋바의 조합원 수가 40만을 이미 넘어섰지만 협동조합을 모르는 사람들이 많고 아는 사람들의 인식도 농업협동조합이나 수산업협동조합 정도이다 하지만 농협이나 수협이 협동조합의 정체성과 무관하게 운영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며 소비자생협을 이용하는 사람들도 협동조합에 대한 인식은 유기농이나 친환경 먹거리를 구입하는 매장 정도인 점을 감안하면 협동조합에 대한 사회 전체의 인식도는 매우 낮다
이후 생략
이후 생략
목차
[제1주제] 사회적경제와 협동조합 한국에서도 환상의 짝꿍일까
하승우 풀뿌리자치연구소 이음
I협동조합은 낡은 브랜드인가
II협동조합이 세계화의 흐름을 거스를 수 있나
III협동조합 7원칙이 한국사회에서 갖는 의미
IV협동조합의 관점에서 바라본 사회적 경제의 전망
[제2주제] 사회적기업과 지역 거버넌스 발전 방안 연구영국 캐슬베일 주거협동조합 사례
함영진 한국보건복지정보개발원 부연구위원
I서론
II지역 거버넌스와 사회적 기업
III사례연구 영국 캐슬베일 주거협동조합 Castle Vale Communuty Housing Association
IV지속가능한 로컬 거버넌스를 위한 사회적 기업의 역할의 중요성
V결론
하승우 풀뿌리자치연구소 이음
I협동조합은 낡은 브랜드인가
II협동조합이 세계화의 흐름을 거스를 수 있나
III협동조합 7원칙이 한국사회에서 갖는 의미
IV협동조합의 관점에서 바라본 사회적 경제의 전망
[제2주제] 사회적기업과 지역 거버넌스 발전 방안 연구영국 캐슬베일 주거협동조합 사례
함영진 한국보건복지정보개발원 부연구위원
I서론
II지역 거버넌스와 사회적 기업
III사례연구 영국 캐슬베일 주거협동조합 Castle Vale Communuty Housing Association
IV지속가능한 로컬 거버넌스를 위한 사회적 기업의 역할의 중요성
V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