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열린충남

열린충남

부여군 농공단지 내 유망 중소기업 유치에 따른 지역경제 유발효과 분석
현안

부여군 농공단지 내 유망 중소기업 유치에 따른 지역경제 유발효과 분석

기간
2013. 02. 19 ~ 2013. 03. 20
연구책임자
임재영
키워드
유망 중소기업,부여군 농공단지,지역경제 유발효과,산업연관분석,건설효과,생산효과,고용유발,부가가치
다운로드

유망 중소기업 유치에 따른 지역경제 유발효과 분석(2013.3.20, 임재영).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부여군 은산 2농공단지와 은산패션전문농공단지에 수도권 소재 유망 중소기업을 유치함으로써 발생하는 지역경제 유발효과를 분석한 이 보고서는 산업연관분석모형을 활용하여 생산 부가가치 고용 등의 경제효과를 추정하였다 건설효과는 부지조성과 시설 설치 등으로 인한 일회성 효과로 광역적 범위에서 나타나며 생산효과는 기업이 본격적으로 생산활동을 개시한 후 지속적으로 지역 내에서 발생하는 효과로 정의된다
분석은 고용규모를 기반으로 생산유발 부가가치 소득효과를 추계하였으며 예로 금강이 가죽 및 피혁제품 제조업으로 650명을 고용할 경우 약 1072억 원의 생산유발 268억 원의 부가가치 152억 원의 소득효과가 발생한다고 분석되었다 제2농공단지에는 500명 고용을 가정한 5가지 업종의 시나리오가 제시되었으며 산업별로 생산액과 고용효과에 차이가 존재하였다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의 경우 생산유발효과가 가장 컸다
생산효과는 부여군을 중심으로 한 지역 내에서 장기적으로 나타나는 직접 효과로 기업이 폐업하지 않는 한 지속된다 건설효과는 기업 입지 초기의 단발적 효과로 전국적 범위에 분산되며 투자비 등 구체적 자료가 없는 관계로 건설효과의 정량 분석은 생략되었다 보고서는 생산효과 중심의 분석을 통해 기업 유치에 따른 실질적인 지역경제 기여를 부각하였다
지역 산업연관모형은 다지역 간 산업 연계를 반영할 수 있어 지역경제 분석에 적합하며 본 연구에서는 16개 지역과 28개 산업을 기반으로 작성된 산업연관표와 고용자료를 활용하였다 또한 토지투입량계수 고용자투입계수 등을 통해 고용과 토지이용에 따른 생산 변화도 추정하였다 이는 단순 고용규모 외에도 토지 및 인프라 활용을 통한 경제효과 분석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이 보고서는 기업 유치와 관련된 정책 수립 시 정량적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기업별 산업 특성과 고용계획에 따라 효과가 달라짐을 시사한다 향후 정확한 투자비 및 사업계획이 제시되면 건설효과를 포함한 종합적 분석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산업 구조와 지역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기업 유치 전략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본 분석은 중소기업 유치를 통한 부여군 지역경제의 생산력 확대 고용창출 부가가치 유발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기업 유치 시 단기 효과보다는 장기적 생산활동의 지속성과 내재적 성장 효과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목차

I 분석 개요
II 분석 모형
1 효과 구분
2 분석 모형
III 분석
1 사업 개요
2 분석 결과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