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내용
운영 실태 분석에서는 생산 단계에서 품질의 균질성이 떨어지고 농협 유통 불신으로 인해 계통출하 비율이 낮았다 유통 단계에서는 포장방식과 브랜드 이미지의 일관성 부족이 문제로 지적됐고 소비자 접근성 또한 매우 낮았다 일부 지정업체는 으뜸Q마크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실정이며 도매시장이나 마트에서의 브랜드 노출도 거의 없었다 통계상 으뜸Q마크 농산물의 매출 증가율은 일반 농산물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소비자 인지도 조사 결과 전국 20세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 으뜸Q마크는 주요 공동상표 중 가장 낮은 인지도를 보였고 브랜드 성격에 대한 혼동도 컸다 소비자들은 인증보다는 브랜드 지향적 성향을 보였으며 원산지와 품질에 대한 신뢰 확보가 중요한 선택 기준으로 작용했다 경기도 G마크 임금님표 이천 등에 비해 으뜸Q마크는 브랜드 가치와 신뢰성 평가에서도 뒤처졌다
국내외 사례 분석에서는 이천시와 경기도의 브랜드가 통합운영 전략적 마케팅 소비자 신뢰 확보 등을 통해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미국 캐나다 독일 등 해외 사례에서도 지역성과 유통 통제 전문운영조직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으뜸Q마크도 유사한 방식의 구조 개편과 전문성 강화를 통해 경쟁력을 회복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 시사됐다
활성화 전략으로는 으뜸Q마크를 기존 브랜드에서 서브 브랜드로 전환해 시군 브랜드와 연계하고 계통출하와 품질기준을 강화한 유통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이 제안됐다 이를 위해 브랜드 전용 판매 경로 확보 인증제도 재정비 마케팅 조직 신설 시군 간 조정기구 설치 등이 필요하며 브랜드 사용 업체에 인센티브 제공과 품질안전검사 일원화도 동시에 추진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으뜸Q마크는 현재 구조로는 존속의 실익이 부족하며 광역 브랜드로서의 역할 재정립이 필요하다 시군 브랜드와 상생하는 서브 브랜드로 발전시키고 전문운영조직 중심의 통합관리 체계 고품질 생산 유통체계 차별화된 홍보전략 등을 통해 충남 농산물의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전환해야 한다
목차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배경
연구의 목적
2 연구내용 및 방법
II 으뜸Q마크 운영현황 및 성과분석
1 공동상표 운영현황
충청남도지사 추천 농특산물 공동상표
공동상표의 관리
공동상표 지정현황
지정 및 운영기간
공동상표 운영의 필요성
소결
2 으뜸Q마크 유통 단계별 현황
생산단계 실태
유통 및 가공단계 실태
소비단계 현황 및 문제점
사례조사
소결
3 으뜸Q마크 성과분석
으뜸Q마크 매출액 및 고용 성과
으뜸Q마크 운영 성과 분석
소결
III 국내외 사례조사 분석
1 국내사례조사
경기도 G마크
임금님표이천
부여군 굿뜨래
공동상표 국내 사례 총괄 정리
2 서구 사례
미국 주정부 농산물 마케팅 프로그램
캐나다 Foodland Ontario
독일 Regionalmarke Eifel
소결
IV 으뜸Q마크 소비자 인지도 조사
1 조사개요
조사목적
조사표본의 통계적 특성
2 4개 농산물 공동상표 구매형태 및 인지도 조사
농산물 구매형태
공동상표 형태
공동상표 인지도 및 역량평가
3 CVM기법을 이용한 공동상표 가치평가
분석방법
분석결과
소결
V 으뜸Q마크 활성화 전략
1 기본 방향
공동상표 전략 수정
시군 브랜드 연계
중앙정부 사업 연계
2 활성화 세부 전략
서브 브랜드 재창조
품질관리 강화
전용 판매경로 구축
브랜드 마케팅 전담자원 투입
3 전략 수행 로드맵
재설정 단계
시장 진입 단계
도약 단계
VI 결론
참고문헌
부록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김성훈
열린충남54호 2011. 03. 01
제1차 충남 사회적경제 콜로키움 '사회적경제와 협동조합' (이강익,박대호,김성훈) 2012. 03. 29
사회적경제연구회 제7회 워크숍 '사회적경제와 지역기금형성' (이회수,김성훈) 2011. 07. 21
사회적경제와 사회적기업의 육성과제 심포지엄 개최 (김성기, 이은애,신명호) 2011. 02. 15
당진 면천 역사문화도시 경관형성 기본계획 수립용역 2011. 03. 24
-
김영수
충남 농업6차산업분야 지역자원 활용 및 확대 방안 1.2차 연구회 (정현희,권오성,이관률,김영수) 2016. 08. 25
지속가능한 지역발전 도모를 위한 충남 산업정책의 방향(정준호,김영수, 임재영, 홍원표, 이종윤) 2014. 12. 29
제7회 충남 협동조합 연구포럼 '새마을금고의 정체성과 과제' (김영수,박정구) 2013. 04. 17
열린충남66호 2014. 04. 04
열린충남66호 2014. 04. 04
2025년 열린충남 봄호 2025. 04. 21
-
정현희
충남 농업6차산업분야 지역자원 활용 및 확대 방안 1.2차 연구회 (정현희,권오성,이관률,김영수) 2016. 08. 25
외식업 로컬푸드 인정사업 제1회 워크숍 (윤유경,윤혜신,박찬일,정현희) 2012. 04. 24
6차산업정책포럼: 공공급식 2016. 10. 06
6차산업정책포럼: 지속가능한6차산업화정책 (박상식) 2016. 06. 23
6차산업화정책포럼: 농업의 재편 2016. 12. 07
충남리포트-(제284호) 충남 6차산업 성과 분석과 확대 방안 2017. 12. 05
-
강마야
국회 농정예산 세미나(서세욱, 강마야) 2016. 07. 28
농정 제도개선을 위한 국회 심포지엄 : 대한민국 농업직불금의 새로운 길(박진도,이관률, 강마야) 2015. 02. 02
2018년 축산.환경공존연구회 : 제2차 축산정책포럼(CNI세미나2018-021)(박승주,조성미,강마야) 2018. 03. 30
축산과 환경의 공존 : 가축매몰지 제도개선을 위한 워크샵 2016. 10. 11
충남 농산물 유통개선 사례와 정책방안 워크숍 - 현재까지 연구진행 및 산지유통 보고(김종화), 산지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박경철), 6차산업유통 보고(김종화), 6차산업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강마야) 2013. 11. 27
농정패러다임 전환모색을 위한 충청남도의 제안 (박진도,강마야,김태연,이관률) 2016. 10. 20
-
허남혁
충남 <지역순환 농식품체계와 로컬푸드 연구회> 제8회 워크숍(허남혁) 2012. 02. 10
2011 행복 충남 실현을 위한 내발적 발전 전략 연구보고 및 제안대회 (여형범,오용준,조영재,임준홍,허남혁,신동호) 2011. 12. 13
열린충남56호 2011. 09. 01
(해외출장보고서)해외출장보고서-2011년 해외출장보고서 통합본 2011. 01. 01
충청권로컬푸드 지역 모임교류회 8차 워크숍 (허남혁,하재찬) 2012. 02. 10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방향 모색 토론회 (맹부영,진영효,허남혁,임형빈,이상준,이민정,김승일,송두범,김민숙,신동호,강석주,윤정미,김명수,권영현,박희석,이관률,최권성) 2012. 09. 12
-
유학열
충남농어업 6차산업화센터 개소기념 세미나 자료집 (김용렬,유학열,정제민) 2011. 06. 09
제1회 충남현장포럼(유학열) 2016. 03. 18
충남연구원-국책연구기관 간 상생·협력 모색 세미나(유학열, 송미령) 2015. 05. 28
충남 6차산업화 중간지원협의체 출범식(유학열) 2014. 04. 23
제2차 충남현장포럼(김선태,석광훈)_충남 석탄화력발전, 멈춤신호가 필요하다 2016. 06. 30
열린충남51호 2010. 06. 01
-
권오성
충남 농업6차산업분야 지역자원 활용 및 확대 방안 1.2차 연구회 (정현희,권오성,이관률,김영수) 2016. 08. 25
충남농어업6차산업화 정책포럼(권오성, 장민기) 2015. 08. 20
열린충남60호 2012. 09. 01
제1회 충남현장포럼(유학열) 2016. 03. 18
충남 외식업 로컬푸드 인증제도(미더유) 관리·운영 개선방안 2014. 01. 01
농어업 2,3차 및 6차산업화 시설 실태조사 보고서 2012. 01. 01
-
김현숙
열린충남64호 2013. 09. 01
제2회 충남농어업6차산업화포럼 (황길식) 2012. 05. 10
농촌융복합산업 인증경영체 협의회 출범식(이은주) 2015. 12. 17
제1회 충남 농어업 6차산업화 포럼 (김태곤) 2012. 04. 05
포스트 코로나19 대응 및 2021년 충남 농정시책 구상 합동워크숍(CNI세미나2020-032) 2020. 08. 07
-
이영옥
열린충남61호 2012. 12. 01
(해외출장보고서)해외출장보고서-6차산업 우수사업자 선진지 견학(일본 후쿠오카현, 오이타현, 구마모토현) 2017. 08. 21
열린충남75호 2016. 06. 01
충청남도 희망 농어촌마을 만들기의 추진모형 및 실천전략 2011. 01. 01
태안군 공간정보체계 구축 기본계획 수립용역 2010. 03. 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