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본 보고서는 일본의 농어촌 응원운동 실태를 도농교류 활성화와 지산지소 운동을 중심으로 분석한 것이다 일본은 농촌지역의 활력을 회복하고 식료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국민 참여형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어린이 농산어촌 교류 프로젝트와 지산지소 운동이 있다 이는 농어업에 대한 국민의 이해를 높이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어린이 농산어촌 교류 프로젝트는 도시 초등학생들이 농어촌에서 장기 체험을 통해 농촌생활을 직접 경험하며 식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농어업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는 프로그램이다 초등학교 3학년 이상을 대상으로 하며 연간 100시간 이상 체험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행정기관은 체험활동 지역의 인프라 정비 프로그램 개발 리더 양성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중앙정부 예산과 보호자 부담이 혼합되어 운영된다
프로그램 사례로는 金沢市立馬場小学校의 3박 4일 체험활동이 있으며 산림 탐험 수산물 채집 농업체험 지역 어린이들과의 교류 등이 포함된다 교류는 민박 형식으로 이뤄지며 지역 생산자와의 교류를 통해 농촌에 대한 이해와 애정을 키우는 계기가 된다 체험활동은 도시 어린이들에게 새로운 교육기회를 제공하고 농촌에는 경제적 이익과 지역 활성화 효과를 가져온다
지산지소 운동은 지역에서 생산된 것을 지역에서 소비하는 개념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식료자급률 향상 안전한 식생활을 목표로 한다 직접적 소비 외에도 가공이나 유통을 통한 간접적 소비까지 포함되며 생산자와 소비자 간 정보 공유 고령자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지역 문화 보존과 커뮤니티 형성 등 다양한 사회적 기능을 지닌다 식육추진 학교병원급식 직판장 운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다
중앙정부는 관련 법령을 통해 지산지소를 국가정책으로 규정하고 지산지소 모델타운 조성 급식과 관광 연계 농상공 연대 등으로 확산을 도모하고 있다 지방정부도 독자적으로 다양한 지산지소 시책을 추진하며 지역 식재료 활용 확대 인증제도 도입 식문화 계승 등에 힘쓰고 있다 아오모리 미야기 군마 시즈오카 등의 지자체는 지역 특성에 맞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일본의 농어촌 응원운동은 도농 간 유대 강화와 식문화 개선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층적 전략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체험교육과 지역 소비를 매개로 국민 참여를 유도하는 점에서 정책적 시사점이 크다 이는 향후 우리나라의 농촌 살리기 정책 및 지역 활성화 전략 수립에도 참고할 수 있는 선진 사례로 평가된다
어린이 농산어촌 교류 프로젝트는 도시 초등학생들이 농어촌에서 장기 체험을 통해 농촌생활을 직접 경험하며 식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농어업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는 프로그램이다 초등학교 3학년 이상을 대상으로 하며 연간 100시간 이상 체험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행정기관은 체험활동 지역의 인프라 정비 프로그램 개발 리더 양성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중앙정부 예산과 보호자 부담이 혼합되어 운영된다
프로그램 사례로는 金沢市立馬場小学校의 3박 4일 체험활동이 있으며 산림 탐험 수산물 채집 농업체험 지역 어린이들과의 교류 등이 포함된다 교류는 민박 형식으로 이뤄지며 지역 생산자와의 교류를 통해 농촌에 대한 이해와 애정을 키우는 계기가 된다 체험활동은 도시 어린이들에게 새로운 교육기회를 제공하고 농촌에는 경제적 이익과 지역 활성화 효과를 가져온다
지산지소 운동은 지역에서 생산된 것을 지역에서 소비하는 개념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식료자급률 향상 안전한 식생활을 목표로 한다 직접적 소비 외에도 가공이나 유통을 통한 간접적 소비까지 포함되며 생산자와 소비자 간 정보 공유 고령자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지역 문화 보존과 커뮤니티 형성 등 다양한 사회적 기능을 지닌다 식육추진 학교병원급식 직판장 운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다
중앙정부는 관련 법령을 통해 지산지소를 국가정책으로 규정하고 지산지소 모델타운 조성 급식과 관광 연계 농상공 연대 등으로 확산을 도모하고 있다 지방정부도 독자적으로 다양한 지산지소 시책을 추진하며 지역 식재료 활용 확대 인증제도 도입 식문화 계승 등에 힘쓰고 있다 아오모리 미야기 군마 시즈오카 등의 지자체는 지역 특성에 맞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일본의 농어촌 응원운동은 도농 간 유대 강화와 식문화 개선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층적 전략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체험교육과 지역 소비를 매개로 국민 참여를 유도하는 점에서 정책적 시사점이 크다 이는 향후 우리나라의 농촌 살리기 정책 및 지역 활성화 전략 수립에도 참고할 수 있는 선진 사례로 평가된다
목차
Ⅰ 개요
Ⅱ 어린이 농산어촌 교류 프로젝트
1 개요
2 추진현황 및 사례
Ⅲ 지산지소 운동
1 개념
2 지산지소 유형
3 지산지소 시책
4 지산지소 예산
Ⅱ 어린이 농산어촌 교류 프로젝트
1 개요
2 추진현황 및 사례
Ⅲ 지산지소 운동
1 개념
2 지산지소 유형
3 지산지소 시책
4 지산지소 예산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유학열
충남농어업 6차산업화센터 개소기념 세미나 자료집 (김용렬,유학열,정제민) 2011. 06. 09
제1회 충남현장포럼(유학열) 2016. 03. 18
충남연구원-국책연구기관 간 상생·협력 모색 세미나(유학열, 송미령) 2015. 05. 28
충남 6차산업화 중간지원협의체 출범식(유학열) 2014. 04. 23
제2차 충남현장포럼(김선태,석광훈)_충남 석탄화력발전, 멈춤신호가 필요하다 2016. 06. 30
열린충남51호 2010. 06. 01
-
이영옥
열린충남61호 2012. 12. 01
(해외출장보고서)해외출장보고서-6차산업 우수사업자 선진지 견학(일본 후쿠오카현, 오이타현, 구마모토현) 2017. 08. 21
열린충남75호 2016. 06. 01
충청남도 희망 농어촌마을 만들기의 추진모형 및 실천전략 2011. 01. 01
태안군 공간정보체계 구축 기본계획 수립용역 2010. 03. 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