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

예산군 지역순환형 농업발전전략 (친환경농업을 중심으로) 수립 연구용역
- 기간
- 2011. 11. 09 ~ 2012. 11. 02
- 연구책임자
- 이관률
- 연구자
- 홍성효,유학열,김종수,조영재,여형범,강마야,허남혁,여민수,엄성준,김정하,송주연
- 키워드
- 예산군,지역순환형,친환경
- 다운로드
-
[홈페이지원문공개]예산군 지역순환형 농업발전전략 (친환경농업을 중심으로) 수립 연구용역_관리자_20160928_요약보고서.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홈페이지원문공개]예산군 지역순환형 농업발전전략 (친환경농업을 중심으로) 수립 연구용역_관리자_20160928_최종보고서.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내용
1 과업배경
1 지역적 측면
제 1장 과업개요
예산군은 전체 인구의 40 정도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는 전통적인 농업지역임
쌀 사과 쪽파 등의 시설채소 축산 등으로 지역적으로 특성화된 자원이 매우 다양함
농업관련 재배기술이 고도화되어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농업관련 단체가 조직 되어 활발하고 유기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음
지속적인 농업분야의 투자에도 불구하고 예산군 농업의 지속가능성과 경쟁력은 쇠퇴
예산군은 군정 예산 중에서 매년 20 이상을 농업분야에 투자하고 있음 y 그러나 예산지역 내 농업부문의 발전이 이루어지더라도 지역발전과 지역경제에 대한 실질적인 기여 특히 지방세수 확대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지 못하고 있음
최근 급변하는 농업정책환경변화에 적합한 지역농업발전전략의 수립 필요성
y 최근 선진외국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중앙정부 그리고 충남도에서도 기존의 생산위주의 농업발전전략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농정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음
y 따라서 최근 변화하는 농정환경 속에서 예산농업과 지역경제의 지속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한 새로운 틀 마련을 위한 지역적 대응전략이 요구됨
이후 생략
목차
제1절 과업배경 및 목적 3
1 과업배경 3
2 과업목적 5
3 과업의 주요내용 6
제2절 과업성격 및 범위 7
1 과업성격 7
2 과업범위 7
3 과업의 추진과정 8
제3절 지역순환형 농업의 용어 정의와 필요성 9
1 용어의 정의 9
2 지역순환형 농업의 필요성 9
3 지역순환형 농업의 원칙과 편익 11
제2장 예산농업의 현황 및 구조분석
제1절 예산농업의 일반현황 15
1 농업인구 15
2 농업의 가치사슬 16
3 농업의 전후방산업 21
4 생산과 소비 26
5 분석결과의 종합 32
제2절 예산농업의 구조분석 33
1 분석개요 33
2 농업의 규모와 범위 34
3 재배작물과 농가소득 37
4 농업경영과 농업고용 39
5 분석결과의 종합 46
제3절 예산농업의 자원분석 47
1 향토자원 47
2 어메니티자원 50
3 분석결과의 종합 51
제4절 예산농업의 진단과 아젠다 도출 52
1 예산농업의 일반적 진단 52
2 예산농업의 정책적 진단 52
3 예산농업의 아젠다 도출과 관련정책 57
제3장 기본구상
제1절 농업정책의 패러다임 63
1 최근의 농업이론 63
2 OECD 농업정책 64
3 우리나라의 농업정책 65
제2절 비전과 목표 68
1 비전 68
2 목표 68
제3절 발전전략 70
1 품목부문의 발전전략 70
2 영역부문의 발전전략 71
3 제도부문의 발전전략 72
제4절 주요추진사업의 도출 73
1 주요추진사업 도출과정 73
2 품목부문의 주요추진사업 74
3 영역부문의 주요추진사업 74
4 제도부문의 주요추진사업 75
제4장 부문별 발전전략
제1절 친환경고품질 예산쌀 육성과 쌀산업 구조의 다각화 79
1 현황 및 문제 79
2 정책환경 80
3 기본전제와 개발방향 82
4 주요추진사업 83
5 세부추진계획 87
제2절 다기능적 예산사과 프로젝트 88
1 현황 및 문제 88
2 정책환경 89
3 기본전제와 개발방향 91
4 주요추진사업 92
5 세부추진계획 96
제3절 지속가능한 시설채소 기반확충 및 브랜드화 97
1 현황 및 문제 97
2 정책환경 101
3 기본전제와 개발방향 105
4 주요추진사업 106
5 세부추진계획 110
제4절 저비용저투입 친환경 농업구조로 전환 111
1 현황 및 문제 111
2 정책환경 116
3 기본전제와 개발방향 119
4 주요추진사업 120
5 세부추진계획 125
제5절 지역생산지역유통지역소비의 지역순환구조 창출 126
1 현황 및 문제 126
2 정책환경 135
3 기본전제와 개발방향 140
4 주요추진사업 141
5 세부추진계획 145
제6절 지역영농주체의 역량강화와 지역리더 발굴 146
1 현황 및 문제 146
2 정책환경 148
3 기본전제와 개발방향 154
4 주요추진사업 155
5 세부추진계획 162
제7절 지역순환형 농정거버넌스 구축 163
1 현황 및 문제 163
2 정책환경 167
3 기본전제와 개발방향 168
4 주요추진사업 170
5 세부추진계획 183
제5장 투자 및 운영관리
제1절 투자사업비 187
1 총사업비 187
2 연차별 사업비 188
3 세부사업비 189
4 연차별 세부사업비 193
제2절 재원확보 및 추진방안 198
1 재원확보방안 198
2 정책추진방안 201
제3절 성과관리방안 202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조영재
공주발전 대토론회(이소영,조영재,양광호) 2016. 04. 29
제 1회 한중 3농 포럼(조영재,탕빙위안,청야오) 2015. 09. 14
충남마을연구회 제1차 워크숍 - 충남 마을연구 사례 및 향후 연구과제(김필동,유보경,조영재) 2015. 04. 17
2011 행복 충남 실현을 위한 내발적 발전 전략 연구보고 및 제안대회 (여형범,오용준,조영재,임준홍,허남혁,신동호) 2011. 12. 13
열린충남43호 2008. 06. 01
열린충남48호 2009. 10. 01
-
김종수
충남연구원-공주대학교 공동학술대회 및 지역리더 포럼(지수걸, 유정규, 김종수, 이재영) 2015. 06. 03
충남발전연구원- 한겨레경제연구소 협약체결 및 심포지엄(서재교,김종수) 2015. 04. 01
사회적경제기본법에 따른 사회적경제 활성화 방안 모색 의정토론회(이인우) 2015. 09. 11
열린충남56호 2011. 09. 01
열린충남75호 2016. 06. 01
충남연구원-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행복컨퍼런스(유정식,최슬기,김종수,고승희,한귀영) 2015. 12. 11
-
강마야
국회 농정예산 세미나(서세욱, 강마야) 2016. 07. 28
농정 제도개선을 위한 국회 심포지엄 : 대한민국 농업직불금의 새로운 길(박진도,이관률, 강마야) 2015. 02. 02
2018년 축산.환경공존연구회 : 제2차 축산정책포럼(CNI세미나2018-021)(박승주,조성미,강마야) 2018. 03. 30
축산과 환경의 공존 : 가축매몰지 제도개선을 위한 워크샵 2016. 10. 11
충남 농산물 유통개선 사례와 정책방안 워크숍 - 현재까지 연구진행 및 산지유통 보고(김종화), 산지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박경철), 6차산업유통 보고(김종화), 6차산업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강마야) 2013. 11. 27
농정패러다임 전환모색을 위한 충청남도의 제안 (박진도,강마야,김태연,이관률) 2016. 10. 20
-
김정하
열린충남63호 2013. 06. 01
충남형 농어촌서비스 기준에 따른 실태조사 2014. 10. 23
2013년 살기좋은 희망마을 만들기 마을발전계획수립 연구용역 - 두마면 농소1리, 엄사면 엄사2리, 엄사면 유동2리 - 2013. 04. 11
2014년 계룡시 농촌마을 역량강화 사업 용역 2014. 06. 16
천안 동남구 마을역사 아카이브 구축 용역 2015. 08. 13
부여도심 상권활성화구역 지정 연구 2012. 09. 14
-
이관률
양봉산업 육성을 위한 한일정책세미나(카이 사토시,이관률,김종화,타무라 요시히로) 2014. 03. 11
예산군 지역순환형 농업발전전략을 위한 정책토론회(김수구,이관률) 2012. 03. 23
양봉산업육성을 위한 정책 간담회(이관률,김종화) 2014. 12. 29
농정 제도개선을 위한 국회 심포지엄 : 대한민국 농업직불금의 새로운 길(박진도,이관률, 강마야) 2015. 02. 02
금산 아토피치유마을 활성화 정책세미나_금산군 시군정책협력단(손창규,이관률) 2015. 12. 10
충남도 산림녹지분야 정책발굴을 위한 세미나(김통일,이관률,최영규) 2015. 11. 26
-
여민수
한중FTA농림수산분야 대응방안 연구용역 2014. 11. 28
태안군 농업농촌종합발전계획수립 연구용역 2014. 07. 22
농업직불금 제도개선을 위한 효과적 재원확보방안 연구용역 2013. 10. 24
충청남도 3농혁신 2030발전계획 연구용역 2014. 03. 11
충남 로컬푸드 직매장의 실태 및 성공전략 2014. 01. 01
천안 동남구 마을역사 아카이브 구축 용역 2015. 08. 13
-
홍성효
2012 전국 사회적경제 한마당 학술포럼 (임준홍,이은애,홍성효,송두범,이강익,김종수,박상우,구동관,이상구,정태하,최태영,오카야스 기사부로,문보경,김정원,조성은,엄재영,이병학,양정열,정희석,박강태,정은희,조성 2012. 09. 06
3세대 산업단지 조성방안 연구 2011. 07. 25
지방 중소규모 산업단지조성관련 정주환경 수요분석 2012. 06. 07
도내 산업단지 종사자 근무 및 정주환경 실태조사 결과분석 2011. 09. 09
충청남도 해외사무소 유용성 분석연구 2012. 04. 02
(주)HST 유치에 따른 충청남도 및 아산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2011. 04. 13
-
허남혁
충남 <지역순환 농식품체계와 로컬푸드 연구회> 제8회 워크숍(허남혁) 2012. 02. 10
2011 행복 충남 실현을 위한 내발적 발전 전략 연구보고 및 제안대회 (여형범,오용준,조영재,임준홍,허남혁,신동호) 2011. 12. 13
열린충남56호 2011. 09. 01
(해외출장보고서)해외출장보고서-2011년 해외출장보고서 통합본 2011. 01. 01
충청권로컬푸드 지역 모임교류회 8차 워크숍 (허남혁,하재찬) 2012. 02. 10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방향 모색 토론회 (맹부영,진영효,허남혁,임형빈,이상준,이민정,김승일,송두범,김민숙,신동호,강석주,윤정미,김명수,권영현,박희석,이관률,최권성) 2012. 09. 12
-
여형범
충남도 재생에너지와 지역에너지 전환 토론회(이상훈, 여형범) 2016. 09. 02
에너지전환연구회 2017년 제1차 워크숍: 지역에너지계획과 시민/주민참여(CNI세미나2017-067) (오용성, 이유진, 안명균, 여형범, 이정필, 류홍번, 신근정) 2017. 06. 14
농촌개발 ODA의 방향과 과제(허장,민경일,김남수,정진영,여형범,권율,양영미) 2014. 11. 06
제2회 도시정책포럼_지역 분권과 에너지 전환 (이상헌,이정필,여형범,한재각,김동주,김현우,Liling Huang) 2016. 05. 11
기후변화시대 지역에너지 및 환경정책 세미나(왕영두,여형범) 2014. 10. 08
제10회 마지연 대화마당(내포) (여형범, 박기남, 안병일) 2016. 12. 22
-
송주연
(해외출장보고서)해외출장보고서-2013년 일본 식농자원경제학회 출장보고서 (후쿠오카, 벳푸) 2013. 09. 14
충남의 농촌지역 리더활동 실태조사 2011. 01. 01
충남 로컬푸드 활성화 방안 2011. 01. 01
보령시 농어업,농어촌 중장기 발전계획 용역 2011. 06. 23
3농혁신의 중간 모니터링 및 지속성 제고방안 연구 2013. 02. 01
-
유학열
충남농어업 6차산업화센터 개소기념 세미나 자료집 (김용렬,유학열,정제민) 2011. 06. 09
제1회 충남현장포럼(유학열) 2016. 03. 18
충남연구원-국책연구기관 간 상생·협력 모색 세미나(유학열, 송미령) 2015. 05. 28
충남 6차산업화 중간지원협의체 출범식(유학열) 2014. 04. 23
제2차 충남현장포럼(김선태,석광훈)_충남 석탄화력발전, 멈춤신호가 필요하다 2016. 06. 30
열린충남51호 2010. 06. 01
-
엄성준
2014년 계룡시 농촌마을 역량강화 사업 용역 2014. 06. 16
과소화·고령화에 대응한 ' 한계마을정책 '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2013. 02. 01
양봉산업 육성을 위한 한일정책세미나(카이 사토시,이관률,김종화,타무라 요시히로) 2014. 03. 11
보령시 살기좋은 희망마을 만들기 마을발전계획 수립 용역 2012. 05. 24
충청남도 3농혁신 2030발전계획 연구용역 2014. 03.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