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충청남도는 농어촌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도농 간 격차 해소를 위해 농어촌서비스 기준을 도입하고 이에 대한 주민 만족도와 정책 시급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기준은 8개 부문 32개 항목으로 구성되며 주거 교통 교육 보건의료 복지 응급 문화 정보통신 등 일상생활 전반에 걸친 공공서비스 제공 수준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15개 시군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해 지역별 서비스 만족도와 정책 개선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조사 결과 주거 부문에서는 천안시와 예산군의 만족도가 높았고 금산군은 낮게 나타났다 교통 부문에서는 천안시와 부여군이 상대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나 아산시와 서천군은 낮은 수준이었다 교육 부문에서는 천안시와 홍성군이 우수했으나 보령시와 예산군은 낮았다 보건의료 부문에서는 천안시와 부여군이 만족도가 높았고 서산시와 서천군은 낮게 나타났다
복지 응급 문화 부문에서도 지역 간 격차가 뚜렷했다 복지 부문은 천안시와 예산군이 높았고 부여군과 공주시가 낮았다 응급 부문은 천안시와 홍성군의 만족도가 높았으나 논산시와 예산군은 낮았다 문화 부문은 천안시와 서천군이 우수했으나 서산시와 금산군은 낮았다 정보통신 부문에서는 천안시와 부여군이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금산군은 낮게 나타났다
정책 시급성 측면에서는 교통 보건의료 복지 부문이 우선순위로 도출되었으며 특히 당진시 서산시 금산군 등은 교통 서비스 개선 요구가 높았다 교육과 응급 서비스도 주요 개선 대상이며 일부 시군은 문화와 정보통신 부문에서도 정책 집중이 요구되었다 만족도가 낮으면서 정책 시급성이 높은 부문은 우선 지원이 필요하다
개선사항으로는 난방비 지원 확대 대중교통 운행 증대 교육시설 확충 순회 의료서비스 확대 청소년 및 아동 복지시설 확충 응급병원 접근성 제고 문화 프로그램 확대 무선인터넷 보급 등이 제안되었다 또한 지역 주민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생활 밀착형 서비스 개선이 중요하게 지적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조사는 충청남도 농어촌 지역의 실질적인 공공서비스 수준을 파악하고 주민 체감에 기반한 정책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데 기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충남도는 농어촌서비스 기준의 실효성을 높이고 주민 중심의 맞춤형 정책 추진을 통해 지역 간 균형 발전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조사 결과 주거 부문에서는 천안시와 예산군의 만족도가 높았고 금산군은 낮게 나타났다 교통 부문에서는 천안시와 부여군이 상대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나 아산시와 서천군은 낮은 수준이었다 교육 부문에서는 천안시와 홍성군이 우수했으나 보령시와 예산군은 낮았다 보건의료 부문에서는 천안시와 부여군이 만족도가 높았고 서산시와 서천군은 낮게 나타났다
복지 응급 문화 부문에서도 지역 간 격차가 뚜렷했다 복지 부문은 천안시와 예산군이 높았고 부여군과 공주시가 낮았다 응급 부문은 천안시와 홍성군의 만족도가 높았으나 논산시와 예산군은 낮았다 문화 부문은 천안시와 서천군이 우수했으나 서산시와 금산군은 낮았다 정보통신 부문에서는 천안시와 부여군이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금산군은 낮게 나타났다
정책 시급성 측면에서는 교통 보건의료 복지 부문이 우선순위로 도출되었으며 특히 당진시 서산시 금산군 등은 교통 서비스 개선 요구가 높았다 교육과 응급 서비스도 주요 개선 대상이며 일부 시군은 문화와 정보통신 부문에서도 정책 집중이 요구되었다 만족도가 낮으면서 정책 시급성이 높은 부문은 우선 지원이 필요하다
개선사항으로는 난방비 지원 확대 대중교통 운행 증대 교육시설 확충 순회 의료서비스 확대 청소년 및 아동 복지시설 확충 응급병원 접근성 제고 문화 프로그램 확대 무선인터넷 보급 등이 제안되었다 또한 지역 주민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생활 밀착형 서비스 개선이 중요하게 지적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조사는 충청남도 농어촌 지역의 실질적인 공공서비스 수준을 파악하고 주민 체감에 기반한 정책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데 기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충남도는 농어촌서비스 기준의 실효성을 높이고 주민 중심의 맞춤형 정책 추진을 통해 지역 간 균형 발전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Ⅰ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계획의 범위 및 수행체계
Ⅱ 충청남도 농어촌서비스 설문조사
1 설문조사 개요
2 8개 부문의 만족도
3 8개 부문의 정책 시급성
4 개선사항
Ⅲ 각 시군별 설문조사
1 천안시
2 공주시
3 보령시
4 아산시
5 서산시
6 논산시
7 계룡시
8 당진시
9 금산군
10 부여군
11 서천군
12 청양군
13 예산군
14 홍성군
15 태안군
부록 설문조사지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계획의 범위 및 수행체계
Ⅱ 충청남도 농어촌서비스 설문조사
1 설문조사 개요
2 8개 부문의 만족도
3 8개 부문의 정책 시급성
4 개선사항
Ⅲ 각 시군별 설문조사
1 천안시
2 공주시
3 보령시
4 아산시
5 서산시
6 논산시
7 계룡시
8 당진시
9 금산군
10 부여군
11 서천군
12 청양군
13 예산군
14 홍성군
15 태안군
부록 설문조사지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조영재
공주발전 대토론회(이소영,조영재,양광호) 2016. 04. 29
제 1회 한중 3농 포럼(조영재,탕빙위안,청야오) 2015. 09. 14
충남마을연구회 제1차 워크숍 - 충남 마을연구 사례 및 향후 연구과제(김필동,유보경,조영재) 2015. 04. 17
2011 행복 충남 실현을 위한 내발적 발전 전략 연구보고 및 제안대회 (여형범,오용준,조영재,임준홍,허남혁,신동호) 2011. 12. 13
열린충남43호 2008. 06. 01
열린충남48호 2009. 10. 01
-
윤정미
충남 DB 구축 및 활용에 관한 워크숍(김영훈,윤정미) 2015. 01. 09
Global Open Innovation 세미나(이상호,윤정미,조준배,진현석) 2014. 06. 24
대전-당진,공주-서천간 고속도로 개통에 따른 충남의 발전 전략 심포지엄 (김경석,조봉운,임형빈,김정연,한상욱,오용준,윤정미,송지현,김성진,김경태) 2009. 05. 25
열린충남45호 2008. 12. 01
열린충남46호 2009. 04. 01
열린충남63호 2013. 06.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