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미원화학(주) 외 3개사의 도내 이전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분석 : 생산효과와 건설효과를 중심으로
현안

미원화학(주) 외 3개사의 도내 이전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분석 : 생산효과와 건설효과를 중심으로

기간
2013. 11. 14 ~ 2013. 11. 30
연구책임자
임재영
키워드
미원화학,지역경제,생산효과,건설효과,충청남도,기업이전,산업연관분석,투자유치
다운로드

미원화학(주) 외 3개사의 충청남도 내 이전의 경제적 효과분석_20131119.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미원화학주 외 3개사의 충청남도 이전은 울산 창원 안산 여수 등에서 공주 홍성 예산으로 이루어졌으며 총 1363억 원의 투자와 함께 550명의 신규 고용을 창출하였다 이들 기업의 이전은 지역 내 건설과 생산 활동을 통해 단발적인 건설효과와 지속적인 생산효과를 유발하며 특히 생산효과는 장기간에 걸쳐 충남 지역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된다
생산효과 분석 결과 네 개 기업은 총 954억 원의 생산액 증가 239억 원의 부가가치 114억 원의 소득을 유발하였으며 제이텍의 경우 가장 큰 생산효과를 나타냈다 고용 측면에서는 550명의 일자리가 추가로 창출되어 지역 내 고용 확대에 기여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기업이 지속적으로 충남에서 생산을 유지하는 한 계속 발생하는 지속효과로 충남에 실질적인 경제적 이익을 가져오는 요인이다
건설효과는 해당 기업들이 충남 지역에 부지조성과 설비 투자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며 충남 내에서는 1717억 원의 생산액 727억 원의 부가가치 402억 원의 소득효과 1508명의 고용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는 일시적 투자 과정에서 나타나는 단발효과이며 투자 완료 후에는 더 이상 해당 효과가 지속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제한적이다
이전기업들의 투자로 인한 충청남도의 이익은 단순 건설효과보다는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생산효과에 더 큰 의미가 있다 기존의 정부 보고서들이 주로 건설효과에 집중했던 것과 달리 이번 분석은 생산효과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지역 경제의 실질적 성장 동력으로 작용함을 뒷받침하고 있다
또한 건설효과는 충남뿐 아니라 대전 충북 등 인근 지역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전국적으로는 총 2330명의 고용과 3159억 원의 생산효과가 발생했다 하지만 충남에 집중된 투자와 설비 가동을 통해 발생하는 생산효과야말로 해당 지역의 경쟁력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제공하는 핵심 요소로 평가된다
결론적으로 충청남도는 기업 유치를 통해 지역 내 고용과 부가가치를 안정적으로 확대할 수 있으며 단기 건설효과보다는 장기 생산효과에 중점을 둔 정책 수립과 사후 관리가 중요하다 이를 위해 향후에도 기업의 지속적 정착과 안정적 생산 활동을 유도할 수 있는 맞춤형 지원정책이 필요하다

목차

I 서론
II 미원화학주 외 3개사의 충남 이전 투자개요
III 도내 이전에 따른 경제적 효과
1 지역경제 효과 구분
2 효과 발생 공간과 지속성
IV 지역경제효과 분석
1 생산효과 분석
2 건설효과 분석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