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추진목적
현재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금강살리기 사업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향후 바람직한 사업방향을 설정해 진정 으로 도민을 위한 방향 모색
금강 준설의 환경영향성을 집중적으로 조명해 준설이 수질이 미치는 영향을 학술적으로 접근 수질개선 방안에 대해 심층적으로 진단한다
궁극적으로 금강사업이 성공리에 마무되어 200만 도민이 금강과 더불어 행복추구권을 누리며 친환경적으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금강사업의 마무리라 할 수 있는 금강하구둑에 대한 바람직한 대안을 모색한다
이후 생략
현재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금강살리기 사업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향후 바람직한 사업방향을 설정해 진정 으로 도민을 위한 방향 모색
금강 준설의 환경영향성을 집중적으로 조명해 준설이 수질이 미치는 영향을 학술적으로 접근 수질개선 방안에 대해 심층적으로 진단한다
궁극적으로 금강사업이 성공리에 마무되어 200만 도민이 금강과 더불어 행복추구권을 누리며 친환경적으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금강사업의 마무리라 할 수 있는 금강하구둑에 대한 바람직한 대안을 모색한다
이후 생략
목차
[제1주제] 금강사업과 효율적 수질개선 방안 서동일 충남대 환경공학과 교수
[제2주제]금강하구둑의 발전적 전략 모색 이성기 조선대 환경공학과 교수
[제3주제]금강사업의 문제점과 과제 정종관 충남발전연구원 환경생태연구부장
[참고자료] 금강살리기 사업 계획 대전지방국토관리청
[제2주제]금강하구둑의 발전적 전략 모색 이성기 조선대 환경공학과 교수
[제3주제]금강사업의 문제점과 과제 정종관 충남발전연구원 환경생태연구부장
[참고자료] 금강살리기 사업 계획 대전지방국토관리청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김효주
예산군의 효행과 우애(지역정체성 확립과 자원활용방안 모색을 중심으로) 2002. 10. 16
「충남 근린자치 실태분석 및 활성화 방안」 제4차 워크숍 및 비상임연구위원 공동참여연구 발표·토론회 (김필두,홍정순,김성호,김찬배,길병옥,이상선,이준건) 2012. 08. 02
충남 지역순환 농식품체계와 로컬푸드 연구회 제11회 워크숍 (배대순,박미진,황민호) 2012. 07. 20
제6차 충남 사회적경제 콜로키움 '사회적경제와 귀농·귀촌' (차광주,이상구,이기왕,조남준,유학열,이수행) 2012. 07. 06
충청남도 근린자치 실태분석 및 활성화방안 제3차 워크숍 (하승수, 곽현근) 2012. 06. 18
제5차 충남 사회적경제 콜로키움 '사회적경제에 있어서 자활영역의 역할과 과제' (김정원,노병갑,박찬무,김학실) 2012. 06. 13
- 정봉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