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

간행물

2012년 청양군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계획 및 교통안전기본계획 연구용역
수탁

2012년 청양군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계획 및 교통안전기본계획 연구용역

기간
2012. 10. 25 ~ 2013. 08. 24
연구책임자
김원철
연구자
조봉운,오명택,고혜진,유준일
키워드
수요응답형교통,교통약자,이동편의시설,보행환경,저상버스,농어촌버스,교통수요관리,충청남도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2012년 청양군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계획 및 교통안전기본계획 연구용역_관리자_20160912_제2차청양군교통안전기본계획(통합본).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홈페이지원문공개]2012년 청양군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계획 및 교통안전기본계획 연구용역_관리자_20160912_2013-1203_제2차청양군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계획(통합본).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청양군 제2차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계획20122016은 고령화와 교통소외 문제에 대응해 장애인노인임산부 등 교통약자의 이동권을 체계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법정 5개년 계획이다 전체 인구 중 교통약자가 446에 달해 정책 대응의 시급성이 높으며 향후 2016년에는 497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실태조사 결과 청양군 교통수단여객시설보행환경의 이동편의시설 설치율은 각각 327 231 338로 전국 평균에 크게 미달했다 농어촌버스의 경우 휠체어 승강설비 및 교통약자 전용 좌석은 모두 미설치 상태였고 여객터미널은 안내시설과 위생시설 전반에 걸쳐 낮은 적합률을 보였다
교통약자별 이동수단 이용 조사에서는 고령자는 버스를 임산부는 승용차를 주로 사용했으며 장애인의 경우 이동수단 이용률이 낮고 만족도도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출 목적은 고령자는 복지시설 방문 장애인은 병원 진료와 출퇴근 어린이는 학업 목적이 대부분이었다
계획의 비전은 편리한 교통복지 실현으로 설정되었고 전략은 교통수단과 여객시설의 편의성 개선 보도와 횡단보도 등 보행환경 정비 저상버스 및 특별교통수단 도입 확대 등 3대 영역에 중점이 뒀다 그 외에 RD 스마트폰 앱 개발 교통약자시설 정보 제공 시스템 구축도 병행 추진된다
세부과제로는 버스정류장 점자블록 설치 터미널 내 장애인용 화장실 확보 보행우선구역 지정 농어촌 맞춤형 저상버스 보급 등이 포함되었다 투자비용 산출과 재원조달방안도 제시되었으며 관련 시설에 대한 실태조사 및 홍보교육 계획도 병행되었다
종합적으로 교통약자 시설의 물리적 확충과 함께 정책 실효성을 위한 제도 개선 주민 인식제고 정량적 목표 설정이 병행되었으며 이행을 위해 청양군 교통안전기본계획과의 연계와 지속적 모니터링 체계가 강조되었다

목차

Ⅰ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계획의 개요
1 법적근거 및 수립경위
2 계획의 수립배경 및 목적
3 계획의 성격 및 범위
4 교통약자 이동편의 관련 계획
Ⅱ 교통약자 전망 및 이동편의 대상시설
1 교통약자 현황 및 예측
2 이동편의시설의 설치대상 및 조사항목
Ⅲ 교통약자 이동편의시설 및 보행환경의 현황
1 이동편의시설 및 보행환경 실태
2 이동편의시설 및 보행환경 만족도
Ⅳ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계획 추진성과 분석
1 청양군 교통약자 이동편의 실태 변화 분석
2 1차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계획 추진성과
Ⅴ 제2차 청양군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계획의 비전 추진전략 및 계획목표치
1 계획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2 제2차 계획의 목표치
Ⅵ 전략별 추진과제
1 교통약자 이동편의시설 개선확충
11 농어촌버스 이동편의시설 개선확충
12 여객터미널 이동편의시설 개선확충
13 버스정류장 이동편의시설 개선확충
2 보행환경 개선확충
21 보도시설 개선확충
22 횡단보도시설 개선확충
3 보행운선구역 관리
4 운영 및 관리
Ⅶ 투자소요비용산출 및 집행계획
1 투자 소요비용 산출
2 실태조사와 연계방안
3 홍보 및 교육
부록
1 교통약자 거주 및 이동실태조사
2 이동편의시설 및 보행환경 실태조사
3 이용만족도 조사
4 교통약자 이동편의시설 설치 관리
5 심의결과 조치계획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