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

간행물

내포지역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지리·역사문화적 측면에서-
전략

내포지역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지리·역사문화적 측면에서-

기간
2013. 10. 01 ~ 2013. 12. 31
연구책임자
박철희
연구자
권영현,김경태
키워드
내포,정체성,충청남도,역사문화,지리적 특성,지역다움,내포문화권,개방성과 다양성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내포지역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지리·역사문화적 측면에서-_관리자_20161014_02 내포정체성 본보고서_종합(0325).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내포지역은 충청남도 서북부 지역으로 역사적으로 내포는 일반명사에서 고유명사로 발전하며 지역 정체성의 상징이 되었다 본 연구는 내포의 지리역사문화적 특성을 바탕으로 지역의 고유성과 경쟁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지리적으로는 금북정맥과 가야산을 중심으로 형성된 자연환경과 한성경기권과의 교류로 인한 문화적 다양성이 내포지역을 특징짓는다 이는 내포를 개방적이고 복합적인 문화권으로 정의하게 했다
역사문화적으로는 내포는 불교 성리학 실학 천주교 독립운동 등의 중심지로서 다수의 문화적 인물과 민속이 존재하며 포구 조운로 종교유적 등 주요 유적이 정체성 형성에 기여한다
민속문화에서는 내포 보부상과 내포제 시조 지역 고유의 농악과 어로 민속 등 자립적 생활문화가 형성되어 전승되고 있다
이러한 내포 정체성은 개방성 다양성 자립성으로 요약되며 교류협력 공존조화 자율연대의 상징적 가치로 확장된다
충남의 정체성 정립과 지역발전을 위해 내포문화권을 적극적으로 홍보활용하고 정체성을 계승하는 공간 및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고 제안된다

목차

I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3 연구의 구성 및 추진과정
II 제2장 이론적 고찰
4 내포 지리와 역사문화에 대한 개념
내포內浦 firth
지리地理 Geography
역사문화歷史文化 History and Culture
2 정체성에 대한 개념과 속성
정체성의 개념
정체성 개념의 비판적 검토
3 지리 및 역사문화적 측면에서 정체성의 형성 과정
지역정체성의 형성
지역정체성 형성 개념의 적용
지역정체성 형성 과정
III 제3장 지리적 차원에서 내포 정체성
1 지리적 정체성을 구성하는 요소
지역정체성 논의를 위한 고려 요소
지리적 정체성의 형성
2 지리적 차원에서 내포의 구성요소와 특징
영역적 형성의 역사적 과정
상징적 형상의 형성
3 내포의 지리적 정체성
영역 형성
상징 형성
사회문화체계 형성과 지역정체성의 구성
진행 중인 사회문화체계 형성 과정
IV 제4장 역사문화적 차원에서 내포의 정체성
1 역사문화적 정체성을 구성하는 요소
2 역사문화적 차원에서 내포의 정체성 구성요소와 특징
역사적 변천을 통해 본 내포의 지역범주
내포가 배출한 대표적 역사인물
내포의 대표적 역사명소
민속과 생활
3 내포의 역사문화적 정체성
V 제5장 지리적역사문화적 차원에서 내포의 정체성
4 내포의 지리와 지역 정체성
천혜의 자연조건 풍부한 물산
해로 발달과 새 문화의 관문 내포
2 내포지역의 다양한 문화특성들
내포의 백제문화와 백제정신
라말려초 변혁기의 내포지역
내포의 정신사 지성사 실천과 다양성
3 21C 도청이전시대의 시사점
VI 제6장 결론 및 정책건의
4 결론 및 연구함의
5 정책건의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