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지도

충남 <지역순환 농식품체계와 로컬푸드 연구회> 제9회 워크숍
- 기간
- 2012. 03. 20 ~ 2012. 03. 20
- 연구자
- 정봉희,김효주
- 키워드
- 농식품,로컬푸드,제9회,워크숍,슬로푸드,유기농
- 다운로드
-
1. 한국에서 슬로푸드 식당이란(황교익).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2. 외식업계_향후_지향과_활성화_방안(노민영).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2-1. 외식업계추세(노민영).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4. Chez Panisse(최민구).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5. Chez Panisse에 관한 분석(최민구).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6. 충남농업기술원(이진영-농가맛집).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내용
슬로푸드라는 단어가 한국에 소개된 것이 30년 정도 되었다 사람들은 이 단어에 대해 퍽 익숙하다 그러나 다 제각각의 입장에서 익숙할 뿐이다 패스트푸드 전문점의 것이 아니면 다 슬로푸드인 줄 아는 사람들도 있고 천천히 만들어 먹는 음식이라고 해석하는 사람들도 있다 가장 큰 오용은 모든 한국음식은 슬로푸드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 오용이 하도 심하여 슬로푸드라는 단어를 한국에서는 용도폐기하여야 하는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하지만 외국에서는 슬로푸드라는 단어의 사용이 꾸준하여 우리만 이를 버릴 것도 아니다
슬로푸드라는 단어는 사회경제적 혹은 정치적 이데올로기적 용어이다 운동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뜻이다 그러니까 무엇을 반대하고 무엇을 지향한다는 의지가 담겨 있는 것이다 반대의 대상은 세계화이고 지향점은 지역적 삶이다
이후 생략
목차
외식업계의 향후 지향 로컬푸드 슬로푸드 유기농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김효주
예산군의 효행과 우애(지역정체성 확립과 자원활용방안 모색을 중심으로) 2002. 10. 16
「충남 근린자치 실태분석 및 활성화 방안」 제4차 워크숍 및 비상임연구위원 공동참여연구 발표·토론회 (김필두,홍정순,김성호,김찬배,길병옥,이상선,이준건) 2012. 08. 02
충남 지역순환 농식품체계와 로컬푸드 연구회 제11회 워크숍 (배대순,박미진,황민호) 2012. 07. 20
제6차 충남 사회적경제 콜로키움 '사회적경제와 귀농·귀촌' (차광주,이상구,이기왕,조남준,유학열,이수행) 2012. 07. 06
충청남도 근린자치 실태분석 및 활성화방안 제3차 워크숍 (하승수, 곽현근) 2012. 06. 18
제5차 충남 사회적경제 콜로키움 '사회적경제에 있어서 자활영역의 역할과 과제' (김정원,노병갑,박찬무,김학실) 2012. 06. 13
- 정봉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